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한국콜마 1Q25 사상 최대 실적!

Htsmas 2025. 5. 9. 11:05
반응형

한국콜마가 2025년 1분기에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하며 화장품 ODM(주문자 개발 생산) 시장의 강자로 자리 잡았습니다. 선케어 제품의 글로벌 수요 급증과 미국·중국 법인의 성장, 그리고 HK이노엔의 제약·헬스케어 부문 호조가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하반기에는 미국 온쇼어(On-Shore) 생산 확대와 신규 고객 유입으로 추가 성장이 기대됩니다.

1분기 실적 하이라이트

  • 전체 실적: 매출 2743억 원(+11% YoY), 영업이익 339억 원(+49% YoY), 영업이익률 **12.4%**로 분기 기준 최고치를 경신했습니다.
  • 선케어 성장: 선케어 제품 비중이 27%로 전년 대비 12%p 증가하며, 탑 브랜드의 수출 수요가 주요 원동력이 됐습니다. IPO 준비 중인 스킨케어 브랜드와 메이크업 매출도 34% 급증하며 메이크업 전문 브랜드가 상위 10개 고객사에 새롭게 진입했습니다.
  • 글로벌 고객사: 글로벌 고객사의 직수출 호조로 매출 다변화에 성공하며 안정적 성장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중국 사업 부문

  • 실적: 매출 416억 원(+20% YoY), 영업이익 31억 원(+73% YoY), 영업이익률 7.4%.
  • 특징: 중국 경기 회복 지연에도 선케어 중심의 전략적 주문으로 안정적 영업을 유지했습니다. 카테고리별 매출 비중은 메이크업 46%, 선케어 26%, 스킨케어 19%로 나타났습니다.
  • 전망: 2분기 선케어 성수기와 전략 고객사의 SKU(제품 단위) 증가로 매출과 수익성 개선이 예상됩니다.

미국·캐나다 사업 부문

  • 미국: 매출 217억 원(+211% YoY), 영업이익 15억 원(흑자 전환). 서부 메이크업 브랜드의 안정적 매출과 온쇼어 생산 수요 증가(미국 관세 정책 영향)가 실적을 견인했습니다. 제1공장은 영업이익 33억 원을 기록했으나, 기술영업센터 비용 18억 원으로 일부 상쇄됐습니다. 제2공장 준공은 유틸리티 공사로 6월로 연기됐으나, 5월 임시 준공 승인 후 가동 가능성이 높습니다.
  • 캐나다: 매출 87억 원(-3% YoY), 영업적자 -13억 원 지속. 상반기 주문 감소 영향이 컸으나, 하반기 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연우(포장재 자회사)

  • 실적: 매출 637억 원(-5% YoY), 영업적자 -10억 원. 국내 매출 비중 57%(대형 2사 17%), 수출 43%(미국 25%)로 구성됐습니다.
  • 현황: 비즈니스 구조 개선 중으로, 단기적 적자 지속이나 장기적 안정화 가능성 존재.

HK이노엔(제약·헬스케어 자회사)

  • 실적: 매출 2474억 원(+16% YoY), 영업이익 254억 원(+47% YoY).
  • 성장 동력: K-CAB(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매출 475억 원(+14% YoY, 국내 436억 원·남미 수출 39억 원), 수액제 335억 원(+21%), 숙취해소제(컨디션) 140억 원(+6%)으로 고른 성장을 기록했습니다. H&B(헬스앤뷰티) 부문의 수익성 개선도 긍정적이었습니다.

시장 트렌드와 재무적 영향

글로벌 화장품 ODM 시장은 2023년 230억 달러에서 2030년 38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며, 선케어K-뷰티 수요가 핵심 동력입니다. 한국콜마는 2024년 연간 매출 2조1554억 원(+15.5%), 영업이익 1365억 원(+86.4%)을 기록하며 사상 최대 실적을 달성한 바 있습니다. 2025년 1분기 실적은 선케어 비중 확대(27%)와 글로벌 고객사 수주 호조로 **영업이익률 12.4%**를 달성하며 수익성 개선을 입증했습니다.

