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AI가 쏘아 올린 '인프라 슈퍼 사이클'! 맥쿼리 "향후 15년간 $19조 투자 폭발"! 노후 전력망·데이터센터 '아웃소싱' 수혜주를 잡아라!

Htsmas 2025. 10. 27. 13:34
반응형

글로벌 인프라, '노후화 & AI 확산'이 결합된 새로운 투자 사이클 진입

맥쿼리자산운용의 앤드루 올리닉 총괄은 글로벌 인프라스트럭처 산업이 향후 10~15년간 기술 발전과 도시 혁신을 기반으로 디지털화 및 아웃소싱 중심의 새로운 성장 사이클에 진입할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핵심 시장 현황 및 투자 규모:

구분 내용 투자자 관점의 의미
투자 필요 규모 북미·유럽 에너지, 통신, 수도, 운송 분야에 2040년까지 약 19조 달러 투자 추정. 미국 인프라 투자 수요만 2033년까지 약 7.4조 달러. 압도적인 투자 규모는 관련 산업 밸류체인의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보장.
노후화 문제 미국 전력망 70% 이상 25년 초과, 유럽 배전망 40% 이상 40년 초과. 노후 인프라 보강은 선택이 아닌 필수이며, 복원력 강화와 현대화 수요를 창출.
AI의 영향 AI 확산으로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 급증, 발전 및 송배전망 확충이 필수 과제로 부상. 인프라 투자의 시급성과 규모를 높이는 결정적 동인.

새로운 인프라 투자 패러다임:

  1. 투자 영역 확장: 전통적인 도로나 교량 같은 물리적 자산 외에 데이터센터, 스마트 시스템, 지능형 교통 시스템, 도심형 전력망 등 디지털 기반 시설까지 인프라 투자 영역이 확대됨.
  2. 아웃소싱 중심의 시장 재편: 인프라 프로젝트의 **규모와 복잡성(AI, 재생에너지 등)**이 커짐에 따라, 전문적인 작업과 서비스를 외부에 위탁하는 아웃소싱(Outsourcing) 경향이 강화될 전망. 이는 전문 서비스 제공 업체의 성장을 촉진합니다.
  3. 인프라 인접(Adjacent) 투자 부상: 인프라 운영에 필수적인 특수 서비스, 제품, 기술을 공급하는 기업에 대한 M&A 및 바이아웃 투자가 활발해지고 있음. (맥쿼리도 '다이너그리드' 등 유틸리티 서비스 기업 인수)

방어적 성장 동력: 올리닉 총괄은 인프라 인접 기업들이 높은 진입장벽, 가격결정력, 시장 내 우월한 지위를 통해 경기 사이클과 무관하게 현금흐름을 안정화하고 **마진을 방어하는 '방어적 성장'**이 가능하다고 강조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AI-노후 인프라-아웃소싱' 결합: 첨단 전력망 및 데이터센터 밸류체인에 집중

맥쿼리가 제시하는 인프라 투자 전략은 **AI 시대를 위한 필수 인프라(전력망, 데이터센터)**에 집중하고, 그 운영 효율성을 높이는 아웃소싱 및 인접 기술 기업을 선별하라는 것입니다.

  1. 첨단 전력망 현대화 수혜 (필수 인프라):
    • 핵심 기회: 미국과 유럽의 노후화된 전력망 교체 및 AI 데이터센터의 전력 수요 대응을 위한 송배전망 확충은 거스를 수 없는 흐름입니다. 스마트그리드, 변압기, 전선, 송전 기술 등 전력 인프라 현대화에 필수적인 설비 및 기술을 공급하는 기업들이 막대한 수혜를 볼 것입니다.
    • 전략: 특히 미국 인프라법(IRA) 수혜를 통해 북미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는 국내 전력 기자재 기업에 주목해야 합니다.
  2. 디지털 인프라 및 아웃소싱 전문 기업:
    • 핵심 기회: 데이터센터, 지능형 교통 시스템 등 디지털 인프라의 확장은 해당 시설의 설계, 건설, 운영 및 유지보수(O&M) 아웃소싱 수요를 폭발적으로 증가시킵니다.
    • 전략: 물리적 자산 투자가 아닌, 인프라 운영에 필수적인 특수 서비스, 소프트웨어(스마트 시스템), 전문 엔지니어링 역량을 제공하는 기업이 '방어적 성장'의 요건을 갖춥니다.
  3. 리스크 요인:
    • 긴 투자 회수 기간: 인프라 투자는 특성상 장기적인 안목이 필요하며,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투자금 회수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습니다.
    • 정책 및 규제 리스크: 각국 정부의 규제 및 정책 방향에 따라 프로젝트의 진행 속도와 수익성에 변동이 생길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AI 확산과 노후 인프라 현대화라는 메가 트렌드 속에서 전력 인프라 및 인접 서비스 분야의 성장이 기대되는 국내외 기업을 선정했습니다.

구분 종목명 핵심 투자 이유
전력 인프라 (AI-송배전망 수혜) HD현대일렉트릭 고전압 변압기 등 전력 기기 공급사. AI 데이터센터 및 노후 전력망 교체 수요에 따른 북미/유럽향 수주 증가 최대 수혜주.
전력 인프라 (AI-송배전망 수혜) 효성중공업 전력 변압기, 차단기, ESS 등 전력 인프라 전반의 설비 공급. 특히 ESS와 결합된 스마트그리드 분야의 확장 기대.
인프라 인접 서비스 (O&M/컨설팅) LS ELECTRIC 스마트그리드, 배전 시스템 등 전력 자동화 솔루션 분야 강점. 디지털화된 전력망 운영 및 관리(아웃소싱) 서비스 수혜 예상.
디지털 인프라 (데이터센터) SK텔레콤 AI 데이터센터 구축 및 운영(서비스) 부문 확대. 통신 인프라를 넘어선 디지털 인프라 및 스마트 시스템 투자 확대의 간접 수혜.
해외 인프라 대표 기업 블랙록 (BlackRock) (미국) 글로벌 최대 자산운용사. 인프라, 에너지 등 대체 투자에 적극적이며, 노후 인프라 현대화 투자 기회를 포착하는 대표적인 대형 투자 기관.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