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코닉테라퓨틱스의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자스타프라잔(국내 제품명 자큐보정)'이 중국 시장 진출에 성공적으로 다가가고 있습니다. 중국 파트너사인 리브존제약이 진행한 임상 3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하고, 중국 국가약품감독관리국(NMPA)에 품목 허가를 신청했습니다. 이는 2023년 4월 온코닉테라퓨틱스와 리브존이 체결한 1,500만 달러(약 20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의 중요한 결실입니다. 국내 기술이전 사례 중 200억 원이 넘는 계약금은 매우 드문 사례로, 이번 성과는 자큐보의 잠재적 시장 가치를 입증하는 중요한 지표로 평가됩니다.
특히 주목할 점은 리브존제약의 압도적인 역량입니다. 중국 소화기 치료제 시장 1위 기업인 리브존은 연매출 2.4조 원, 시가총액 12조 원에 달하는 거대 제약사입니다. 이들은 임상 3상 IND 승인 후 불과 7개월 만에 임상을 성공적으로 완료하며, 신속한 시장 진입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전 세계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시장은 2025년 약 4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 중 중국은 4조~6조 원에 달하는 세계 최대 시장입니다. 특히 중국의 P-CAB 시장은 2024년 80%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기존의 PPI 제제를 대체할 강력한 신규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온코닉테라퓨틱스의 자큐보는 국내에서도 이미 그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2024년 국내 37호 신약으로 허가를 받은 이후, 출시 6개월 만에 누적 처방액 100억 원을 돌파했고, 3분기 만에 분기 처방액 105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업계에서는 내년에 연간 1,000억 원 이상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큐보는 4건의 해외 기술수출 및 유통 계약을 통해 26개국에 진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이번 중국 품목 허가 신청은 온코닉테라퓨틱스에게 단순한 호재를 넘어, 실질적인 매출 성장과 기업 가치 상승을 이끌 중요한 변곡점이 될 수 있습니다. 중국 시장 진출은 국내 매출과는 비교할 수 없는 거대한 시장 규모를 바탕으로 폭발적인 성장을 이끌어낼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자스타프라잔의 가치
- P-CAB 시장의 고성장: P-CAB(Potassium-Competitive Acid Blocker)은 기존 PPI(Proton Pump Inhibitor) 제제보다 약효 발현이 빠르고, 식사와 관계없이 복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중국 시장에서 P-CAB으로의 전환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자스타프라잔의 시장 침투 가능성은 매우 높습니다.
- 리브존제약의 시너지: 중국 시장 1위 제약사인 리브존의 강력한 영업력과 유통망은 자스타프라잔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입니다. 온코닉은 기술이전료와 함께 향후 중국 매출에 따른 로열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재무적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습니다.
- 해외 시장 확장 가능성: 이미 26개국에 진출한 자큐보의 성공적인 해외 계약은 다른 국가로의 추가 기술수출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중국 시장 진출 성공은 자큐보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층 더 높여줄 것입니다.
투자 리스크
- 허가 지연 가능성: 품목 허가 신청이 완료되었지만, 중국 NMPA의 심사 과정에서 예상치 못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투자자의 기대 수익 시점을 늦출 수 있는 리스크입니다.
- 경쟁 심화: 중국 내 P-CAB 시장이 급성장하는 만큼, 경쟁사들의 신약 개발 및 시장 진입도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이번 소식은 온코닉테라퓨틱스의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신약 개발 및 기술이전 테마에 속한 국내 바이오 기업 전반에 긍정적인 투자 심리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종목명 | 왜 중요한가 |
온코닉테라퓨틱스 | 자스타프라잔의 개발사로, 중국 시장 진출 성공에 따른 직접적인 수혜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향후 중국 매출과 로열티 수익이 가시화될 경우, 기업 가치가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이 테슬라의 '심장'을 공급한다? 옵티머스 시대의 숨겨진 수혜주를 찾아라! (5) | 2025.08.18 |
---|---|
비만 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바꿀 '마이크로니들', 과연 승자는? (2) | 2025.08.18 |
HMM, 역대급 자사주 소각 결정! 2조원 규모 주주환원, 민영화의 신호탄인가? (0) | 2025.08.14 |
AI가 이끄는 새로운 시대! PCB 시장의 대변혁, 핵심 장비·소모품 주식에 주목하라! (2) | 2025.08.14 |
갤럭시 생태계의 완성, 스마트글라스 시대가 열린다! 삼성전자의 파격적인 신제품 출시는 기회인가 위협인가? (2) | 2025.08.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