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두나무−네이버 ′ 원화스테이블코인 ′ 협력공식화!빗썸−토스연합과韓디지털금융패권전쟁격화

Htsmas 2025. 9. 29. 13:27
반응형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가 네이버의 비상장 자회사인 네이버파이낸셜과의 포괄적 주식교환을 추진하며 네이버 손자회사 편입을 사실상 앞두고 있습니다. 이 결정은 양사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본격화하겠다는 선언으로 풀이됩니다.

연합체 핵심 전략 스테이블코인 상표명 (출원) 투자자 관점의 중요성
두나무(업비트) - 네이버 연합 네이버파이낸셜과 주식교환 추진, 네이버 생태계 연동 통한 실사용 확대. KRWNP, NWON, NKRW (네이버), UPKRW, UBWON (두나무) 거대 플랫폼의 결제 인프라최대 가상자산 거래소의 시너지. 스테이블코인 실사용 가치 증대.
빗썸 - 토스 연합 토스의 결제 시스템 기술력 활용, 빗썸은 300억 규모 생태계 육성 공모전을 통한 미래 유망주 발굴. TOSSKRW (토스), KRWSTABLE, BithumbKRW (빗썸) 토스의 강력한 핀테크 플랫폼 연동 가능성. 선제적 생태계 투자를 통한 장기적 경쟁력 확보.
규제 환경 정치권 및 정부가 가상자산 제도화를 국정 과제로 추진. 명확한 스테이블코인 규제안 통과 임박. 규제 환경 명확화 후 사업의 폭발적 확장 기대. 제도권 금융 편입 시도.  
 

두나무-네이버 연합은 두나무의 블록체인 플랫폼 **‘기와(GIWA)’**를 통해 네이버의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유통하고, 이를 결제, 송금, 인증 등 실제 금융 영역에 활용할 계획입니다. 특히 두나무가 출원한 ‘도장(DOJANG)’ 상표는 금융당국의 신원확인(KYC) 규제를 준수하며 편리한 인증을 제공할 핵심 시스템으로 주목됩니다.

이에 맞서 빗썸-토스 연합'BPay' 상표 출원 등 결제 시스템 도입을 검토하고, 300억 원 규모의 생태계 육성 공모전을 통해 기술력 및 사업 모델 확보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업계는 스테이블코인 규제 제도화가 임박함에 따라, 입법을 계기로 이들 연합체의 디지털 금융 패권 경쟁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핵심 투자 인사이트: 원화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수혜 및 '디지털 금융 인프라' 투자 기회

두나무-네이버 vs 빗썸-토스 연합의 스테이블코인 경쟁은 가상자산이 제도권 금융 및 실물 경제 영역으로 편입되는 중대한 변화를 의미합니다. 스테이블코인은 결제, 송금, 디파이(DeFi) 등 활용 범위가 무궁무진하므로, 이를 선점하는 기업은 차세대 디지털 금융 시장의 주도권을 쥘 것입니다.

  1. 플랫폼-거래소 결합 시너지 (시장 선점):
    • 네이버/토스와 같은 거대 핀테크/플랫폼 기업의 압도적인 사용자 기반두나무/빗썸가상자산 기술력 및 유동성이 결합되면, 기존 금융 서비스를 빠르게 대체할 수 있는 혁신적인 결제 수단이 탄생합니다.
    • 스테이블코인은 결제 수수료 절감 및 실시간 송금 등의 이점을 제공하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들의 신규 수익원이 될 것입니다.
  2. 정책 리스크 해소 및 사업 확장 (규제 수혜):
    • 정부 및 정치권의 스테이블코인 제도화 노력은 가상자산 시장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높여 기관 투자자 및 일반 대중의 수용을 가속화합니다.
    • 규제 명확화 이후, 스테이블코인 관련 사업을 선제적으로 준비한 기업들은 초대형 금융 시장으로 사업을 빠르게 확장할 수 있는 기회를 얻습니다. (관련 테마: #핀테크, #블록체인, #디지털금융)
  3. 블록체인 기술 인프라 수요 증가:
    •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및 유통에는 두나무의 **'기와'**와 같은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이 필수적입니다.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의 기술력 가치 및 서비스 채택이 증가할 것입니다.

리스크 요인

  • 규제 불확실성: 스테이블코인 제도화가 예상보다 지연되거나, 도입될 규제가 사업 모델에 지나치게 엄격할 경우 시장 성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및 과도한 투자: 두 거대 연합 간의 경쟁이 격화되면서 과도한 마케팅 비용이나 생태계 투자 비용이 발생하여 단기적으로 수익성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 기술적 이슈 및 보안: 스테이블코인 유통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예: 기와)이나 결제 시스템에서 보안 사고나 기술적 결함이 발생할 경우, 시장 신뢰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스테이블코인 경쟁은 두나무/빗썸 거래소와 네이버/토스 핀테크 플랫폼이 엮인 디지털 금융 밸류체인에서 발생합니다.

종목명 주요 사업 내용 및 관련성 비고
네이버 네이버파이낸셜을 통해 두나무와 스테이블코인 사업 협력. 거대 플랫폼 기반의 결제, 송금 인프라 제공. 코스피
카카오 두나무의 주요 주주 중 하나로, 두나무의 성장 수혜를 공유. 또한 카카오페이 등 핀테크 분야에서 토스의 경쟁사로서 간접적인 관련성 보유. 코스피
SBI인베스트먼트 빗썸의 주요 주주사로 알려짐. 빗썸 연합의 스테이블코인 사업 확장 시 지분 가치 상승 기대. 코스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