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 7월 10일,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잭 마)이 설립한 **앤트그룹(Ant Group)**이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Circle Internet Financial, NYSE: CRCL)**과 파트너십을 체결해 앤트의 블록체인 플랫폼(AntChain)에 USDC를 통합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소식으로 서클 주가는 7월 10일 뉴욕증시에서 1.11% 상승해 202.90달러를 기록했으며, 6월 5일 상장 이후 554% 폭등하며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이 파트너십은 핀테크, 블록체인, 스테이블코인 시장에 중대한 변화를 예고하며, 투자자들에게 새로운 기회를 제공합니다. 주요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파트너십 개요: 앤트그룹의 글로벌 부문인 앤트 인터내셔널은 서클의 USDC를 자사 블록체인 플랫폼(AntChain)에 통합해 국경 간 결제와 **기업 자금 관리(트레저리)**를 강화합니다. 이 통합은 미국의 GENIUS Act(2025년 6월 상원 통과)로 USDC가 규제 준수 요건을 충족한 후 본격화될 예정입니다. 정확한 타임라인은 미정이나, 양사는 규제 승인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 앤트그룹의 규모와 영향력: 앤트그룹은 알리페이를 운영하며 2024년 1조 달러 이상의 글로벌 결제를 처리했으며, 이 중 3분의 1(약 3300억 달러)이 블록체인을 통해 처리되었습니다. 앤트 인터내셔널은 2024년 매출 30억 달러를 기록하며 조정 후 흑자를 달성했으며, 홍콩증시 상장을 준비 중으로 80~240억 달러의 기업가치를 목표로 합니다.
- USDC의 강점: USDC는 620억 달러 시가총액으로 세계 2위 스테이블코인(전체 시장 2558억 달러의 24%)이며, 달러에 1:1로 연동된 안정성과 EU 및 미국 규제 준수로 신뢰도가 높습니다. 서클은 싱가포르, 홍콩, 룩셈부르크에서 스테이블코인 라이선스를 신청하며 글로벌 확장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 시장 트렌드: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2025년 월간 거래액 8000억 달러를 돌파하며 급성장 중입니다. 미국의 GENIUS Act와 홍콩의 스테이블코인 조례(2025년 8월 시행)는 규제 명확성을 제공하며, JPMorgan, HSBC, BNP Paribas 등 글로벌 은행들이 앤트와 협력해 토큰화 자산을 지원하는 등 기관 채택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재무적 영향: 앤트의 블록체인은 알리바바의 BABA 전자상거래 생태계(2024년 매출 1.3조 달러)와 연계되며, USDC 통합은 결제 효율성과 비용 절감을 통해 앤트의 수익성을 강화할 전망입니다. 서클은 IPO 후 시가총액 460억 달러를 돌파하며, 이번 파트너십으로 아시아 시장 진출과 기관 채택 확대를 통해 추가 성장 모멘텀을 확보했습니다.
- 미래 전망: 이 파트너십은 앤트의 16억 사용자와 서클의 규제 준수 스테이블코인을 결합해 아시아 중심의 국경 간 결제 혁신을 이끌 가능성이 높습니다. 앤트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와 토큰화 예금도 플랫폼에 통합하며, 디지털 금융과 DeFi(탈중앙금융) 시장의 선두주자로 부상할 전망입니다. 다만,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DCEP) 우선 정책과 미국 규제 불확실성은 변수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투자자 관점: 서클 주가는 상장 후 단기 조정을 겪었으나, 앤트 파트너십으로 5% 상승하며 강한 모멘텀을 회복했습니다. 앤트의 홍콩 상장 시 IPO 프리미엄과 블록체인 기반 결제 시장의 성장(2030년 2조 달러 전망)은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합니다.
리스크 요인:
- 규제 불확실성: 중국의 디지털 위안화 정책과 미국 SEC의 스테이블코인 규제 강화는 통합 일정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테더(USDT)**와 팍소스(USDG) 등 경쟁 스테이블코인의 시장 점유율(USDT 68%)은 서클의 성장에 제약을 줄 수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앤트그룹과 서클의 USDC 파트너십은 블록체인, 핀테크, 스테이블코인, 전자상거래 테마에 투자하려는 이들에게 중대한 기회를 제공합니다. 이 협력은 글로벌 결제 혁신과 기관 채택의 가속화를 예고하며, 다음과 같은 투자 인사이트를 제시합니다:
- 스테이블코인 시장 성장: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2025년 2558억 달러 규모로, 월간 거래액이 8000억 달러를 돌파하며 폭발적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서클의 USDC는 규제 준수와 투명성으로 기관 채택에서 우위를 점하며, 앤트의 1조 달러 결제 네트워크와의 통합은 시장 점유율 확대를 가속화할 전망입니다.
