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스닥 상장사 리가켐바이오가 항체약물접합체(ADC) 분야에서 연이은 기술이전 성공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나증권은 5월 13일 보고서를 통해 리가켐바이오가 매년 1건 이상의 기술이전을 달성할 수 있으며, 5조 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보유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목표주가는 15만 원으로 유지되며, 풍부한 후속 파이프라인과 현금 유입 증가로 성장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핵심 내용 분석
- 기술이전 실적: 리가켐바이오는 2019년부터 다케다, 익수다, 소티오, 암젠, 얀센, 오노약품 등 글로벌 제약사들과 14건(ADC 분야 11건)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특히, 2023년 얀센과의 LCB84(TROP2-ADC) 계약(최대 2.24조 원)과 2024년 오노약품과의 LCB97(L1CAM-ADC) 계약(최대 9435억 원)이 대표적입니다.
- 후속 파이프라인: 리가켐바이오는 다수의 ADC 파이프라인을 임상 단계로 진입시키며 기술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 LCB14 (HER2-MMAF): 위암·식도암 타깃, 중국 임상 결과 발표 예정. 성공 시 2026년 중국 출시 가능.
- LCB84 (TROP2-MMAE): 유방암 타깃, 2025년 임상 1상 결과 발표. 우수한 결과 시 얀센의 단독개발 옵션 행사로 2600억 원 옵션 행사금 유입 예상.
- LCB71 (ROR1-pPBD): 임상 1상 2025년 완료 예정, 낮은 용량에서도 높은 효능 확인.
- LCB41A (B7-H4-MMAE): 임상 1상 2025년 완료 예정.
- LCB97 (L1CAM-ADC): 폐암·유방암·난소암 타깃, 2025년 미국 임상시험계획(IND) 신청 및 임상 1상 진입 예정.
- 재무적 영향: 기술이전으로 2021년 129억 원, 2022년 131억 원, 2023년 3분기 91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습니다. LCB84의 옵션 행사금(2600억 원)과 추가 마일스톤(최대 1.85조 원)으로 2026년까지 현금 유입이 크게 증가할 전망입니다. 2023년 자기자본(1482억 원)과 매출(341억 원) 대비 기술이전 규모가 압도적입니다.
- 시장 트렌드: 글로벌 ADC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하며 300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리가켐바이오의 ConjuAll 플랫폼은 링커 기술의 안정성과 효능으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며, 빅파마들의 높은 수요를 충족하고 있습니다.
- 미래 전망: 후기 임상 진입 파이프라인 증가와 신규 계약으로 단기 마일스톤과 선급금이 지속 유입될 전망입니다. 하나증권은 리가켐바이오의 기업가치가 마일스톤 확대와 신규 계약으로 5조 원을 초과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투자자 관점
- 강점: 리가켐바이오는 ADC 분야 글로벌 리더로, 연간 기술이전과 풍부한 파이프라인으로 안정적인 현금 흐름과 높은 성장성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리스크: 임상 실패 가능성과 기술이전 계약의 불확실성은 단기 주가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규모 바이오텍의 높은 연구개발 비용이 수익성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리가켐바이오의 연이은 기술이전과 ADC 파이프라인 가치는 바이오제약과 항암제 테마에 투자하려는 이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합니다. 투자자는 아래 포인트를 주목해야 합니다:
- ADC 시장의 구조적 성장: ADC는 항암제 시장의 차세대 기술로, 높은 효능과 낮은 독성으로 빅파마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리가켐바이오의 ConjuAll 플랫폼은 기술이전의 핵심 경쟁력입니다.
- 현금 유입 가속화: LCB84의 옵션 행사금(2600억 원)과 LCB14의 중국 출시 가능성은 단기 현금 흐름을 강화하며 주가 재평가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 파이프라인 다양성: LCB71, LCB41A, LCB97 등 다수의 임상 단계 파이프라인은 기술이전과 임상 성공 가능성을 높이며 장기 성장 동력을 제공합니다.
- 리스크 관리: 임상 데이터 발표와 기술이전 계약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투자자는 단기 변동성에 대비한 분산 투자와 주요 임상 결과 발표 시점을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투자 전략
- 중장기 투자: LCB14(2026년 중국 출시)와 LCB84(2025년 임상 1상 결과)를 고려해 중장기 보유 전략을 추천합니다.
- 테마 투자: 바이오제약, 항암제, ADC 기술 테마에 초점을 맞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세요.
- 모니터링: 2025년 예정된 LCB84, LCB71, LCB41A의 임상 1상 결과와 LCB97의 IND 승인 소식을 주시하세요.
관련된 주식 종목
아래는 리가켐바이오의 ADC 기술이전 및 파이프라인과 관련된 밸류체인 내 주요 주식 종목입니다. 경쟁사는 제외했습니다.
종목명시장설명
리가켐바이오 | 한국 | ADC 기술이전 및 파이프라인(LCB14, LCB84, LCB97 등)으로 글로벌 리더십. |
한미약품 | 한국 | 항암제 및 ADC 관련 파이프라인 개발, 리가켐바이오와 협력 가능성. |
유한양행 | 한국 | 항암제 및 차세대 바이오 기술 개발, ADC 시장 간접 수혜 기대. |
셀트리온 | 한국 | 항체 기반 치료제 전문, ADC 기술과의 시너지로 시장 확대 가능성. |
- 리가켐바이오: 연간 기술이전과 풍부한 ADC 파이프라인으로 5조 원 이상 기업가치 전망, 바이오텍 성장주로 주목.
- 한미약품: 항암제(포지오티닙) 및 ADC 관련 기술 개발로 리가켐바이오와의 협력 가능성, 글로벌 시장 진출 기대.
- 유한양행: 항암제 및 바이오 기술 파이프라인으로 ADC 시장 성장 수혜, 안정적인 재무 구조.
- 셀트리온: 항체 기반 치료제(램시마, 트룩시마)로 ADC 기술과의 시너지 가능, 글로벌 바이오 시장 선도.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부 드론 산업 얼라이언스 출범! 5대 프로젝트로 글로벌 시장 정조준 (0) | 2025.05.13 |
---|---|
코난테크놀로지, AI 혁신 폭발! LLM·RAG·AI PC로 조달 시장 정조준 (0) | 2025.05.13 |
보령 주가 급등! 마운자로 유통 기대감으로 비만치료제 시장 선점 기회 잡아라! (0) | 2025.05.13 |
삼현, 한국형 아이언돔 LAMD 계약 체결 (0) | 2025.05.13 |
천궁-Ⅱ, 중동 방산 시장을 장악하다: K-방산 투자 기회 잡아라! (0) | 2025.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