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내 대표 시각특수효과(VFX) 전문기업 **엠83(M83, 476080)**이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바탕으로 세계 최대 규모의 중국 영화 시장 공략을 본격화합니다. 베이징시 통저우구 정부 인사들이 엠83 본사를 방문해 **'한·중 VFX 베이스 공동 구축'**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습니다.
MOU의 핵심 내용 및 파격적인 혜택
- 협력 내용: M83이 중국 베이징시 통저우구 현지에 지사를 설립하고, 양국 VFX 산업의 국제적 발전을 도모합니다. 베이징 지사를 거점으로 VFX 기술 R&D, 영상 제작, 관련 사업 등을 공동으로 전개합니다.
- 중국 정부의 지원: MOU가 중국 정부기관 하에 진행됨에 따라 M83은 다음과 같은 파격적인 혜택을 받게 됩니다.
- 인프라 제공: 공공기관 산업단지 내 사무공간, 네트워크 등 각종 인프라 제공.
- 행정/정책 지원: 행정 및 정책 연계, 클러스터 자원 공유.
- 사업 연계: 프로젝트 창작 지원 및 향후 중국 내 영화 산업 프로젝트 수주 기대.
중국 VFX 시장의 매력
- 압도적 시장 규모: 중국 박스오피스 규모는 지난해 기준 약 8조 5,000억 원으로, 국내 박스오피스(약 1조 1,945억 원) 대비 7배 이상 거대합니다.
- 성장 요인: 대형 스크린 인프라 확대와 로컬 IP의 글로벌 흥행에 힘입어 고품질 VFX 수요가 구조적으로 확대되는 국면에 있습니다. 베이징은 제작, 후반, 투자 등이 집적된 **'콘텐츠 클러스터'**로서 아시아 국제 교류의 핵심 관문입니다.
- M83의 경쟁력: M83은 1세대 VFX 슈퍼바이저인 정성진 대표를 비롯한 핵심 인력, 검증된 제작 역량, 자체 소프트웨어 개발 능력 등으로 중국 정부의 신뢰를 얻었습니다. 이미 '749국', '너자2' 등 중국 블록버스터 영화 및 애니메이션 수주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한한령 해제 기대감
최근 시진핑 주석의 11년 만의 방한에 한한령(限韓令) 해제 기대감이 증폭되고 있어, 중국 정부와의 공식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한 M83의 다음 행보가 더욱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차이나 리오프닝'과 'VFX 콘텐츠'의 폭발적 결합
엠83의 중국 베이징 지사 설립은 거대 자본과 정부 지원이 결합된 중국 시장에 한국의 선진 VFX 기술력이 교두보를 확보했다는 점에서 단순한 계약 이상의 의미를 가집니다. 투자자들은 한한령 해제와 함께 폭발할 중국 콘텐츠 시장의 성장을 선점할 수 있는 VFX 및 콘텐츠 제작 기술 기업에 집중해야 합니다.
핵심 투자 포인트
- 중국 콘텐츠 시장 폭증 수혜: 중국 영화 시장의 구조적 성장과 함께, 중국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은 M83의 안정적인 프로젝트 수주와 매출 확대로 직결될 것입니다. 특히 로컬 블록버스터 영화 제작에 필수적인 고품질 VFX 수요를 선점할 수 있습니다.
- '한·중 VFX 허브' 도약 가능성: 베이징을 거점으로 아시아 VFX 공급망의 허브 역할을 수행하게 되면, 글로벌 공동 제작 프로젝트 수주가 늘어나면서 기업의 기술적/사업적 신뢰도와 가치가 동반 상승할 것입니다.
- 한한령 해제 시 폭발력: 시진핑 주석 방한과 맞물린 한한령 해제 기대감은 중국 내 한국 콘텐츠 수요를 폭발시킬 수 있습니다. M83은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는 파트너로서, 가장 빠르게 이 수혜를 흡수할 수 있는 위치에 있습니다.
리스크 요인
- 정치적 리스크: 중국 정부와의 협력인 만큼, 양국 간의 외교 관계나 정책 변화에 따라 사업의 안정성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현지 안착 및 경쟁: 중국 내 VFX 산업도 경쟁이 심화되고 있어, M83의 기술력과 관리 역량이 현지에서 지속적인 경쟁 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지 면밀히 관찰해야 합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중국 콘텐츠 시장 개방의 선두 주자
본 내용은 VFX 기술을 바탕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하는 엠83에 관한 것이 핵심입니다. 따라서 엠83을 비롯해 VFX, 미디어 제작 및 중국 시장 개방 수혜와 관련이 깊은 기업이 주요 종목이 됩니다.
| 구분 | 종목명 | 투자 중요성 (Why?) |
| VFX 기술 선두 기업 | 엠83 | 중국 베이징 정부와 MOU를 체결하고 대규모 인프라 및 정책 지원을 받는 가장 직접적인 수혜주. 중국 VFX 시장 공략의 교두보 확보. |
| VFX 및 미디어 콘텐츠 제작 | 덱스터 | 국내 대표적인 VFX 기술 및 콘텐츠 제작 기업으로, 중국 시장 개방 및 아시아 공동 제작 트렌드 확산 시 동반 수혜 기대. |
| 콘텐츠 IP 및 제작 | 스튜디오드래곤 | 중국 OTT 시장 개방 및 한한령 해제 시 가장 큰 수혜가 기대되는 국내 대표 드라마 제작사. |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LS일렉트릭, ESS 핵심 美 시장 진출 '초고속 성장 엔진' 장착 완료 (0) | 2025.11.05 |
|---|---|
| 삼성바이오로직스, 생산능력 확대와 함께 CMO 수주 신기록 달성 (0) | 2025.11.04 |
| 포스코그룹, 클리블랜드 클리프스 지분 확보로 북미 시장 공략 가속화 (0) | 2025.11.04 |
| 테슬라發 ESS 특수! 강원에너지, 삼성SDI에 '무수수산화리튬' 단독 공급 (0) | 2025.11.04 |
| "HBM 혁명" 온다! 한미반도체, 차세대 '와이드 TC 본더' 2026년 출시 예고 (0) | 2025.1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