- 국경 간 결제 혁신: 앤트의 블록체인은 16억 사용자와 3300억 달러 온체인 거래를 처리하며, USDC 통합은 결제 속도와 비용 효율성을 높여 아시아 중심의 글로벌 결제 시장(2030년 2조 달러)을 선점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핀테크와 전자상거래 기업의 성장 동력이 됩니다.
- 규제 준수와 기관 채택: 미국의 GENIUS Act와 홍콩의 스테이블코인 조례는 스테이블코인의 법적 명확성을 제공하며, JPMorgan, HSBC 등과의 기존 협력은 앤트와 서클의 신뢰도를 높입니다. 이는 DeFi와 CBDC로의 확장 가능성을 강화합니다.
- 리스크 요인: 중국의 규제 환경은 디지털 위안화(DCEP)를 우선시하며 USDC의 중국 내 활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또한, EU의 AML 규제 지연과 **테더(USDT)**의 시장 지배력은 USDC의 성장에 도전 과제입니다. 투자자는 규제 동향과 경쟁 구도를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홍콩 IPO 모멘텀: 앤트 인터내셔널의 홍콩 상장(예상 기업가치 80~240억 달러)은 IPO 프리미엄과 블록체인 사업 확대로 투자 매력을 높입니다. 서클의 경우, 460억 달러 시가총액과 아시아 시장 확장은 추가 주가 상승을 견인할 가능성이 큽니다.
투자 전략:
- 장기 투자 관점: USDC 통합과 앤트의 IPO(2025년 말~2026년 초 예상)는 3~5년 보유 전략에 적합합니다.
- 분산 투자: 스테이블코인, 블록체인, 핀테크, 전자상거래 관련 종목을 포트폴리오에 추가해 리스크를 분산시킵니다.
- 리스크 관리: 중국 및 미국의 규제 동향, 서클의 분기별 실적(USDC 거래량, 수익 공유), 앤트의 IPO 일정을 모니터링하며, 주가 지지선(180~190달러)을 확인해야 합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앤트그룹과 서클의 파트너십은 스테이블코인, 블록체인, 핀테크, 전자상거래 밸류체인 내 기업들에 직접적인 수혜를 제공합니다. 아래는 관련 종목과 그 중요성을 정리한 표입니다.
종목명시장설명
서클 | 해외 | USDC 발행사로, 앤트와의 파트너십으로 아시아 결제 시장 진출 가속화. IPO 후 554% 상승, 시가총액 460억 달러로 추가 성장 전망. |
Circle | 한국 | 서클과 동일. 한국 투자자라면 USDC의 글로벌 채택 확대와 규제 준수로 인한 주가 상승 모멘텀에 주목. |
알리바바 | 해외 | 앤트그룹의 모회사로, 1.3조 달러 전자상거래 생태계와 블록체인 결제 혁신의 간접 수혜. USDC 통합으로 결제 효율성 강화. |
Alibaba | 한국 | 알리바바와 동일. 앤트의 홍콩 IPO와 블록체인 성장으로 주가 재평가 가능성. |
삼성전자 | 한국 | 블록체인 기반 결제와 토큰화 자산 관련 반도체(ASIC, GPU) 공급. 앤트의 블록체인 확대로 간접 수혜 기대. |
SK하이닉스 | 한국 | 블록체인 및 핀테크 데이터센터용 HBM 수요 증가로 수혜. 앤트의 온체인 거래 확대에 따른 간접 성장 전망. |
설명:
- 서클(Circle): USDC의 앤트체인 통합으로 아시아 시장 점유율 확대와 주가 상승 모멘텀 보유. 규제 준수로 기관 채택 가속화.
- 알리바바(Alibaba): 앤트그룹의 모회사로, 블록체인 기반 결제와 전자상거래 생태계의 시너지로 간접 수혜. 홍콩 IPO 성공 시 주가 재평가 가능.
- 삼성전자: 블록체인 인프라(서버, 칩셋)와 핀테크 결제 시스템의 반도체 수요 증가로 수혜.
- SK하이닉스: 앤트의 온체인 거래(3300억 달러)와 데이터센터 확대로 HBM 및 메모리 반도체 수요 증가 예상.
728x90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 7.2mg 출시, 비만치료 시장의 게임체인저 될까? (2) | 2025.07.11 |
---|---|
테슬라, 피닉스 로보택시 전쟁 선포! 웨이모와의 치열한 경쟁, AI 자율주행의 미래는? (3) | 2025.07.11 |
MP Materials, 국방부 4억 달러 투자로 희토류 패권 도전! 주가 50% 폭등 (1) | 2025.07.11 |
비트코인, 11만6000달러 돌파! ETF 유입과 기관 투자로 불붙은 암호화폐 시장 (1) | 2025.07.11 |
TSMC 6월 매출 급락! 환율과 재고 조정 속 AI 수요로 반등 기회 잡아라 (0) | 2025.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