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애경케미칼: 나트륨이온배터리 혁신으로 ESS 시장 선점, 글로벌 납품 본격화!

Htsmas 2025. 7. 2. 08:51
반응형

애경케미칼은 나트륨이온배터리(SIB) 음극재용 고성능 하드카본을 앞세워 에너지저장장치(ESS) 시장 공략에 가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2025년 7월 2일 기준, 애경케미칼은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과 하드카본 성능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국내를 넘어 세계 시장에서 SIB 상용화를 선도하는 중요한 발판으로 평가됩니다.

나트륨이온배터리(SIB)와 하드카본의 중요성

SIB는 리튬이온배터리(LIB) 대비 나트륨을 주원료로 사용해 원가 경쟁력과 안정성을 확보한 차세대 배터리입니다. 나트륨 이온은 입자 크기가 크기 때문에 LIB의 흑연 음극재 대신 층간 간격이 넓은 하드카본이 필수적으로 사용됩니다. 애경케미칼은 2012년 국내 최초로 이차전지용 하드카본을 개발한 이래, 2022년 SIB 전용 고성능 하드카본 연구 조직을 신설하며 기술력을 강화했습니다. 2024년 4월 개발된 ‘AHC-3 버전1’은 방전용량 300mAh/g, 효율 90% 이상을 달성하며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입증했으며, 원가를 기존 대비 20%로 절감해 흑연 음극재와 비슷한 수준으로 낮췄습니다.

2025년 11월에는 ‘AHC-3 버전2’ 양산이 예정되어 있으며, 이는 방전용량 320mAh/g, 효율 92%로 성능이 개선되고, 구형 결정 구조로 코팅 용이성과 균일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이는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위를 확보하며, 코팅 과정에서 하드카본이 떨어지는 문제를 해결한 획기적인 성과입니다.

ESS 시장의 성장과 애경케미칼의 전략

ESS는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수요 급증 시 전력을 공급하는 핵심 시스템으로, AI 데이터센터와 신재생에너지 확대로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ESS 배터리 시장은 2025년 300GWh에서 2035년 610GWh로, 시장 규모는 2022년 152억 달러에서 2030년 395억 달러(약 57.8조 원)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SIB는 에너지 밀도가 낮아 전기차보다는 공간 제약이 적은 ESS에 적합하며, 전기화학적 안정성과 저온 성능, 불연성 전해질로 화재 안전성이 높아 리튬이온배터리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애경케미칼은 2024년 HC프로젝트추진실을 대표이사 직속으로 전환하며 제품 개발과 시장 공략 속도를 높였습니다. 또한, 정부 주관 SIB 상용화 국책 과제에 참여해 기술 표준화와 고객사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외 배터리 기업들과 성능 테스트를 진행 중이며, 글로벌 기업들의 높은 관심을 받고 있지만, 구체적인 납품 논의는 아직 초기 단계입니다.

재무적 전망

애경케미칼은 2024년 상반기 기준 시가총액 6,451억 원, 부채비율 91.41%, 배당수익률 1.89%(2023년 기준)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재무 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SIB 하드카본 사업은 아직 매출 기여도가 크지 않으나, 2025년 하반기 양산 본격화와 고객사 확보로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ESS 시장 확대와 글로벌 납품 계약 체결 시, 이차전지 사업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증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애경케미칼의 SIB 음극재용 하드카본 사업은 ESS와 차세대 배터리 시장의 구조적 성장을 활용한 매력적인 투자 기회입니다. 주요 투자 포인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ESS 시장의 폭발적 성장: AI 데이터센터와 신재생에너지 확대는 ESS 수요를 급증시키며, SIB의 안정성과 저비용은 ESS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합니다. 애경케미칼은 국내 유일의 하드카본 양산 기업으로 시장 선점 가능성이 큽니다.
  2. 기술 경쟁력과 원가 절감: AHC-3 버전1과 버전2의 고성능(방전용량 320mAh/g, 효율 92%)과 원가 절감(기존 대비 20%)은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의 러브콜을 받고 있으며, 2025년 양산 본격화는 매출 성장의 촉매가 될 전망입니다.
  3. 글로벌 시장 공략: 애경케미칼은 국내 시장보다 글로벌 기업들과의 협력을 우선시하며, 미국 Natron Energy(노스캐롤라이나 공장 투자 1.9조 원)와 같은 글로벌 플레이어와의 협업 가능성이 주목됩니다.
  4. 리스크 요인: SIB의 낮은 에너지 밀도로 인해 전기차 적용이 제한적이며,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SIB 상용화 관심이 낮아 단기 매출 기여도가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성과 원자재 가격 변동은 생산 비용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 전략:

  • 중장기 투자 관점: 2025년 11월 AHC-3 버전2 양산과 글로벌 납품 계약 체결은 주가 상승의 주요 촉매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현재 PER 13배 수준(2024년 기준)은 성장 잠재력 대비 저평가로, 장기 보유 전략이 적합합니다.
  • 단기 투자 전략: 2분기 실적 발표(8월 예정)와 글로벌 테스트 결과 발표를 주목하며, 주가 조정 시 10,000~11,000원 구간에서 분할 매수 고려.
  • 관련 테마: 나트륨이온배터리, ESS, 차세대 배터리, 친환경 에너지

관련 주식 종목

애경케미칼의 SIB 하드카본 밸류체인 내 주요 주식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종목명설명

애경케미칼 국내 유일 SIB 음극재용 하드카본 양산 기업. AHC-3 버전2로 글로벌 ESS 시장 공략 가속화.
AK홀딩스 애경케미칼의 지주사로, 하드카본 사업 성공 시 그룹 전체 가치 상승 기대.
  • 애경케미칼: SIB 음극재 하드카본의 세계 최고 성능과 양산 준비로 ESS 시장 선점 가능성이 높으며, 글로벌 배터리 기업들과의 테스트로 성장 모멘텀 강화.
  • AK홀딩스: 애경케미칼의 모회사로, 하드카본 사업의 성공은 지주사의 기업 가치와 배당 정책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전망.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