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코리아써키트가 차세대 메모리 모듈과 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글로벌 PCB(인쇄회로기판) 시장에서의 입지를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LPCAMM, CXL, SOCAMM 등 미래 성장 동력이 될 신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어 주목받고 있습니다.
차세대 기술 개발 현황
- LPCAMM (Low Power Compression Attached Memory Module)
- 2024년부터 초기 샘플 제작 및 고객 출하 시작
- 저전력·고효율 메모리 모듈로 차세대 서버·모바일·클라우드 환경 대응
- CXL (Compute Express Link)
- 2025년 하반기부터 소량 양산 예상
- CPU·메모리·가속기 간 초고속·저지연 연결 지원 인터페이스
- SOCAMM (System On Chip Advanced Memory Module)
- 프로세서와 메모리가 긴밀하게 통합된 형태
- 엔비디아가 제안한 차세대 SoC 환경에 부합하는 메모리 모듈
- DDR5 고속(6400Mbps) 모듈
- 기존 DDR4 대비 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 제공
- 서버·PC·데이터센터 등의 수요 대응
- RF-SSD
- 고밀도·고성능 SSD 솔루션
- 글로벌 반도체 업체들과 협업 중
주요 고객사와의 협력 강화
- 해외 반도체 기업
- 브로드컴, 온세미컨덕터, 사이프레스 등과 FC-BGA 공급 확대
- 2025년 하반기 브로드컴 AI향 ASIC용 14층 FC-BGA 추가 공급 가능성
- 디스플레이 PCB 부문
- 삼성전자 갤럭시 S25 시리즈, 폴더블폰(Z7 시리즈) 등 프리미엄 스마트폰용 HDI 매출 증가 예상
- 애플 아이패드 프로(OLED 패널) 후속 모델에 HDI 공급
투자 아이디어
- 장기 성장성 주목: 차세대 메모리 모듈 및 반도체 패키징 기술 개발로 미래 성장 동력 확보
- 고객 다각화: 브로드컴, 삼성전자, 애플 등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 강화로 안정적 수익 기반 구축
- AI 반도체 시장 성장 수혜: 브로드컴의 AI향 ASIC 칩 출하량 증가에 따른 수혜 예상
-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 확대: 삼성전자, 애플의 프리미엄 제품 라인업 확대에 따른 HDI 수요 증가
- 연결 자회사 실적 개선: 인터플렉스의 스마트폰 프리미엄 모델 및 새로운 디바이스 수요 증가로 실적 개선 기대
코리아써키트는 차세대 기술 개발과 주요 고객사와의 협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PCB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고 있습니다. 특히 AI, 5G, 클라우드 등 신성장 산업에 필수적인 고성능 PCB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어, 중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높은 것으로 평가됩니다. 투자자들은 코리아써키트의 기술 개발 진척도와 주요 고객사의 신제품 출시 일정을 주시하며 투자 기회를 모색해볼 수 있을 것입니다.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산에너빌리티, '원전 슈퍼사이클' 대비 대규모 설비 투자 나서 (0) | 2025.03.24 |
---|---|
공매도 전면 재개를 앞둔 투자자들의 셈법: 타깃 종목 분석과 대응 전략 (0) | 2025.03.24 |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12단 샘플 공급: AI 메모리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매김 (2) | 2025.03.24 |
한텍, 두산에너빌리티와 함께 550조원 규모 원전해체 시장 진출: 사용후핵연료 저장용기(CASK) 사업 주목 (0) | 2025.03.24 |
현대차·기아, 미국 시장 누적 판매 3000만대 돌파 임박: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새로운 강자로 부상 (0) | 202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