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엔비디아 B300 생산 가속! TSMC·콴타 수혜 폭발

Htsmas 2025. 5. 3. 19:48
반응형

엔비디아가 최신 B300 AI 칩 생산을 2025년 5월로 앞당기며, TSMC의 5나노(N4P) 공정CoWoS-L 첨단 패키징 기술을 활용해 공급망 재편에 나섰다. 이는 H20 칩의 중국 수출 금지로 생긴 생산 여력을 채우고, Blackwell 아키텍처 기반 B200의 성공을 바탕으로 GB300 양산을 연말까지 목표로 한 전략이다. 콴타, 위스트론, 훙하이(폭스콘) 등 조립업체와 무크테크, 잉웨이, 젠서 같은 부품 공급업체가 주요 수혜자로 꼽힌다. TSMC는 대만 난커우 AP8 공장에서 4월부터 CoWoS-L 장비 설치를 시작, 급증하는 AI 칩 수요에 대응하고 있다. 업계는 이번 변화가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공급망 다변화를 가속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주요 내용 분석

  1. B300 생산 가속화
    • 일정 앞당김: 엔비디아는 B300 칩 생산을 5월에 시작, 연말 GB300 양산 목표. Bianca 아키텍처(1 CPU + 2 GPU) 유지로 ODM 업체의 학습곡선 단축.
    • 기술 스펙: TSMC의 5나노(N4P) 공정과 CoWoS-L 패키징 적용. CoWoS-L은 기존 CoWoS-S 대비 최대 12개 HBM3 메모리 스택 지원, 비용 효율성 개선.
    • H20 대체: 중국 수출 금지된 H20의 5나노 생산 여력을 B300으로 전환, TSMC 생산 효율성 극대화.
  2. TSMC와 공급망 역할
    • TSMC: 난커우 AP8 공장이 4월부터 CoWoS-L 장비 설치, 2025년 말 월 9만 웨이퍼 생산 목표. B200 양산 경험으로 B300 생산 속도 가속화.
    • 부품 공급: 무크테크는 CoWoS용 6면 광학 검사 장비, 잉웨이는 AI GPU 테스트 소켓·MEMS 프로브 카드 출하 확대. 젠서는 서버 트레이 부품 공급으로 수혜.
    • 조립업체: 콴타, 위스트론, 훙하이는 GB300 서버 트레이 설계(GB200 기반)로 조립 속도 향상, 대량 출하 기대.
  3. 시장 및 재무적 영향
    • 엔비디아: B300은 HBM3E 채택(288GB, 2.0TB/s)으로 추론·학습 성능 50% 향상, 2025년 매출 20% 성장 전망.
    • TSMC: CoWoS-L 수요 급증으로 2025년 매출 15~20% 증가 예상. 애리조나 공장은 웨이퍼 생산 가능하나, CoWoS-L 패키징은 대만 중심.
    • 한국 기업: 삼성전자, SK하이닉스는 HBM3E 공급망 참여로 수혜. 삼성전자는 TSMC와 파운드리 협력 강화.
    • 리스크: 미국 관세 정책(트럼프 MAGA)과 중국 반도체 규제로 공급망 차질 가능성. 애리조나 공장의 CoWoS-L 미지원으로 대만 의존도 지속.
  4. 미래 전망
    • AI 반도체 시장: 2026년 시장 규모 3000억 달러 전망, HBM 수요 30% 성장. B300은 데이터센터·로보틱스용 AI GPU로 시장 선도.
    • 공급망 다변화: 엔비디아의 미국 생산 전환은 MAGA 정책 지지, 컴퓨텍스 2025(6월)에서 B300 양산 및 로봇·미디어텍 협업 발표 가능.
    • 기술 혁신: TSMC의 CPO(광패키징) 도입(2026년)으로 대역폭 1.6Tbps, 전력 소모 50% 감소, AI 칩 성능 혁신 기대.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포인트

