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14조 비만 치료제 전쟁 발발! 노보/화이자, 멧세라 인수 '총력전'… 디앤디파마텍 수혜는

Htsmas 2025. 11. 5. 15:18
반응형

차세대 글로벌 비만 치료제 시장의 패권을 선점하기 위해 **노보노디스크(Novo Nordisk, 노보)**와 **화이자(Pfizer)**가 임상 단계 바이오기업 멧세라(Metsera) 인수를 두고 격렬한 법정 공방과 함께 인수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투자자가 주목해야 할 핵심 포인트:

  • 노보의 우위 확보: 델라웨어 형평법원이 화이자가 제기한 노보의 인수 제안 일시 중단 명령(TRO)을 기각하면서, 멧세라 이사회는 노보의 수정 제안을 **'우월한 제안(Superior Proposal)'**으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 인수 가격 격차: 노보는 최대 100억 달러(약 14조 4,900억 원) 규모의 역제안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화이자의 기존 계약(72억 달러)보다 약 40% 높은 수준이며, **주당 현금 지급 및 조건부 가치권(CVR)**을 포함하는 구조로 주주 환급 및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 화이자의 막판 반격: 화이자는 노보의 인수를 '불법적 경쟁 제한 행위'로 주장하며 두 번째 소송을 제기했으나 기각당했습니다. 이후 약 81억 달러 규모의 수정 제안을 제시했으나 멧세라 이사회에 의해 수용되지 않았으며, 2영업일 내 추가 상향안이 없을 경우 기존 계약이 해지될 수 있습니다.
  • 멧세라의 핵심 자산: 멧세라는 주 1회 투여형 GLP-1 수용체 작용제(RA) 후보물질(MET-097i)과 아밀린 아날로그 후보물질(MET-233i) 등 차세대 펩타이드 치료제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국내 기업과의 연결고리: 멧세라는 지난해 국내 바이오기업 디앤디파마텍5,500억 원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고 경구형(먹는) GLP-1 후보물질 6종을 도입한 상태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노보와 화이자의 멧세라 인수 경쟁은 비만 치료제 시장이 향후 수백조 원 규모의 초대형 시장으로 성장할 것임을 시사합니다. 특히 주사제형의 한계를 극복경구형 GLP-1 치료제를 확보하려는 두 거대 제약사의 총력전은 이 분야에 투자하는 국내 기업들에 대한 관심을 증폭시킬 것입니다.

GLP-1/경구형 비만 치료제 및 바이오 CMO/CDMO 테마

  • 메가 트렌드 (비만 치료제 혁명): GLP-1 계열 약물은 단순 체중 감량을 넘어 심혈관 질환 개선 효과까지 입증하며 **'게임 체인저'**로 불립니다. 노보가 시장 내 신흥 경쟁사를 조기에 차단하려는 전략(화이자의 주장)은 이 시장의 잠재적 가치가 얼마나 큰지를 방증합니다.
  • 투자 전략: 멧세라의 '한국 파트너' 주목: 멧세라의 핵심 파이프라인인 경구형 GLP-1 후보물질 6종이 디앤디파마텍과의 기술이전 계약을 통해 도입되었다는 점이 핵심입니다. 인수전의 승자와 관계없이, 기술력을 인정받은 국내 파트너사는 멧세라의 가치 상승 및 최종 인수 기업의 전략적 중요성 증대에 따라 동반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경구형/차세대 비만 치료제 기술: 투자자들은 단순히 주사제 GLP-1을 넘어, 복용 편의성이 높은 경구형GLP-1 외 다양한 기전을 활용하는 차세대 비만 치료제 기술을 보유한 국내 바이오텍에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잠재적 리스크 및 주의사항

  • 인수 경쟁 불확실성: 화이자가 2영업일 내에 노보의 제안을 뛰어넘는 상향안을 제시할 경우, 인수전의 향방은 다시 바뀔 수 있습니다. 인수 주체의 변화는 기술 개발 속도나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기술 개발 단계 리스크: 멧세라가 보유한 파이프라인은 현재 임상 단계에 머물러 있습니다. 임상 실패 및 지연 가능성은 언제나 존재하며, 이는 기술이전 파트너인 국내 기업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멧세라 인수 경쟁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을 수 있는 '기술이전 파트너'와 광범위한 GLP-1 시장 성장의 간접적 수혜가 예상되는 기업을 선정합니다. (경쟁사인 노보노디스크와 화이자는 제외)

구분종목명핵심 연관성 및 투자 포인트

핵심 기술 파트너 디앤디파마텍 멧세라에 경구형 GLP-1 후보물질 6종을 기술이전한 국내 기업. 멧세라의 가치 상승 및 노보/화이자의 전략적 확보에 따른 직접적인 수혜 기대.
GLP-1 CMO/CDMO 삼성바이오로직스 다국적 제약사의 비만 치료제 생산을 맡을 수 있는 글로벌 CMO(위탁생산) 능력 보유. GLP-1 시장 폭발적 성장에 따른 간접적인 생산 수혜 기대.
GLP-1 CMO/CDMO 셀트리온 바이오시밀러 개발 역량을 바탕으로 향후 GLP-1 관련 치료제 개발 및 생산에 진출할 잠재력이 높은 국내 대표 바이오 기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