미국 시장은 온쇼어 생산 수요와 신규 고객 유입으로 2025년 매출 성장이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중국은 경기 둔화에도 선케어 중심의 전략적 포지셔닝으로 안정적 성장을 유지하고 있으며, HK이노엔은 K-CAB과 수액제의 글로벌 확장으로 추가 성장 동력을 확보했습니다. 다만, 캐나다의 적자와 연우의 구조적 적자는 단기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2분기 및 하반기 전망

  • 선케어 성수기: 2분기 선케어 주문 증가로 매출과 영업이익이 추가 개선될 전망입니다.
  • 글로벌 확장: 고객사의 해외 수출국 다변화(미주, 아시아, 유럽)와 미국 제2공장 가동(5월 예정)이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입니다.
  • HK이노엔: K-CAB의 남미 수출 확대와 H&B 부문의 수익성 개선으로 안정적 성장 지속.

투자 아이디어

한국콜마의 1Q25 실적과 선케어·글로벌 확장 전략은 K-뷰티, 화장품 ODM, 헬스케어 테마에 구조적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투자자는 아래 전략과 포인트를 주목해야 합니다:

  1. 선케어 시장 선도: 선케어 비중 27%와 점유율 75%로 국내 시장을 장악했으며, 글로벌 수출 수요(미주, 아시아, 유럽) 증가로 2025년 매출 성장률 10% 이상이 가능할 전망입니다. 2분기 성수기 효과는 추가 모멘텀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2. 미국 시장 공략: 미국 법인의 211% 매출 성장과 제2공장 가동(5월 예정)은 온쇼어 생산 수요를 충족하며 신규 고객 유입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이는 2026년 북미 매출 비중 20% 이상 확대를 지원합니다.
  3. HK이노엔의 안정성: K-CAB, 수액제, 숙취해소제의 고른 성장과 남미 수출 확대는 한국콜마의 헬스케어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며 안정적 캐시플로우를 창출합니다.

주의할 포인트:

  • 캐나다 적자: 상반기 주문 감소로 적자가 지속되며, 하반기 회복 여부가 중요합니다.
  • 연우 부진: 포장재 부문의 구조적 적자는 단기 수익성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구조 개선 속도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관세 리스크: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는 온쇼어 생산 수요를 늘리지만, 글로벌 공급망 비용 증가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관련 테마로는 K-뷰티, 화장품 ODM, 헬스케어, ESG 투자가 있습니다. 한국콜마의 친환경 선케어 개발과 윤리경영(ISO37001 인증)은 ESG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 가능성이 높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한국콜마의 선케어·글로벌 확장과 K-뷰티·헬스케어 밸류체인에 포함된 주요 종목을 아래 표에 정리했습니다. 이들은 화장품 ODM, 헬스케어, 포장재에서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종목명시장설명

한국콜마 코스피 선케어 점유율 75%, 1Q25 영업이익률 12.4%로 사상 최대 실적. 미국·중국 확장으로 2025년 매출 3조 원 전망.
HK이노엔 코스피 K-CAB, 수액제, 컨디션으로 헬스케어 성장 견인. 2025년 영업이익 1000억 원 목표.
아모레퍼시픽 코스피 한국콜마의 주요 고객사로, 선케어·스킨케어 수출 호조. 2025년 해외 매출 비중 40% 목표.
LG생활건강 코스피 한국콜마와 협력으로 K-뷰티 글로벌 확장. 선케어·메이크업 수요로 2025년 매출 8조 원 전망.
  • 한국콜마: 선케어와 글로벌 수주로 2025년 매출 3조 원, 영업이익률 12% 이상 전망. 목표주가 9만 원(키움증권).
  • HK이노엔: K-CAB 남미 수출과 H&B 부문 성장으로 안정적 캐시플로우. 2025년 매출 1조 원 돌파 가능.
  • 아모레퍼시픽: 한국콜마의 선케어·스킨케어 ODM 협력으로 글로벌 시장 확대. 중국·미국 매출 성장 주목.
  • LG생활건강: 한국콜마와의 파트너십으로 K-뷰티 수출 호조. 선케어와 메이크업 카테고리 성장으로 수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