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미국 주파수 경매 D-Day 임박! 케이엠더블유, 삼성 넘어 글로벌 SI 공급 확대로 2019년 영광 재현 예고!

Htsmas 2025. 11. 18. 09:00
반응형

하나증권은 케이엠더블유(032500)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와 목표주가 2만 5,000원을 유지하며, 주가 상승 압력이 커지고 있어 비중 확대를 추천했습니다. 단기 실적 부진은 불가피했으나, 미국 시장 개화와 함께 대규모 실적 턴어라운드가 예상되기 때문입니다.

  • 미국 시장 발 주가 상승 트리거
    • 핵심 이벤트 임박: 케이엠더블유의 장기 실적에 가장 중요한 **미국 주파수 경매(FCC 4.0GHz 대역 고시 제정 및 발표)**가 곧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이는 과거 2018년 국내 5G 주파수 경매가 주가 급등을 일으킨 것과 같은 결정적 촉매제가 될 것으로 분석됩니다.
    • 내년 미국 주역 담당: 2020년 이후 잠잠했던 미국 통신 시장 투자가 내년부터 본격화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케이엠더블유의 주가 랠리를 이끌 것으로 기대됩니다.
  •  공급처 다변화 통한 리스크 해소
    • 글로벌 SI 확장: 기존 주요 고객사인 삼성전자 외에도 에릭슨, 노키아 등 글로벌 시스템 통합(SI) 기업으로의 매출 확장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최근 영업 상황과 시제품 공급 상황을 감안한 판단입니다.
    • 2021년 실패 반복 방지: 과거 AT&T 장비 공급 실패로 주가가 급락했던 아쉬움을 딛고, 이번에는 삼성 공급 성과가 저조하더라도 에릭슨, 노키아 및 오픈랜(Open RAN) 시장 성과를 통해 안정적인 성장이 가능할 것으로 진단했습니다.
  •  경쟁력 강화된 신제품 공급 준비 완료
    • 미국 시장 개화에 맞춰 경량화, 출력 증대, 발열 감소 측면에서 강점을 지닌 새로운 시스템 장비, 안테나, 필터 등이 당장 공급 가능한 상태입니다. 이는 내년부터 내후년까지 실적 개선 폭을 극대화할 핵심 요인입니다.
  •  단기 실적 부담 해소 임박
    • 3분기 실적 부진: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액 205억원(YoY -6%), 영업손실 70억원을 기록하며 미국 수출 부진(주파수 경매 앞둔 통신사 발주 축소 영향)으로 영업 적자가 확대되었습니다.
    • 실적 부담 끝: 올해 3분기 실적 발표를 마지막으로 단기 실적 부담은 크게 축소될 전망이며, 4분기 실적 발표(내년 3월 말) 시점에는 이미 미국 수출 전망이 긍정적으로 전환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케이엠더블유는 미국 5G/6G 투자 사이클 전환기에서 글로벌 고객사 다변화신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과거 2019년의 폭발적인 성장을 재현할 잠재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 핵심 투자 모멘텀: 주파수 경매와 통신 투자 사이클
    • 정책적 트리거: 미국 FCC의 4.0GHz 주파수 경매 고시 제정은 통신사들의 대규모 장비 투자 집행의 신호탄이 될 것입니다. 케이엠더블유는 5G 기지국 장비 및 부품 공급사로서 가장 직접적인 수혜를 입게 됩니다.
    • 신규 고객사 확보 (에릭슨/노키아): 삼성전자 의존도를 낮추고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의 양대 산맥인 에릭슨, 노키아로의 공급 확대는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마련해 줍니다. 특히 오픈랜 환경에서는 다양한 장비 공급사와의 협력이 중요해지므로 이는 강력한 경쟁력입니다.
  • 기술적 우위와 실적 전망
    • 차세대 기술 선점: 제품의 경량화, 고출력, 발열 감소 기술은 5G/6G 환경에서 필수적인 성능이며, 케이엠더블유의 신제품은 기술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 시장점유율(M/S) 상승의 핵심 동력입니다.
    • 보수적 실적 전망 상향 가능성: 현재 하나증권은 내년과 내후년 실적을 보수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나, 미국 시장 M/S가 예상보다 빠르게 상승할 경우 **2019년 실적(역대급 호황기)**을 뛰어넘는 성과도 가능할 수 있습니다.
  • 리스크 요인
    • 미국 통신사 투자 지연: 주파수 경매 이후에도 미국 통신사들의 실제 발주 및 투자가 예상보다 지연되거나 소규모로 이루어질 경우 실적 회복 시점이 늦춰질 수 있습니다.
    • 경쟁 심화: 글로벌 통신장비 시장 내 경쟁 심화로 단가 협상력 약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케이엠더블유의 투자 아이디어는 글로벌 5G/6G 통신 인프라 투자 사이클오픈랜(Open RAN) 확대에 기반합니다. 따라서 통신장비 밸류체인 내의 주요 기업들을 포함합니다.

구분 종목명 투자 포인트
통신장비 (기지국 부품) 에이스테크 케이엠더블유와 유사하게 기지국 안테나 및 RF 부품을 공급하는 기업으로, 5G 인프라 투자 확대의 동반 수혜 기대.
통신장비 (프론트홀) 오이솔루션 광통신 부품(광트랜시버) 전문기업으로, 5G/6G 네트워크 구축 시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광모듈 수요 증가의 직접적인 수혜 예상.
통신장비 (국내 SI) 삼성전자 케이엠더블유의 주요 고객사이자 글로벌 5G 장비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미국 통신사들에게 기지국 장비를 공급하며 케이엠더블유와의 동반 성장을 이끌 잠재력 보유.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