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과 중국의 기술 패권 경쟁이 문서 소프트웨어 분야로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 및 교육 기관이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의 워드 대신 자국산 'WPS 오피스' 사용을 의무화 및 장려하고 나섰습니다. 이는 중국이 디지털 주권과 기술 독립을 강화하려는 전략적 조치로 풀이됩니다.
핵심 동향 및 배경:
- 정부 기관 선도: 중국 상무부와 외교부가 최근 대외 발표 자료 배포 시, 기존 MS 워드나 PDF 대신 WPS 오피스 전용 포맷을 사용하는 첫 사례를 만들었습니다. 이는 중국 정부 차원의 강한 의지를 시사합니다.
- 교육 기관 확산: 새 학기를 맞아 상하이교통대, 광시예술대학 등 중국 전역의 주요 대학들이 학생 및 교직원에게 **WPS 오피스의 유료 계정(얼티메이트, 교육판 멤버십)**을 무료로 배포하며 사용을 적극 장려하고 있습니다.
- WPS 오피스 개발사: WPS 오피스는 중국 최초의 소프트웨어 기업 중 하나인 **킹소프트(Kingsoft, 중국명 진산)**가 개발했습니다. MS 오피스와 호환되지 않아 WPS를 설치하거나 변환해야 합니다.
- 디지털 독립 전략: 2022년 국유기업에 2027년까지 운영 시스템 및 사무용 소프트웨어의 국산화를 지시하는 등, 중국은 핵심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외산 의존도를 낮추는 기술 독립을 국가적 목표로 추진 중입니다.
투자자 관점:
- 중국 소프트웨어 시장의 독점화: 중국 정부의 지원과 대학의 대규모 보급으로 WPS 오피스(킹소프트)는 중국 내에서 사실상 독점적인 지위를 구축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 '디지털 자립' 테마의 확산: 이는 단순한 문서 편집기를 넘어 운영체제(OS),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소프트웨어 등 광범위한 IT 인프라 분야로 국산화 요구가 확산될 것임을 예고합니다.
- 글로벌 IT 기업의 리스크: MS와 같은 글로벌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중국 시장에서 영향력 상실 및 매출 감소라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직면할 수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중국의 WPS 오피스 강제 전환은 '자국 기술 우대' 정책이 문서 소프트웨어라는 기초 인프라 영역에서까지 본격화되었음을 의미합니다. 투자 아이디어는 **중국의 디지털 자립 수혜주(킹소프트)**와 함께, 이와 대비되는 한국의 소프트웨어/보안 기술 경쟁력에 주목해야 합니다.
핵심 투자 포인트:
- 중국판 MS, 킹소프트(Kingsoft)의 폭발적 성장: 중국 정부와 대학의 전폭적인 지원에 힘입어 킹소프트의 WPS 오피스 점유율 및 유료 가입자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이는 안정적이고 독점적인 수익원이 될 것이며, 클라우드 및 AI를 접목한 서비스 확장 잠재력도 높습니다.
- 소프트웨어 국산화 확산 수혜: 사무용 소프트웨어 국산화는 운영체제(OS) 및 시스템 소프트웨어, 데이터베이스(DB), 보안 솔루션 등 다른 필수 IT 인프라 영역에서도 유사한 정책적 압력이 가해질 것임을 예고합니다. 중국의 기술 독립 테마 전반에 대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 한국 소프트웨어/보안 산업의 반사 이익: 미·중 갈등 심화로 글로벌 기업들이 중국 시장에서 철수하거나 어려움을 겪을 때, 한국 기업들의 소프트웨어 및 IT 솔루션이 동남아, 유럽 등 제3국 시장에서 대안으로 부각될 수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
- 킹소프트의 해외 시장 한계: WPS 오피스는 MS 오피스 대비 글로벌 시장 경쟁력이 아직 낮습니다. 중국 내 독점화가 해외 시장 매출로 이어지는 데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지정학적 리스크의 확산: 미·중 기술 패권 경쟁의 심화는 국내 기업들에게도 중국 사업 불확실성 증대, 혹은 미국 시장 진출 시 특정 기술 사용 제한 등 예측하기 어려운 리스크를 안겨줄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중국 소프트웨어 국산화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인 **킹소프트(Kingsoft)**와, 유사한 지정학적 테마 하에 글로벌 시장 확대를 노릴 수 있는 국내 기업들을 선정합니다.
| 종목명 (국가) | 종목 코드/티커 | 관련성 및 투자 포인트 |
| 킹소프트 (Kingsoft) (중국/홍콩) | 3888 (HK) | WPS 오피스 개발사. 중국 정부의 강력한 국산화 정책 및 대학의 무료 배포 캠페인을 통해 중국 내 시장 점유율 독점 및 폭발적 성장 기대. |
|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미국) | MSFT | 기존 시장 강자(MS Office). 중국의 국산화 정책으로 인한 중국 시장의 매출 및 점유율 하락 리스크를 가장 크게 받는 글로벌 기업. |
| 한글과컴퓨터 (한국) | 030520 | 국내 대표 사무용 소프트웨어 개발사. 공공/교육 기관의 국산 소프트웨어 사용 확대 트렌드와 유사한 성격으로, 자체 OS 및 클라우드 서비스 확장 기대감. |
| 더존비즈온 (한국) | 012510 | 국내 기업용 소프트웨어/ERP/클라우드 강자. 소프트웨어 자립 및 클라우드 전환 요구에 부응하며 국내 시장 지배력 강화 기대. |
728x90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지프·포드, 공장 '셧다운' 비상! 2020년 데자뷔? 車 생산 멈춘 3대 악재 (0) | 2025.10.20 |
|---|---|
| 美 '헬스 테크 투자법' 발의…韓 AI 의료기업 반사이익 기대 (0) | 2025.10.20 |
| 애플, 고집 꺾었다! 2026년 '터치 OLED 맥북 프로' 출시 임박! 노트북 시장 대격변 (0) | 2025.10.17 |
| MS, '코파일럿'으로 윈도우 혁명! OS 전체에 AI 심었다! 'Copilot + AI PC' 시대 개막 (0) | 2025.10.17 |
| 트럼프-푸틴, '부다페스트 평화회담' 전격 합의! 러-우 전쟁 종식 기대감 폭발 (0) | 2025.1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