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J&J의 렉라자+리브리반트 병용요법이 2025년 1분기 글로벌 매출 **1억 4100만 달러(약 2000억 원)**를 기록하며 유한양행의 로열티 수익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미국 매출이 전체의 80%(1600억 원)를 차지했으며, 유럽·일본 허가 이후 중국 승인이 임박해 추가 성장이 예상됩니다.
- 계약 구조: 유한양행은 2018년 J&J에 글로벌 권리 이전(계약 규모 1조4000억 원), 국내 판매권과 로열티 수익권 보유.
- 임상 성과: 타그리소 대비 무진행생존기간 23.7개월(기존 16.6개월)로 우월성 입증.
- 전망: J&J "2027년까지 시장 예측 2배 성장 가능성", 연간 50억 달러(약 6조6000억 원) 매출 잠재력.
투자 아이디어
- 로열티 수익 포인트: 2025년 2분기 중국 허가 시 추가 마일스톤(약 3000만 달러) 예상.
- 실적 반등 시나리오: 국내 병용요법 허가로 2025년 매출 300억 원 돌파 전망.
- 장기 성장 트리거: 2026년 이후 유럽·아시아 시장에서 점유율 확대.
관련 테마: #암치료제 #바이오로열티 #글로벌신약
관련된 주식 종목
종목명주요 포인트
| 유한양행 | 렉라자 로열티 수혜 1순위, 2025년 300억 원+ 국내 매출+해외 마일스톤 수익 |
| 오스코텍 | 원천기술 보유사, 유한양행과 계약 수익 분배 가능성 |
| 제노스코 | 임상 지원 협력사, 유한양행 렉라자 프로젝트 참여 |
유한양행은 2025년 2분기 중국 허가를 기점으로 **단기 마일스톤 3000만 달러(약 400억 원)**가 실적에 반영될 전망입니다. 장기적으로는 J&J의 공격적 마케팅 전략에 힘입어 연간 로열티 수익이 1000억 원+까지 성장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 시 2025년 6월 중국 허가 결과와 3분기 J&J의 유럽 시장 확대 속도를 주시해야 하며, 오스코텍은 추가 계약 수익 분배 가능성이 있을 때 단기 매수 전략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37.9% 점유율의 폭풍" CATL 한국 진출 (0) | 2025.04.17 |
|---|---|
| "7일간 5000명 몰려든 K뷰티" 에이피알, 글로벌 스킨케어 도약 신호탄 (0) | 2025.04.17 |
| "꿈의 패키징 기술" SK하이닉스, 하이브리드 본딩으로 HBM 시장 재장악 (1) | 2025.04.17 |
| "K-웹툰 정책+닌텐도 스위치2" 대원미디어 (0) | 2025.04.17 |
| "12조원 대형 프로젝트 참여" 켄코아에어로, 우주인터넷 공략 (0) | 2025.04.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