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그리스 선사 차코스에너지네비게이션(Tsakos Energy Navigation, TEN)이 한국 조선소의 기술력과 신뢰도를 바탕으로 초대형 원유운반선(VLCC) 2척 신조 발주를 추진하며 글로벌 조선업에 활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지정학적 혼란과 노후 선박 교체 수요 증가로 유조선 시장이 호황을 맞고 있으며, TEN의 수주 이력이 있는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이번 발주의 유력 후보로 거론됩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이는 한국 조선업의 경쟁력과 친환경 선박 시장의 성장 가능성을 점검할 중요한 기회입니다.
TEN의 VLCC 신조 발주
2025년 6월 20일, 노르웨이 조선·해운 전문지 트레이드윈즈에 따르면, TEN은 VLCC 2척 신조를 위해 한국 조선소들과 협상 중이며, HD현대중공업과 삼성중공업이 수주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주 배경: 메이저 석유 회사들의 장기 용선 수요 증가와 지정학적 혼란(예: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긴장)으로 유조선 운임이 상승. VLCC 평균 선령(약 12년) 증가로 교체 수요 급증.
- TEN의 전략: 2023년 시작한 '그린십(Greenship)' 프로그램을 통해 노후 선박 14척(평균 선령 17.3년, 120만 DWT)을 처분하고, 친환경 신조선 및 중고선 30척(평균 선령 0.6년, 370만 DWT)으로 교체. 이번 VLCC 발주는 친환경 기술(스크러버, LNG 이중연료 엔진 등) 탑재 가능성 높음.
- 최근 실적: TEN의 2025년 1분기 보고서에 따르면, 선단 계약 매출 잔고는 37억 달러(약 5조원)로, 19척의 신조선(셔틀탱커 11척, 수에즈막스 1척, 석유제품운반선 7척) 포함. 이중 9척은 삼성중공업이 수주.
TEN의 선단 현황
TEN은 1993년 설립된 글로벌 선사로, 2025년 기준 82척(1010만 DWT) 규모의 다각화된 에너지 선단을 운영합니다. 주요 선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P2 셔틀탱커 12척: 삼성중공업에서 9척 건조(2027~2028년 인도 예정, 15년 장기 용선 계약, 총 2억 달러 수익 예상).
- 스크러버 장착 수에즈막스 탱커 2척: 2025년 6월 HD현대중공업에서 ‘Dr 아이린 차코스’ 인도, 자매선 ‘파리 24’ 및 ‘실리아 T’는 3분기 인도 예정.
- 스크러버 장착 LR1 및 PC선 7척: 친환경 설계로 유럽·미국 에너지 기업에 용선.
- 과거 VLCC 발주: 2015년 HD현대중공업에서 VLCC 2척 수주, 10년 만의 신규 발주.
시장 및 재무적 영향
- 시장 트렌드: 글로벌 VLCC 시장은 노후 선박(2026년까지 50%가 15년 이상, 20%가 20년 이상) 교체와 IMO의 탄소배출 규제(CII)로 친환경 선박 수요가 급증. 한국 조선소는 LNG 이중연료 및 암모니아-ready 선박 기술로 경쟁력 확보.
- 재무적 영향: 삼성중공업과 HD현대중공업은 VLCC 1척당 약 1억2800만 달러(약 1700억원) 수주 예상, 총 3400억원 규모. 이는 2025년 수주 목표(삼성중공업 98억 달러, HD현대중공업 97.5억 달러) 달성에 기여.
- 미래 전망: TEN의 장기 용선 계약(15년 이상)은 조선소의 안정적 매출을 보장하며, 2027~2028년 인도 시점에 맞춘 수익성 개선 기대.
투자 아이디어
기회
- 친환경 선박 수요 급증: IMO의 탄소배출 규제와 EU·미국의 환경 정책으로 LNG 이중연료 및 암모니아-ready VLCC 수요 증가. 한국 조선소의 기술 우위가 수주 확대를 견인.
- VLCC 시장 호황: 지정학적 리스크와 노후 선박 교체로 VLCC 운임 상승, 장기 용선 계약 증가로 조선소의 안정적 수주잔고 확보 가능.
- 한국 조선소의 글로벌 경쟁력: 삼성중공업과 HD현대중공업의 친환경 기술과 납기 신뢰도는 중국 대비 프리미엄 수주를 가능케 함.
주목해야 할 포인트
- 수주 경쟁력: 삼성중공업과 HD현대중공업의 VLCC 및 셔틀탱커 수주 실적은 2025년 하반기 실적 개선의 핵심.
- 친환경 기술: LNG 및 암모니아 기반 선박 기술 개발 속도와 채택률이 주가에 긍정적 영향.
- 장기 계약 안정성: TEN의 15년 장기 용선 계약은 조선소의 매출 가시성을 높이며 재무 안정성 강화.
리스크
- 지정학적 불확실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 긴장 등으로 원유 운송 경로 변화가 수주에 영향.
- 원자재 가격 변동: 철강 및 조선 자재 가격 상승은 건조 비용 증가로 수익성 압박 가능.
- 경쟁 심화: 중국 조선소의 저가 수주 전략과 일본의 기술 경쟁이 한국 조선소의 시장 점유율에 위협.
관련 테마
- 조선업: 글로벌 선박 수요 회복 및 친환경 선박 중심 성장.
- 친환경 에너지: LNG 및 암모니아 기반 선박 기술 개발.
- 해운업: VLCC 및 셔틀탱커의 장기 용선 수요 증가.
관련된 주식 종목
다음은 TEN의 VLCC 발주와 관련된 조선업 밸류체인 내 수혜 가능 한국 기업입니다. 경쟁사는 제외했습니다.
종목명설명
삼성중공업 | TEN의 9척 셔틀탱커 수주(2027~2028년 인도) 및 VLCC 발주 유력. 친환경 선박 기술로 프리미엄 수주 가능. |
HD현대중공업 | TEN의 수에즈막스 탱커 및 과거 VLCC 수주 이력. LNG 이중연료 및 암모니아-ready 기술로 시장 선도. |
한화오션 | VLCC 및 친환경 선박 건조 역량 보유. 글로벌 유조선 수요 증가로 수혜 기대. |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스엠씨지, 친환경 유리용기로 글로벌 화장품 시장 정조준: 주가 상승의 숨은 기회? (3) | 2025.06.20 |
---|---|
이재명 대통령의 에너지 고속도로 공약: 전선업계의 황금 기회 열리나? (0) | 2025.06.20 |
삼성중공업, 4.8조 러시아 프로젝트 해지 충격: 주가 하락 속 투자 기회는? (0) | 2025.06.20 |
카카오뱅크, 태국 가상은행 인가 획득: K-금융의 글로벌 도약, 투자 기회는? (3) | 2025.06.20 |
신약 허가 가속화: 글로벌 바이오 시장의 게임체인저, 한국 기업의 기 (2) | 2025.06.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