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브IM, 드림에이지로 재탄생! 게임 엔터테인먼트의 새 지평, 투자 기회 열리나?
하이브의 게임 사업 자회사 하이브IM이 2025년 7월 1일 사명을 **드림에이지(DRIMAGE)**로 변경하며, 단순 게임 개발사를 넘어 인터랙티브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발표했습니다. 사명은 꿈(Dream), 인터랙티브 미디어(Interactive Media), 시대(Age)를 결합해, 게임을 통해 감정과 이야기를 전달하는 새로운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창출하겠다는 목표를 담았습니다. 이번 사명 변경은 하반기 주요 신작 출시를 앞두고 내부 결속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공략 의지를 다지는 계기로 평가됩니다.
주요 내용 분석
- 사명 변경과 비전:
- 드림에이지의 의미: 드림에이지는 게임을 단순 오락이 아닌 감정적 상호작용과 서사를 제공하는 플랫폼으로 재정의. 정우용 대표는 “상상과 현실이 만나는 순간을 창조하겠다”며 인터랙티브 미디어 엔터테인먼트의 경계를 확장할 계획이라고 강조.
- CI 리뉴얼: 새로운 기업 이미지(CI)를 공개하며 사용자와의 감정적 교류를 중시하는 브랜드 철학 시각화. 사내 공모를 통해 숙고된 사명 변경으로 내부 결속력 강화.
- 하이브 2.0 전략: 하이브의 신성장 전략에서 드림에이지는 기술과 엔터테인먼트 융합의 핵심 역할. 방시혁 의장은 2021년 지스타에서 게임을 “엔터테인먼트의 모든 요소를 함축한 매력적인 콘텐츠”로 평가하며 지원 의지 표명.
- 신작 라인업과 시장 공략:
- 오즈 리:라이트: 마코빌 개발, 동화 기반 수집형 RPG. 감성 연출로 일본 오타쿠 시장 타겟, 2025년 하반기 정식 출시 예정. 3월 일본 베타 테스트 성공적 마무리.
- 아키텍트: 랜드 오브 엑자일: 아쿠아트리 개발, 드림에이지 퍼블리싱. 언리얼 엔진5 기반 심리스 오픈월드 MMORPG로, 2024년 지스타에서 자유도 높은 탐험과 커스터마이징 호평. 연내 국내 출시.
- 프로젝트 토치: 블리자드 출신 본파이어 스튜디오와 협업한 팀 PvP 게임. 한국·일본 시장 겨냥, 글로벌 경쟁력 강조.
- 기존 IP 게임: 리듬하이브, 인더섬 위드 BTS 등 하이브 아티스트 IP 기반 캐주얼 게임으로 누적 1000만 다운로드 돌파. 신규 IP 프로젝트도 개발 중.
- 재무 현황과 투자:
- 재무 성과: 드림에이지는 2022년 매출 400억원(영업손실 80억원), 2023년 매출 308억원(영업손실 190억원), 2024년 매출 300억원(영업손실 277억원)으로 적자 지속. 캐주얼 게임의 낮은 과금 수익과 신작 개발 투자 확대 영향.
- 하이브 지원: 하이브는 드림에이지에 2022년 100억원, 2023년 500억원(CB), 2024년 175억원 유상증자 등 총 775억원 투자. 외부 투자(메이커스펀드 824억원, IMM인베스트먼트 100억원) 포함 누적 1375억원 자금 확보.
- 지분 구조: 하이브가 드림에이지 지분 70.5% 보유(2025년 1분기 기준), 안정적 자본 지원으로 종합 게임사 전환 가속화.
- 시장 트렌드와 전망:
- 글로벌 게임 시장: 2025년 글로벌 게임 시장 규모 2.3조 달러(한화 약 3000조원) 전망. 모바일 게임(50%), MMORPG, 캐주얼 게임 수요 증가.
- 하이브의 시너지: 하이브의 K팝 IP(BTS, 세븐틴)와 AI 기술(수퍼톤 협업 MIDNATT 프로젝트) 활용으로 독창적 콘텐츠 개발 가능.
- 리스크 요인: 별이되어라2의 시장 기대 미달 성적, 높은 개발비로 인한 적자 확대, 경쟁사(넷마블, 카카오게임즈)의 신작 공세.
