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미국 원자재 가격 폭발! 트럼프 관세 쇼크에 알루미늄 '사상 최고가' 경신

Htsmas 2025. 11. 12. 08:40
반응형

관세와 공급난이 촉발한 '알루미늄 대란'

최근 미국 알루미늄 현물 가격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며 심각한 인플레이션 압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가격 급등의 핵심 원인은 크게 두 가지입니다.

  1.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인상 쇼크:
    •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수입 알루미늄에 대한 관세를 **기존 25%에서 50%**로 두 배 인상한 것이 직접적인 도화선이 되었습니다.
    • '국내 산업 보호'를 명분으로 했지만, 미국 수입량의 약 70%를 차지하는 캐나다산에도 예외를 적용하지 않아 공급망에 심각한 차질을 빚었습니다.
    • 미국 중서부 알루미늄 현물 프리미엄(LME 가격에 추가되는 금액)은 톤당 $1,942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국제 LME 가격($2,850 수준)을 합산하면 실제 거래 가격은 약 $4,790에 달하며, 연초 대비 70% 이상 폭등했습니다. 이는 관세가 장기화될 것이라는 시장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2. 글로벌 공급 부족 심화:
    • 세계 최대 생산국인 중국이 환경 규제 및 에너지 비용 급등으로 알루미늄 생산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 중국의 정제 알루미늄 순수출은 2~3년 전 대비 연간 100만 톤가량 감소했습니다.
    • 전 세계적으로 약 200만 톤의 공급이 사라지면서, 올해 알루미늄 시장은 180만 톤 규모의 심각한 공급 부족이 예상됩니다.

 투자자 관점에서의 중요성:

  • 인플레이션 압력 가중: 관세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은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자동차, 항공, 건설 등 제조업 전반의 생산 비용 증가로 이어져 최종 제품 가격의 인상, 즉 인플레이션을 더욱 부추길 수 있습니다.
  • 산업 보호 정책의 역설: 관세가 보호하려던 국내 산업과 근로자들에게 도리어 높은 비용 부담을 안겨주어 생산 기반이 약화될 리스크가 있습니다.
  • 산업용 금속 전반으로 확산: 알루미늄뿐만 아니라 구리 가격 역시 5개월 만에 톤당 $1만 선을 회복하는 등 다른 산업용 금속으로 가격 상승세가 확산되는 조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전반적인 원자재 슈퍼사이클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투자 아이디어: '비용 전가 능력'과 '대체재'를 주목하라

관세와 공급난이 원자재 가격을 구조적으로 끌어올리는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인플레이션 헤지(Hedge)**와 관련된 명확한 전략이 필요합니다.

  • 원자재 인플레이션의 수혜주 발굴:
    • 알루미늄, 구리 등 원자재를 생산하거나 채굴하는 기초 소재 기업은 판매 가격 상승에 따른 실적 개선 기회를 가질 수 있습니다.
    • 특히, 전 세계적인 **친환경 에너지 테마(전기차, 태양광, 풍력)**는 구리나 알루미늄 같은 비철금속의 수요를 장기적으로 폭발시킬 구조적 요인이기 때문에 관련 소재 기업의 가치를 높일 것입니다.
  • 비용 전가 능력(Pricing Power) 보유 기업:
    • 원자재 가격 상승분을 최종 소비자 가격에 성공적으로 전가할 수 있는 독점적 기술력 또는 강력한 브랜드 파워를 가진 기업에 주목해야 합니다. 이들은 원가 압박을 상쇄하고 마진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알루미늄 대체재 및 재활용 테마:
    • 알루미늄 가격 급등은 알루미늄을 많이 사용하는 산업(자동차, 포장재 등)에서 마그네슘, 탄소섬유 등 대체 소재알루미늄 재활용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습니다.

 리스크 관리 포인트:

  • 글로벌 경기 침체 가능성: 원자재 가격 급등이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을 부추겨 글로벌 경기 침체로 이어질 경우, 제조업 수요가 둔화되어 원자재 가격 상승세가 꺾일 수 있습니다.
  • 정책 변동성: 관세는 정책적인 결정이므로, 향후 미국 행정부의 정책 변화(예: 관세 철폐 또는 예외 적용)에 따라 관련 종목의 주가 변동성이 매우 커질 수 있습니다. 특히 2024년 미국 대선 등 정치적 이벤트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인플레이션 수혜 및 소재 밸류체인

구분 종목명 시장 투자 포인트
알루미늄 생산/소재 Alcoa (알코아) 미국(NYSE) 글로벌 알루미늄 생산/채굴 업체. 알루미나 및 알루미늄 가격 상승에 직접적인 수혜.
알루미늄 가공 삼아알미늄 국내(코스피) 알루미늄박 전문 생산 업체. 2차전지 양극재 파우치, 식품 포장재 등에 사용되며 소재 가격 상승에 따른 제품 가격 인상 가능성.
비철금속 트레이딩/가공 풍산 국내(코스피) 구리, 동 및 동합금 제품 제조업체. 기사에서 언급된 구리 가격 급등의 수혜주이자 방산 사업과의 시너지 기대.
비철금속 트레이딩 고려아연 국내(코스피) 아연, 연, 금, 은 등 비철금속 제련 및 판매. 원자재 슈퍼사이클에서 기초 금속 가격 상승에 수혜를 받는 대표적인 기업.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