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지난해 한국 주요 기업들의 북미 시장 매출이 20% 가까이 증가했지만,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될 경우 올해 실적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요 내용:
- 북미 매출 증가
-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100개사의 2024년 1~3분기 북미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5% 증가한 313조5천231억원 기록
- 전체 매출 중 북미 시장 비중이 28.1%로 상승, 의존도 심화
- 업종별 실적
- IT·전기전자 분야가 가장 큰 성장세, 북미 매출 42.7% 증가
- SK하이닉스의 미국 매출 3배 가까이 성장, 삼성전자 미주 지역 매출 24% 증가
- 현대차와 기아의 북미 매출도 각각 17%, 12% 상승
- 트럼프 관세 정책의 영향
- 보편 관세 부과 시 한국 수출 최대 448억 달러 감소 전망
- IT·전기전자, 반도체, 자동차 산업 등이 가장 큰 타격 예상
- 기업들의 대응 전략
- 미국 내 생산기지를 가진 기업들은 현지 생산량 확대 고려 중
- 수출 의존도가 높은 기업들은 대체 시장 모색 필요성 증가.
전문가 의견:
박주근 리더스인덱스 대표는 "다국적 관세 부과 시 미국 수출 제품의 가격 상승으로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며, 미국 내 생산기지를 가진 기업들은 현지 생산량 확대를 고민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한국 기업들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비한 다각적인 전략 수립이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시장 의존도를 줄이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한편, 현지 생산 확대 등 유연한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음AI 엔비디아 '코스모스'와 자율주행 로봇 기술 고도화…글로벌 71조 시장 선점 가속화 (0) | 2025.02.11 |
---|---|
숲(SOOP), 수백억 원 규모 분식 회계 의혹…금감원 회계 감리 진행 중 (0) | 2025.02.11 |
트럼프발 철강 관세 폭탄, 한국 철강업계 직격탄…대응책 마련 분주 (1) | 2025.02.11 |
삼성전자, 차세대 D램 개발 전략 수정...수율 향상에 집중 (1) | 2025.02.10 |
낸드플래시 가격 반등, 공급 축소가 주요 원인…추세적 상승은 아직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