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엔비디아, AI 칩 수출 규제 철회로 중국 시장 재진입… 국내 메모리 기업도 수혜 기대

Htsmas 2025. 4. 11. 08:39
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엔비디아의 중국 수출용 AI 칩 'H20'에 대한 수출 규제 계획을 철회했습니다. 이는 엔비디아의 젠슨 황 CEO가 미국 내 AI 데이터센터 추가 투자를 약속하면서 이루어진 결정으로, 엔비디아는 중국 시장에서의 입지를 유지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H20은 성능을 낮춰 미국 정부의 규제를 피하기 위해 설계된 저사양 AI 칩으로, 중국 빅테크 기업인 텐센트를 비롯해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이 대량 주문을 진행 중입니다. 특히 텐센트의 주문 금액은 수조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H20에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공급하는 4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HBM3'가 탑재됩니다. 이번 규제 철회로 인해 국내 메모리 기업들도 HBM3의 판로를 유지하며 안정적인 매출을 기대할 수 있게 됐습니다.

또한, 엔비디아는 차세대 중국 수출용 AI 칩 'B20'을 준비 중인데, 이 칩에는 5세대 HBM인 'HBM3E'가 탑재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메모리 기업들은 향후 더 큰 수혜를 누릴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1. AI 및 데이터센터 시장의 성장성
    엔비디아는 AI 반도체 시장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번 규제 철회로 중국 시장에서의 매출 확대 가능성이 열렸으며, 이는 데이터센터 및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수요 증가와 맞물려 장기적인 성장성을 강화할 것입니다.
  2. HBM 수요 증가와 국내 메모리 기업의 기회
    H20과 B20에 탑재되는 HBM 제품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공급하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AI 기술 발전과 빅테크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로 인해 HBM 수요가 급증할 전망입니다. 이는 국내 메모리 기업들에게 안정적인 매출원과 성장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3. 중국 빅테크와의 협력 강화
    텐센트, 알리바바, 바이트댄스 등 중국 주요 IT 기업들이 엔비디아 칩을 대량 주문하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협력 가능성도 열려 있습니다. 이는 엔비디아뿐만 아니라 관련 밸류체인 기업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입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종목명설명
엔비디아 (NVIDIA) AI 반도체 시장 선두주자로, 중국 시장 재진입과 데이터센터 투자 확대 기대
삼성전자 HBM3 및 차세대 HBM3E 공급업체로, 엔비디아와 긴밀한 협력 관계 유지
SK하이닉스 HBM3 공급업체로, AI 반도체 시장 성장에 따른 주요 수혜 기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