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AI 메모리 대전, SK하이닉스 HBM 독주에 주목하라

Htsmas 2025. 4. 23. 08:41
반응형

SK하이닉스가 2024년 1분기 사상 최대 영업이익 7조 원 초반을 기록하며 반도체 업계에 충격파를 일으켰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140% 이상 급등한 수치로, HBM(고대역폭메모리) 수요 폭발이 주효했습니다. 주요 내용을 3가지 축으로 정리합니다:

  1. 실적 폭발성장:
    • 매출 17조 원↑, 영업이익 7조 원↑(예상)으로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3.5조 원 추정)을 크게 앞질렀습니다.
    • HBM3E 공급 확대 DDR5/LPDDR5  프리미엄 메모리 비중 확대가 수익성 개선을 주도했습니다.
  2. HBM4 선점 전략:
    • 6세대 HBM4 샘플을 2025년 상반기 고객사에 제공, 세계 최초 양산(2024년 하반기 목표)으로 AI 반도체 시장을 선점 중입니다.
    • 엔비디아 차세대 AI 칩 **'루빈'**에 HBM4 탑재 예정으로 수요 지속성 확보.
  3. 투자 확대:
    • 10nm급 5세대 D램 생산능력을 기존 대비 40% 이상 증설(월 25만 장 규모)해 HBM3E/HBM4 공급력 강화.
    • 6세대 D램 투자는 일부 조정했으나, HBM4 수요 흡수를 위해 생산라인 최적화에 집중 중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1. HBM 테마 주목

  • AI 반도체 시장 3년 연속 30%+ 성장 전망에 따라 HBM 수요는 2027년까지 연평균 45% 성장 예상.
  • **SK하이닉스 HBM 점유율 50%+**로 시장 주도권 장악 중.

2. 반도체 업황 회복 신호

  • DDR5/엔터프라이즈 SSD 가격 상승으로 메모리 업종 수익성 개선 지속.
  • 서버/데이터센터 수요 증가로 고용량 메모리 비중 확대 전망[^Query].

3. 리스크 관리 포인트

  • HBM 과잉 투자로 2025년 이후 공급 과잉 가능성 존재(현재는 수급 긴장 지속).
  • 미중 기술 규제 변동성(예: 엔비디아 중국 수출 제한)이 공급망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음.

관련된 주식 종목

종목명주요 사업/역할투자 포인트
SK하이닉스 HBM3E/HBM4 양산 세계 1위 AI 메모리 수혜 1순위, 엔비디아 핵심 협력사
삼성전자 HBM4 개발 가속화 중 생산량 확대를 통한 추격 전략 주목
TSMC HBM4 베이스 다이 공급 협력사 SK하이닉스와의 기술 협업 심화 예상
엔비디아 AI GPU 시장 점유율 90%+ HBM 수요 직접 견인하는 최종 수혜주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