  • 시장 트렌드: AIHBM 중심의 반도체 수요 폭증, TSMC의 CoWoS-L로 패키징 병목 해소. 인도·미국 중심 공급망 재편 가속화.
  • 재무적 영향:
    • 엔비디아: B300으로 데이터센터 점유율 80% 유지, P/E 35배로 성장 지속.
    • TSMC: CoWoS-L 매출 비중 10% 이상, 2025년 EPS 20% 성장 전망.
    • 한국 기업: SK하이닉스 HBM3E, 삼성전자 파운드리·HBM으로 매출 10~15% 증가.
  • 리스크 요인:
    • 관세 리스크: 트럼프의 대중국 관세(145%)로 대만 공급망 비용 증가 가능.
    • 생산 병목: 애리조나 공장의 CoWoS-L 미지원으로 대만 집중 리스크.
    • 경쟁 심화: AMD MI400, 화웨이 910D의 5나노 AI 칩 경쟁 주시.

투자 아이디어

엔비디아의 B300 조기 생산AI 반도체, HBM, 첨단 패키징 시장의 성장을 가속화하며, TSMC,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공급망 기업에 강력한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GB300 양산(연말)과 컴퓨텍스 2025 발표는 AI GPU 수요를 더욱 부추길 전망이다. 다만, 미국 관세 정책과 대만 패키징 의존도는 단기 변동성을 유발할 수 있다.

투자 전략:

  1. 반도체·HBM 매수: SK하이닉스, 삼성전자는 HBM3E와 파운드리 수주로 단기 성장. SK하이닉스 주가 18만 원, 삼성전자 7만 원에서 매수 고려.
  2. TSMC 장기 투자: CoWoS-L과 CPO로 AI 칩 시장 선도, 주가 90~100달러에서 분할 매수.
  3. 엔비디아 보유 유지: B300으로 AI GPU 점유율 강화, 주가 130~140달러에서 추가 매수.
  4. 리스크 관리: 6월 트럼프 관세 정책 발표 전 포지션 조정. 원·달러 환율 ETF로 변동성 헤지.

주의 포인트:

  • 2분기 실적: 7월 엔비디아, TSMC, SK하이닉스 실적에서 B300·HBM 매출 기여 확인.
  • 컴퓨텍스 2025: 6월 B300 양산 발표와 미디어텍·로보틱스 협업 동향.
  • 관세 정책: 트럼프의 대중국 관세(145%)와 대만 생산 비용 영향.
  • 경쟁 동향: AMD MI400, 화웨이 910D의 AI 칩 출시와 시장 점유율 경쟁.

관련 테마: AI, 반도체, HBM, 첨단 패키징, 데이터센터, 로보틱스.


관련된 주식 종목

아래는 엔비디아 B300 생산과 관련된 AI 반도체, HBM, 첨단 패키징 밸류체인 내 핵심 주식들이다. 경쟁사는 제외했다.

종목명시장설명

삼성전자 KOSPI B300용 HBM3E 공급과 TSMC 파운드리 협력. 2025년 반도체 매출 15% 성장 예상, P/E 12배.
SK하이닉스 KOSPI HBM3E 선도, B300 데이터센터 수요로 매출 급증. 2025년 EPS 25% 증가 전망, P/E 10배.
엔비디아 NASDAQ B300으로 AI GPU 시장 80% 점유. 2025년 매출 20% 성장, P/E 35배.
TSMC 대만 5나노·CoWoS-L로 B300 생산 주도. 2025년 매출 15~20% 성장, P/E 25배.

종목별 투자 포인트:

  • 삼성전자: HBM3E와 파운드리 협력으로 ASP 상승, 안정적 배당 매력.
  • SK하이닉스: HBM4 조기 양산과 B300 수요로 수익성 개선, 저평가 매력.
  • 엔비디아: B300과 GB300으로 데이터센터·로보틱스 시장 선도, 성장 지속.
  • TSMC: CoWoS-L과 CPO로 AI 칩 패키징 시장 주도, 안정적 수익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