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방시혁 하이브 의장 소환 조사: 4000억 부정거래 의혹과 주가 충격

Htsmas 2025. 7. 3. 08:36
반응형

금융감독원이 하이브(구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창업자이자 의장인 방시혁을 자본시장법상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로 소환 조사했습니다. 이는 2023년 말 카카오 김범수 미래이니셔티브센터장 소환 이후 대기업 총수급 인사에 대한 이례적인 조치입니다. 방 의장은 2020년 하이브의 기업공개(IPO) 과정에서 기존 투자자들에게 상장 계획이 없다고 속이고, 지인이 설립한 사모펀드(PEF)에 지분을 매각하도록 유도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약 4000억 원의 이익을 챙겼다는 의혹이 제기되었습니다.

의혹의 핵심

  • 허위 정보 제공: 2019년 말, 방 의장은 벤처캐피털(VC) 및 기관 투자자들에게 하이브의 IPO 계획이 없다고 전달하며 지분 매각을 유도했습니다. 그러나 같은 시기 하이브는 IPO를 위한 필수 절차인 지정감사인 신청을 진행 중이었습니다.
  • 사모펀드와의 계약: 방 의장은 스틱인베스트먼트, 이스톤PE, 뉴메인에쿼티 등 PEF와 계약을 맺어 지분 매각 차익의 30%를 공유받기로 했습니다. 2018~2019년 PEF는 LB인베스트먼트, 알펜루트자산운용 등으로부터 하이브 지분(약 23.8%)을 약 2339억 원에 매입했습니다. 이 계약은 증권신고서에 기재되지 않아 투명성 논란을 낳았습니다.
  • 이익 규모: 하이브의 2020년 IPO 당시 공모가는 13만5000원으로, 직전 기업가치 대비 5배 상승했으며, 상장 직후 주가는 최대 42만 원(공모가 대비 160% 상승)을 기록했습니다. 방 의장은 PEF로부터 약 4000억 원을 정산받은 것으로 추정됩니다.
  • 주가 영향: PEF의 대규모 매도 물량으로 상장 1주일 만에 주가가 최고가 대비 70% 하락하며 투자자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2025년 5월 28~30일 조사 소식이 전해지자 하이브 주가는 4거래일 동안 8% 이상 하락(26만6000원, 5월 30일 종가)했습니다.

조사 현황

금감원은 2025년 6월 말 방 의장을 소환 조사했으며, 추가 확인 사안이 남아 있어 패스트트랙(긴급 검찰 이첩) 대신 자체 조사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도 동일 혐의로 수사 중이나, 두 차례 압수수색 영장이 검찰에 의해 반려되었습니다. 금감원은 조사 완료 후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증선위)를 통해 제재 및 검찰 고발 여부를 결정할 계획입니다. 자본시장법에 따르면, 50억 원 이상의 부당 이익 취득은 무기징역 또는 5년 이상 징역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시장 트렌드와 재무적 영향

하이브는 K팝 시장의 글로벌 리더로, BTS, 뉴진스 등 아티스트를 통해 2024년 매출 2조2580억 원, 영업이익 3127억 원을 기록하며 안정적 성장을 보여왔습니다. 그러나 이번 논란은 기업 지배구조와 투명성에 대한 신뢰를 훼손하며 주가 변동성을 키웠습니다. 2025년 1분기 기준 하이브의 시가총액은 약 11조 원으로, 엔터테인먼트 섹터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지만, 방 의장의 법적 리스크는 단기적인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미래 전망

금감원과 경찰의 조사가 마무리되면 방 의장은 중대한 법적 책임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이브는 “모든 거래는 법률 검토를 거쳐 합법적으로 이뤄졌다”고 주장하지만, 증권신고서 기재 누락과 허위 정보 제공 혐의가 확인되면 투자자 신뢰 회복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뉴진스와의 계약 분쟁 등 내부 갈등이 겹치며 하이브의 브랜드 이미지가 추가로 손상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반면, 하이브의 글로벌 팬덤과 콘텐츠 파워는 여전히 강력한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방시혁 의장의 소환 조사는 K팝, 엔터테인먼트, 콘텐츠 산업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에게 중요한 변수입니다. 아래는 기회와 리스크를 정리한 투자 인사이트입니다.

기회

  1. K팝 시장의 지속 성장: 글로벌 음악 스트리밍 시장은 2024년 400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K팝은 아시아와 북미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 중입니다. 하이브는 BTS, 세븐틴, 투모로██████, 루세라 등 아티스트를 통해 안정적인 매출 성장이 기대됩니다.
  2. 다각화된 수익 모델: 하이브는 음반, 공연, 게임(위버스), 굿즈 등 다각화된 사업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을 뒷받침합니다.
  3. 주가 저점 매수 기회: 조사 소식으로 인한 주가 하락(2025년 5월 30일 기준 26만6000원)은 단기적인 매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역사적 저점(약 25만 원) 근처에서 반등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4. 글로벌 확장성: 하이브는 북미(유니버설뮤직그룹 협업)와 일본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콘텐츠 수요 증가로 수혜 가능성이 높습니다.

리스크

  1. 법적 리스크: 방 의장의 사기적 부정거래 혐의가 사실로 확인될 경우, 최대 5년 이상의 징역 및 벌금 등 중대한 처벌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이는 하이브의 지배구조 불확실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주가 변동성: 조사 진행 상황에 따라 주가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이 높으며, 단기적인 하락 압력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3. 브랜드 이미지 손상: 방 의장의 논란과 뉴진스 사태 등은 하이브의 팬덤 신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아티스트 기반 수익에 리스크 요인입니다.
  4. 규제 환경 강화: 금감원의 강력한 조사와 자본시장법 위반 처벌 가능성은 엔터테인먼트 기업들의 IPO 과정에 대한 규제 심사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하이브의 밸류체인 내에서 관련 주식 종목은 제한적이지만, K팝 및 콘텐츠 산업과 연계된 기업들을 아래와 같이 정리했습니다.

종목명설명

하이브 K팝 시장의 선두주자. 글로벌 팬덤과 다각화된 수익 모델로 성장 잠재력 높음. 현재 주가 하락은 매수 기회 가능성.
CJ ENM 드라마, 영화, 음악 콘텐츠 제작 및 유통. K팝 관련 콘텐츠 협업으로 간접적 수혜 가능.
넷마블 하이브의 위버스 플랫폼과 연계된 모바일 게임 및 메타버스 사업에서 성장 가능성.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