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유니드, 저평가 국면에서 중장기 성장 기대

Htsmas 2025. 4. 14. 09:23
반응형

**유니드(014830)**가 중장기 성장 가능성을 바탕으로 저평가된 주식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하나증권은 유니드의 ROE 8.6%, PBR 0.48배, PER 5.8배를 근거로 절대적 저평가 상태라며 '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목표주가는 기존 11만원에서 12만원으로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1. 1분기 실적 개선
    • 예상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104% 증가한 255억원으로 컨센서스를 18% 상회할 전망입니다.
    • 주요 요인: 환율 상승, 전분기 일회성 손실 제거, 운임 하락, 중국 이창 프로젝트(UHC)와 염화파라핀왁스(CPs) 프로젝트의 가동률 상승.
  2. 2분기 전망
    •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31% 증가한 334억원으로 예상됩니다.
    • 중국 법인의 판가 상승과 UHC 프로젝트의 풀 가동 효과가 반영될 것으로 보입니다.
  3. 미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 관세 전쟁 속에서도 유니드는 미국 내 매출 비중이 낮아 상대적으로 안전합니다.
    • 캐나다산 염화칼륨에 대한 관세 부과 가능성으로 미국 내 칼륨계 가격 강세가 예상되며, 이는 유니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탄소포집 기술과 장기 성장성
    • 탄소포집 기술은 메이저 에너지 기업들로부터 각광받고 있으며, 관련 시장 규모는 2040년 약 800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 미국의 '45Q 세액공제' 정책 변화 가능성이 있지만, 탄소포집 프로젝트는 정책적 정당성을 강화하며 지속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보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유니드는 저평가된 밸류에이션과 중장기 성장 스토리를 바탕으로 매력적인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 저평가 상태 활용: PBR 0.48배, PER 5.8배 수준으로 현 주가는 절대적 저평가 상태에 있습니다.
  • 중국 시장 성장성: UHC 및 CPs 프로젝트의 가동률 상승과 판가 개선 효과로 실적 개선이 지속될 전망입니다.
  • 글로벌 화학 시장 확장: 염화칼륨 및 가성칼륨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통해 신규 시장(남미, 인도 등)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 탄소포집 기술 수혜: 글로벌 에너지 기업들의 탄소포집 기술 도입 확대로 관련 제품 수요 증가 가능성이 큽니다.

관련 테마

  • 친환경 기술 및 탄소포집: DAC 프로젝트와 탄소 포집·활용(CCUS) 산업.
  • 글로벌 화학 시장 확장: 염화칼륨 및 가성칼륨 제품 수요 증가.
  • 저평가 종목 투자: PBR과 PER 기준 저평가된 종목에 대한 매수 타이밍.

관련된 주식 종목

아래는 유니드와 관련된 주요 국내 종목들입니다:

종목명설명
유니드 가성칼륨 및 염화칼륨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며 글로벌 화학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대 중인 기업.
LG화학 탄소포집 및 친환경 소재 개발로 글로벌 화학 산업에서 강점을 보유한 기업.
한화솔루션 에너지 및 화학 분야에서 친환경 기술을 기반으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기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