반응형
HBM 집중으로 범용 D램 '공급 부족' 심화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중심으로 재편되면서, 역설적으로 범용 D램(레거시 D램) 시장에 30년 만의 초호황 사이클이 도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핵심은 공급 부족의 심화입니다.
- D램 초호황의 신호탄: SK하이닉스의 범용 D램 영업이익률이 70%를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이는 PC 보급 확대와 '윈도 95' 출시로 메모리 반도체 기업들이 70%대 이익률을 기록했던 1995년 이후 약 30년 만입니다.
- 공급 부족의 원인 (HBM 집중):
- SK하이닉스: 생산 능력을 **HBM(고대역폭메모리)**에 집중하면서, 범용 D램 생산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했습니다.
- 삼성전자: 신규 증설 중인 평택캠퍼스 4공장(P4) 라인 역시 대부분 HBM 생산에 할당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마이크론: 범용 D램 수요에 맞춰 일부 생산 계획을 수정했지만, 급증하는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입니다.
- 시장 트렌드: AI 시대를 맞아 메모리 제조사들이 수익성이 높은 HBM 생산에 우선순위를 두면서, 상대적으로 범용 D램에 대한 투자가 위축되었습니다. 그 결과, 범용 D램의 공급 부족이 고착화되고 가격 상승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투자자 관점에서의 중요성:
- 메모리 기업의 수익성 폭발: 범용 D램 가격 상승은 메모리 제조사들의 전반적인 매출과 영업이익률을 급격히 개선시키는 가장 확실한 동력입니다. HBM이라는 고수익 제품과 범용 D램 가격 상승이라는 '쌍끌이 호재'가 겹치면서 실적 폭발이 예상됩니다.
- 1995년 초호황 재현 기대: 1995년에는 PC와 소프트웨어 혁신(윈도 95)이 D램 수요를 견인했다면, 현재는 AI와 데이터센터라는 혁신이 HBM과 범용 D램 모두의 수요를 동시에 끌어올리는 구조입니다.
- 장비/부품 업체의 수혜 확대: HBM 생산을 위한 고도화된 공정(MR-MUF, TC-Bonder 등) 및 범용 D램 가격 상승에 따른 생산량 유지/소폭 증설에 필요한 장비 및 부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AI 메모리'와 '범용 메모리'의 동반 강세
이번 D램 초호황 전망은 AI와 클라우드 인프라 확장이 메모리 시장 전체에 강력한 구조적 변화를 일으키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투자는 메모리 선두 기업과 이들의 핵심 장비를 공급하는 국내 기업에 집중해야 합니다.
- 최우선 투자 테마: 메모리 대장주의 실적 개선:
-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가 HBM 시장을 주도하는 동시에, 범용 D램의 가격 상승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게 됩니다. '역대급' 이익률 개선은 주가 상승의 가장 강력한 근거가 됩니다.
- 장비/소재 국산화 수혜:
- 메모리 제조사들이 생산 캐파(Capacity)를 공격적으로 늘리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수율 향상 및 공정 효율화가 더욱 중요해집니다. HBM과 D램 공정 고도화에 필수적인 국산화된 장비 및 소재 기업이 안정적인 수주를 확보할 기회입니다.
- 반도체 사이클의 '골든 크로스':
- 메모리 반도체 시장이 바닥을 치고 본격적인 상승 사이클에 진입했다는 명확한 신호입니다. AI 테마를 등에 업고 과거의 초호황을 넘어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리스크 및 주의 사항:
- 증설 경쟁 재개 리스크: 메모리 가격이 급등할 경우, 경쟁사들이 HBM이 아닌 범용 D램 생산으로 다시 초점을 맞추거나 대규모 증설 경쟁이 재개될 수 있습니다. 공급 과잉 가능성을 항상 주시해야 합니다.
- HBM 수율 및 기술 경쟁: HBM 시장에서의 경쟁은 더욱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HBM의 선두 주자인 SK하이닉스의 경우, 기술 격차 유지와 HBM 생산의 수율 확보 여부가 중요한 리스크가 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D램/HBM 제조사 및 후공정/장비 밸류체인
| 구분 | 종목명 | 시장 | 투자 포인트 |
| 메모리 반도체 | SK하이닉스 | 국내(코스피) | HBM 선두 주자이자, 범용 D램 영업이익률 70% 돌파 수혜의 직접적 대상. 메모리 업황 개선의 핵심 대장주. |
| 메모리 반도체 | 삼성전자 | 국내(코스피) | 글로벌 1위 메모리 제조사. HBM과 범용 D램 가격 상승의 쌍끌이 수혜 및 파운드리 경쟁력 강화 기대. |
| HBM 핵심 장비 | 한미반도체 | 국내(코스닥) | HBM 생산의 필수 장비인 TC 본더(Thermal Compression Bonder) 분야에서 압도적 경쟁력 보유. HBM 확산의 최대 수혜주. |
| 후공정/검사장비 | ISC | 국내(코스닥) | D램, HBM 테스트용 소켓 전문 기업. 메모리 고성능화에 따른 테스트 수요 증가 수혜. |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대박! 넥슨 신작 '아크 레이더스' 글로벌 400만 장 판매 돌파! 동접자 70만 명 찍으며 '넥슨 역사상 최고' 기록 경신! (0) | 2025.11.12 |
|---|---|
| AI 진단 혁명! 노을, 말라리아 진단 정확도 '현미경 전문가' 능가 입증 (0) | 2025.11.12 |
| K-VFX M83의 할리우드 침공 시작! 겨울왕국 음악감독 참여 (0) | 2025.11.12 |
| 에이치시티 100% 무상증자 결정! 자사주 '4.4%' 활용으로 기존 주주 지분율 급상승 (0) | 2025.11.12 |
| '연어 주사' 리쥬란 쇼크! 파마리서치 주가 35% 급락! 지금이 매수 기회인가, 추가 하락인가? (0) | 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