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모바일 HBM 시장 개화…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기술 경쟁

Htsmas 2025. 4. 4. 00:01
반응형

모바일 HBM(High Bandwidth Memory) 시장이 차세대 AI 스마트폰 도입 확대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고성능 메모리 기술력을 바탕으로 시장 개화에 따른 수혜를 입을 기업으로 평가되며, 글로벌 반도체 경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모바일 HBM의 특징과 성장 가능성

▷ 모바일 HBM이란?

  • HBM은 기존 D램 대비 데이터 전송 속도와 저장 용량을 크게 늘린 고성능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 지금까지는 주로 서버용으로 사용됐지만, AI 스마트폰과 같은 모바일 기기에 탑재될 가능성이 열리면서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 주요 활용 분야

  • 생성형 AI, 자율주행, 엣지 컴퓨팅 등 첨단 기술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모간스탠리는 내년 출시될 아이폰18부터 모바일 HBM이 널리 쓰일 것으로 전망하며, 시장 잠재력이 과소평가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2.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기술 경쟁

▷ 삼성전자: 성능과 안정성 중심 전략

  • 삼성전자는 구리 기둥(VCS) 기술을 활용해 적층한 D램을 연결하며, 성능과 안정성을 우선시하는 패키징 방식을 개발 중입니다.
  • 모바일 HBM의 성능 극대화를 목표로 기술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내년 양산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 SK하이닉스: 비용 효율성 중심 전략

  • SK하이닉스는 구리선 연결(VFO) 공정을 통해 비용 효율성을 강조하며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 현재 엔비디아와 협력해 5세대 HBM(HBM3E) 제품을 공급 중이며, 시장 점유율 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3. 글로벌 반도체 시장 전망과 영향

  •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2028년까지 연평균 성장률(CAGR) 9.4%를 기록하며 1조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 HBM은 전체 D램 시장에서 점유율이 2025년 19%까지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경쟁은 모바일 HBM 시장 판도를 결정할 중요한 요소가 될 것입니다.

4. 투자 아이디어

모바일 HBM 시장의 성장과 관련된 투자 기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주목
    • 두 기업은 각각 성능과 비용 효율성을 중심으로 차세대 모바일 HBM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어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큽니다.
    • AI 스마트폰 및 엣지 컴퓨팅 확대로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2. 반도체 장비 제조사 투자 고려
    • 디스코(DISCO) 및 아드반테스트와 같은 장비 제조사들은 모바일 HBM 생산 증가에 따른 수혜를 누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3. AI 및 자율주행 관련주 주목
    • 모바일 HBM은 생성형 AI 및 자율주행 시스템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므로 관련 생태계 기업들이 수혜를 받을 것입니다.
  4. 엣지 컴퓨팅 및 IoT 디바이스 기업 투자 전략
    • 초저전력 고성능 메모리를 활용한 스마트 디바이스 확장은 IoT 기술 기업들에게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