투자 관점에서의 중요성
드림에이지의 사명 변경과 신작 라인업은 하이브의 게임 사업 확장 의지를 보여주며, K팝 IP와 첨단 기술 융합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그러나 적자 지속과 신작 흥행 불확실성은 투자 시 고려해야 할 주요 리스크입니다. 하이브의 자본 지원과 1375억원 투자 유치는 안정적 성장 기반을 제공하며, 2025년 하반기 신작 성과가 주가 반등의 열쇠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드림에이지의 사명 변경과 신작 출시는 하이브의 게임 사업 확장과 글로벌 엔터테인먼트 시장 공략의 신호탄입니다. 투자자들은 신작 흥행 여부와 하이브의 재무 지원을 주목해야 합니다. 주요 투자 포인트와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작 출시와 흥행 가능성:
- 아키텍트: 랜드 오브 엑자일은 언리얼 엔진5 기반 MMORPG로, 2024년 지스타 호평을 바탕으로 국내외 하드코어 게이머 타겟. 오즈 리:라이트는 일본 시장 공략으로 매출 다변화 기대.
- 투자 전략: 2025년 4분기 아키텍트 출시 전 주가 조정 시 단기 매수. 일본 시장 오즈 리:라이트 초기 매출 데이터(2025년 10월 예정) 주시.
- 관련 테마: MMORPG, 캐주얼 게임, 글로벌 게임 시장
- 하이브 IP와 기술 시너지:
- 하이브의 K팝 IP(BTS, 세븐틴)와 AI 기술(수퍼톤)을 활용한 게임 콘텐츠는 팬덤 기반 수익 창출 가능. 인더섬 위드 BTS의 1000만 다운로드 성공 사례.
- 투자 전략: 하이브의 IP 기반 게임 매출 성장 확인 후 중장기 투자. 2026년 신규 IP 게임 출시 계획 모니터링.
- 관련 테마: K팝 IP, AI 기술, 팬덤 경제
- 하이브의 자본 지원:
- 하이브의 775억원 투자와 외부 자금 1375억원은 드림에이지의 개발비 부담 완화. 2025년 하반기 흑자 전환 가능성.
- 투자 전략: 하이브의 추가 유상증자 발표(2025년 말 예정)와 드림에이지 실적 개선 여부 확인 후 포트폴리오 비중 확대.
- 관련 테마: 게임 개발, 엔터테인먼트 테크
- 리스크 요인:
- 적자 지속: 2024년 영업손실 277억원으로 재무 부담. 별이되어라2의 부진으로 신작 흥행 실패 시 손실 확대 우려.
- 경쟁 심화: 넷마블, 카카오게임즈의 신작 출시로 시장 점유율 경쟁 치열. 일본 시장에서 오즈 리:라이트의 성과 불확실.
- 기술 리스크: 언리얼 엔진5 기반 아키텍트의 개발 지연 가능성.
- 지정학적 리스크: 글로벌 시장(중국, 일본) 규제 강화 시 매출 성장 제한.
투자 전략:
- 단기: 7~9월 주가 조정(지지선 하이브 18만원) 시 저가 매수. 아키텍트 출시 전 퍼블리싱 성과 주시.
- 중장기: 2026년 드림에이지 흑자 전환과 글로벌 매출 성장 확인 후 비중 확대. 하이브의 IP 기반 신작 발표 모니터링.
- 리스크 관리: 경쟁사 신작 성과와 드림에이지의 3분기 실적(10월 발표) 확인. 하이브의 배당 안정성(연 0.5%) 활용.
관련 주식 종목
드림에이지의 게임 사업과 하이브의 엔터테인먼트 밸류체인 내 수혜가 예상되는 주식을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종목명설명
하이브 | 드림에이지의 모회사, K팝 IP와 자본 지원으로 게임 사업 성장 견인. |
액션스퀘어 | 던전스토커즈, 삼국블레이드키우기 퍼블리싱으로 드림에이지와 협업. |
플린트 | 별이되어라2 개발사, 드림에이지의 퍼블리싱 파트너로 성장 잠재력. |
- 하이브: BTS, 세븐틴 IP 기반 게임과 드림에이지에 775억원 투자. 2024년 매출 2.2조원, 영업이익 3300억원.
- 액션스퀘어: 드림에이지와 던전스토커즈 퍼블리싱 계약, 2024년 게임스컴 호평. 2024년 매출 300억원 전망.
- 플린트: 별이되어라2로 150만 다운로드 기록. 드림에이지와 지속적 협업으로 성장 기대.
재무제표 요약 (하이브)
항목2022년2023년2024년
매출액 (억원) | 18,500 | 20,500 | 22,000 |
영업이익 (억원) | 2,800 | 3,100 | 3,300 |
순이익 (억원) | 1,400 | 1,600 | 1,800 |
영업이익률 (%) | 15.1 | 15.1 | 15.0 |
부채비율 (%) | 80.5 | 75.2 | 70.8 |
*드림에이지 재무제표는 비상장사로 공개 제한, 하이브 공시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