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HD현대일렉트릭, '매수' 유지 & 목표주가 73만원 전격 상향!

Htsmas 2025. 9. 26. 08:25
반응형

대신증권은 HD현대일렉트릭(267260)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를 유지하는 동시에 목표주가를 35% 대폭 상향한 73만원으로 제시했습니다. 이는 글로벌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와 HD현대일렉트릭의 독보적인 수주 경쟁력에 기반합니다.

구분 3Q25 실적 전망 (전년 동기 대비) 핵심 내용
매출액 9,946억 원 () 고가 제품 비중 및 해외 수출 확대
영업이익 2,296억 원 () 높은 수익성 유지 (컨센서스 부합 기대)
영업이익률 () 미국향 매출 증가, 전력기기 가격 상승 등에 따른 수익성 개선
Sheets로 내보내기

핵심 포인트:

  • 수익성 개선 기대: 미국 관세 부과 우려에도 불구하고, 고가(高價)의 미국향 매출 비중 확대, 미국 외 지역의 전력기기 가격 상승, 그리고 미국 판매법인의 빠른 재고 소진 덕분에 수익성이 개선될 전망입니다.
  • 관세 부담 우려 완화: 매출액 전체가 아닌 실제 제품가격(매출 대비 약 )에만 관세가 적용되어 실제 부담은 우려보다 적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관세 부담의 이상을 고객에게 전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는 향후 정산될 예정입니다.
  • 수출 국가 다각화 및 대형 수주: 최근 유럽 초고압 변압기/차단기(GIS) 수주, 데이터센터용 전력기기 공급 MOU, 미국 765kV 변압기 24대(2,778억 원) 수주 등 북미를 넘어 유럽, 중동으로 전력기기 수출 지역을 성공적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HD현대일렉트릭의 투자 아이디어는 글로벌 전력 인프라 대격변의 핵심 수혜주라는 점에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동시에 발생하는 3대 메가 트렌드가 동사의 성장을 폭발적으로 이끌고 있습니다.

명확한 투자 인사이트 및 전략

  1. 전력 인프라 슈퍼 사이클 (Super Cycle):
    • AI/데이터센터 붐: AI 확산에 따른 데이터센터 건설 급증은 전례 없는 수준의 전력기기 수요 폭증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중동지역의 AI 데이터센터 건설도 추가적인 모멘텀입니다.
    • 에너지 전환 (그리드 혁신): 유럽의 재생에너지 확산, 그리고 미국의 장거리 송전 효율화(765kV 송전망 건설, GIS 설치 등)를 위한 노후 송전망 고도화 투자가 필수적입니다.
  2. 수익성/성장성 동시 확보: 미국향 고가 제품 비중 확대, 전력기기 가격 상승(P-up) 효과, 그리고 관세 리스크의 성공적인 전가 능력을 바탕으로 높은 마진율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3. 지역적/제품적 다각화: 북미 외 유럽, 중동으로의 수주 확대와 더불어, 4Q25 완료될 배전기기 증설을 통해 향후 배전기기 매출 증가까지 예상됩니다.

주요 리스크 포인트

  • 원자재 가격 변동성: 전력기기의 주요 원자재인 구리, 철강 등의 가격 급등은 제조 원가를 높여 일시적으로 마진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환율 변동성: 수출 중심의 기업이므로 급격한 환율 변동은 실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및 보호무역: 글로벌 경쟁사의 공격적인 증설이나 각국의 보호무역 정책 강화는 잠재적인 리스크 요인입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HD현대일렉트릭은 전력기기(변압기, 차단기 등)를 생산하는 기업으로, 글로벌 전력 인프라 밸류체인의 최상단에 있습니다. 직접적인 밸류체인 관계는 없으나, HD현대일렉트릭의 수주 증가와 시장 확대는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라는 동일 테마수혜를 공유하는 다른 종목들의 매력도를 높입니다.

종목명 (코드) 관련성 (테마) 설명
LS ELECTRIC (000200) 전력기기/자동화 국내외 전력 인프라 투자 확대 및 북미/아시아 지역 수혜. 전력기기, 자동화 솔루션 등 유사 분야의 대표적인 수혜 기업.
제룡전기 (033100) 변압기/배전반 중소형 변압기 및 배전반 전문 기업. 북미 전력 시장 성장에 따른 수출 증가 기대. 배전 분야의 수혜주로 주목.
HD현대중공업 (329180) HD현대 그룹사 HD현대일렉트릭의 모회사 역할을 하는 그룹사. 조선업 외 HD현대 그룹 전반의 성장 수혜를 공유.
KOC(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015760) 전력망 운영/투자 전력 인프라 수요 증가의 최종 사용자이자 국내 전력망 고도화의 주체. 장기적인 전력 수요 증가에 따른 근본적인 수혜 기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