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 폭락: 팬데믹 이후 최악의 하루
현지 시각 4일, 뉴욕증시는 글로벌 경제 불확실성과 경기침체 우려로 인해 팬데믹 초기 이후 가장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주요 지수는 다음과 같은 낙폭을 기록했습니다:
-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 2,231.07포인트(-5.50%) 하락, 38,314.86에 마감.
- S&P 500 지수: 322.44포인트(-5.97%) 하락, 5,074.08에 마감.
- 나스닥 종합지수: 962.82포인트(-5.82%) 하락, 15,587.79에 마감.
- 러셀 2000 지수: 중소형주 중심으로 4.37% 하락.
특히 S&P 500 지수는 팬데믹 확산 공포가 덮쳤던 2020년 3월 이후 최대 일간 낙폭을 기록했으며, 나스닥은 기술적 약세장에 진입했습니다.
무역전쟁 격화와 경기침체 공포
이번 폭락은 트럼프 행정부가 발표한 상호관세와 중국 정부의 맞대응 보복 관세가 직접적인 원인이었습니다. 중국은 모든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34%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며 무역전쟁을 격화시켰습니다. 이에 따라 경기침체 위험이 커졌고, 투자자들 사이에서 이른바 ‘R의 공포’(Recession)가 확산되었습니다.
JP모건체이스의 브루스 카스만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세계 경제 침체 확률이 40%에서 60%로 상승했다고 경고했습니다.
연준과 트럼프의 대응: 실망스러운 신호
투자자들은 연방준비제도(Fed)의 시장 대응책인 ‘연준 풋’을 기대했지만, 제롬 파월 의장은 "정책 변환을 논하기엔 이르다"고 발언하며 시장 안정화에 실패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중국의 보복 조치를 비난하면서 "내 정책은 절대 변하지 않는다"고 강조해 시장 불안을 더욱 키웠습니다.
기술주 중심에서 전방위적 하락으로
최근 뉴욕증시 조정은 주로 기술주 중심으로 이루어졌지만, 이번 급락은 경기순환주와 방어주를 포함해 전방위적으로 확산되었습니다. 주요 기업들의 주가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 애플(AAPL): -7.3%
- 엔비디아(NVDA): -7.3%
- 테슬라(TSLA): -10.5%
- 메타플랫폼(META): -5.0%
특히 기술주 고점 대비 나스닥 지수가 20% 넘게 하락하며 약세장에 진입한 상황입니다.
투자 아이디어: 불확실성 속 전략적 접근
이번 증시 폭락은 단기적인 시장 혼란을 초래했지만, 투자자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전략적 접근이 필요합니다:
- 방어적 섹터 투자: 헬스케어 및 필수소비재 섹터는 경기침체 시에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성과를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현금 확보 및 저점 매수 기회 탐색: 시장이 과도하게 반응하는 시점에서 저평가된 우량주를 선별해 장기적으로 매수하는 전략이 유효합니다.
- 글로벌 분산 투자: 미국과 중국 간 무역전쟁이 심화될 경우 다른 지역(유럽 및 신흥시장)으로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기술주 선별 투자: 고점 대비 크게 하락한 기술주는 향후 회복 가능성이 있는 종목을 중심으로 선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울면서 매수중 ㅠㅠ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트럼프, 틱톡 금지법 75일 추가 유예…미중 갈등 속 투자 전략 (0) | 2025.04.05 |
---|---|
파월 의장의 관세 정책 경고와 연준의 신중한 금리 정책(파월 도와줘ㅠ) (0) | 2025.04.05 |
아마존, 틱톡 인수전 참여로 글로벌 시너지 창출 기대! (0) | 2025.04.04 |
오픈AI, 첫 사이버보안 투자! 어댑티브 시큐리티와 AI 기반 해킹 대응 강화 (0) | 2025.04.04 |
트럼프 관세 독주 견제, 미국 의회 ‘2025 무역검토법’ 발의 (0)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