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케이캡, 인도 시장 공략! 1.5조원 위식도 시장 쟁탈전 서막!

Htsmas 2025. 9. 17. 13:24
반응형

케이캡, 세계 4위 인도 위식도 시장 본격 진출!

HK이노엔의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이 인도의 거대 제약기업 **닥터레디(Dr. Reddy's Laboratories)**와 손잡고 인도 시장에 공식 출시되었습니다. 인도에서 'PCAB(피캡) 50mg' 이라는 이름으로 출시된 이 약은 미란성/비미란성 위식도역류질환 및 위궤양 치료에 허가를 받았습니다.

케이캡은 2019년 국내 출시 이후 누적 처방액이 8,101억 원을 기록하며 국내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이번 인도 진출은 2022년 닥터레디와 맺은 완제품 수출 계약에 따른 것으로, 이미 중국과 중남미 등 18개국에 진출하여 글로벌 시장 공략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인도의 소화성 궤양용제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약 1조 5,200억 원으로, 중국,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 규모입니다. 특히 인도 인구의 약 38%가 위식도역류질환을 앓고 있어, 시장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는 점이 주목할 만합니다. 닥터레디는 현지에서 강력한 영업 및 마케팅 능력을 바탕으로 케이캡을 시장에 빠르게 안착시킬 계획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글로벌 시장 확대와 신약의 미래

이번 케이캡의 인도 진출은 단순히 하나의 수출 계약을 넘어, 글로벌 신약의 성공적인 시장 안착 가능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사례입니다.

  • 기회: 케이캡의 해외 시장 확장 성공은 HK이노엔의 매출 및 기업 가치 상승으로 직결될 수 있습니다. 특히 인도는 인구 대국이자 거대 의약품 시장으로, 성공적인 안착 시 장기적인 성장 동력이 될 것입니다. 또한, 케이캡이 글로벌 시장에서 인정받을수록 추가적인 해외 계약 및 기술 수출 기회가 늘어날 수 있습니다. 이는 국내 제약 바이오 산업 전반의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리스크: 글로벌 시장 진출에는 항상 리스크가 따릅니다. 현지 경쟁사들의 견제, 의약품 가격 경쟁, 그리고 예상치 못한 규제 변화 등이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술수출이 아닌 완제품 수출 계약인 만큼, 현지 파트너사의 마케팅 능력과 시장 침투력이 성공의 관건이 될 것입니다.

이번 소식은 바이오/제약 섹터에 대한 투자자의 관심을 다시 한번 높일 수 있는 계기입니다. 특히 글로벌 진출 가능성을 가진 신약을 보유한 기업들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관련된 주요 주식 종목

회사명 국가 주요 사업 내용
HK이노엔 한국 위식도역류질환 신약 '케이캡'을 개발하고 생산하는 제약 기업입니다.
닥터레디(Dr. Reddy’s Laboratories) 인도 인도 현지에서 케이캡의 영업과 마케팅을 담당하는 글로벌 제약 기업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