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김밥 열풍'에 김 수출 역대급 폭발!

Htsmas 2025. 10. 17. 14:41
반응형

한국의 대표 음식인 김밥과 그 핵심 재료인 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역대 최대 수출 실적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냉동김밥이 간편하고 고급스러운 한식으로 입소문을 타면서 K-푸드 열풍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핵심 수출 지표 (2025년 1~9월 기준):

구분 수출액 (누적)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물량 (톤) 세계 시장 점유율
8억 8200만 달러 (약 1조 2500억 원) 14% 증가 29,354톤 약 70%

주요 시장 트렌드:

  • 글로벌 히트 상품: 냉동김밥 🍙
    • 미국 트레이더조스에서 출시 후 몇 주 만에 품절 사태를 일으켰고, 코스트코 등 대형 마트와 독일, 호주, 남아공 등 전 세계적으로 김밥 전문점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 SNS를 통해 '데우기만 하면 한국 맛집 김밥'이라는 리뷰가 퍼지며 인기가 가속화되었습니다.
  • 수출 지역 다변화:
    • 기존 주요 수출국은 일본, 미국, 중국 순이지만, 유럽이 새로운 유망 지역으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작년 유럽 지역 김 수출액은 전년 대비 약 40% 증가했습니다.
    • 동원F&B는 '양반김', '양반 김부각' 등을 앞세워 기존 유럽 시장(독일, 영국, 프랑스) 외에 이탈리아, 스페인 등 지중해 권역으로 수출 확대를 추진 중입니다.
  • 엔터테인먼트 시너지: 넷플릭스 콘텐츠('케이팝 데몬헌터스') 및 예능 프로그램('어쩌다 사장3')에서 김밥의 폭발적인 인기가 확인되며 K-푸드 열풍이 더욱 거세지고 있습니다.

투자자 관점:

  • 확고한 시장 지배력: 한국산 김이 세계 시장 점유율 약 70%를 차지하는 만큼, 글로벌 김 수요 증가는 국내 김 가공 및 유통 기업의 매출 증가로 직결됩니다.
  • 고부가가치 상품 확대: 단순 조미김을 넘어 냉동김밥, 김부각 등 고부가가치 가공식품 수출이 늘어나면서 기업들의 수익성이 개선될 구조적 환경이 마련되었습니다.
  • 유럽 시장 성장 잠재력: 유럽 시장이 전년 대비 40%의 성장률을 보인 것은 미국에 이은 제2의 폭발적 성장 시장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투자 아이디어

김밥 열풍으로 촉발된 김 수출 증가는 'K-푸드 세계화' 테마의 가장 강력한 실적 모멘텀입니다. 투자는 가공식품 수출 능력원재료(김) 수급 안정성을 동시에 갖춘 기업에 집중해야 합니다.

 핵심 투자 포인트:

  1. 냉동 HMR (가정 간편식) 포트폴리오 강화: 냉동김밥의 성공은 냉동 HMR 시장에서의 K-푸드 경쟁력을 증명합니다. 대량 생산 능력글로벌 유통망을 갖추고 냉동김밥, 김부각 등 다양한 K-푸드 HMR 수출을 늘릴 수 있는 기업이 핵심 수혜주입니다.
  2. 원재료 조달 및 가공 기술: 김 수출의 폭발적 성장은 원재료인 마른김의 안정적인 조달과, 이를 고품질의 조미김 및 가공김밥으로 가공하는 기술력을 가진 기업의 가치를 높입니다. 특히, 원재료 가격 변동에 대한 수직 계열화 역량을 갖춘 기업이 유리합니다.
  3. 유럽 시장 공략 수혜: 동원F&B처럼 유럽 시장으로 공격적인 확장에 나서는 기업들은 새로운 대규모 매출처를 확보하며 장기적인 성장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유럽 지역 매출 비중 증가 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리스크 요인:

  • 원가 변동성: 김 가격은 해양 환경 및 작황에 따라 변동성이 크므로, 원재료 가격 급등은 가공 기업들의 단기적인 수익성 악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김밥 및 김의 글로벌 인기에 힘입어 해외 기업 및 중국 등 경쟁국들의 유사 제품 출시 및 가격 경쟁이 심화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김 수출 확대 및 냉동김밥 등 K-푸드 가공식품 수출의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들을 선정합니다.

종목명 (국가) 관련성 및 투자 포인트
동원F&B (한국) 양반김 등 김 가공식품 국내외 선두주자. 유럽 등 신규 시장으로의 공격적인 확장 및 냉동김밥 등 K-푸드 HMR 수출 확대 수혜.
CJ제일제당 (한국) K-푸드 HMR 시장의 글로벌 강자. 김밥을 포함한 냉동 HMR 제품군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비비고' 브랜드의 글로벌 유통망을 통해 수혜 기대.
사조대림 (한국) 조미김 및 수산 가공품 제조사. 김 수요 증가에 따른 조미김 수출 증가 및 냉동김밥 등 가공식품 시장 성장의 간접적 수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