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AMD(Advanced Micro Devices)는 2025년 5월 5일(미국 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강화된 대중국 수출 규제로 인해 인스팅트 MI308X GPU 수출이 중단되며 2분기 매출 7억 달러(약 9674억 원), 연간 매출 15억 달러(약 2조730억 원) 감소와 **재고 관련 비용 8억 달러(약 1조1056억 원)**가 발생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AMD의 2024년 중국 매출(62억3000만 달러, 전체의 24%)에 상당한 타격을 줄 전망입니다. 리사 수 CEO는 실적 발표 컨퍼런스 콜에서 “관세와 규제 불확실성이 존재하지만, AI 인프라 수요와 북미·유럽 시장 확대, 그리고 MI350 GPU 출시로 영향을 상쇄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주요 재무 및 사업 영향
- 수출 규제 배경: AMD는 미국 상무부의 규제를 준수하는 중국 시장용 AI GPU MI308X를 공급했으나, 2025년 4월 강화된 수출 규제로 이 제품의 중국(홍콩, 마카오 포함) 및 D:5 국가 수출이 차단. AMD는 수출 라이선스를 신청할 계획이나, 승인 가능성은 낮음(역대 GPU 수출 라이선스 미승인 사례 다수).
- 재무적 충격:
- 2분기 매출 감소: 7억 달러(2024년 2분기 매출 58억 달러의 약 12%).
- 연간 매출 감소: 15억 달러(2024년 연간 매출 258억 달러의 약 5.8%).
- 재고 비용: MI308X 관련 재고, 구매 약정, 준비금으로 8억 달러 추가 지출.
- 2025년 1분기 실적: 1분기 매출 74억4000만 달러(전년 대비 +36%, 예상 71억3000만 달러 상회), 조정 EPS 0.96달러(예상 0.94달러 상회). 데이터센터 매출은 57% 증가(37억 달러)로 AI GPU(MI300X)와 EPYC CPU 수요가 견인.
- 대응 전략:
- MI350 GPU 출시: 2025년 하반기 양산 시작, 수출 규제에서 자유로운 북미·유럽 시장 타겟.
- ZT시스템즈 인수: 2025년 완료, 데이터센터 솔루션 강화로 중국 시장 의존도 축소.
- 미국 정부 협의: AI 확산 규제 완화를 위한 논의 진행.
시장 및 산업 트렌드
- AI GPU 수요: 글로벌 AI 인프라 투자(2025년 3000억 달러 예상)로 데이터센터 GPU 수요 급증. AMD의 MI300X는 마이크로소프트, IBM, 벌트(Vultr) 등에 공급되며 엔비디아 H100 대비 경쟁력 입증.
- 중국 시장 의존도: 중국은 AMD의 2위 시장(2024년 매출 24%)이나, 수출 규제로 매출 비중 축소 불가피. 북미(50% 이상)와 유럽 시장 확대가 관건.
- 경쟁 환경: 엔비디아는 H20 GPU 수출 중단으로 55억 달러 손실 예상, AMD의 8억 달러 손실은 상대적으로 작음. 그러나 엔비디아의 시장 지배력(80%)은 AMD의 성장에 도전 과제.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포인트
- 시장 트렌드: AI와 고성능 컴퓨팅(HPC) 수요로 데이터센터 GPU 시장이 2025년 1500억 달러로 성장 전망. AMD의 MI300X와 MI350은 엔비디아와의 경쟁에서 점유율 확대 기회.
- 재무적 영향: MI308X 수출 중단은 단기 매출과 수익성에 타격이나, 1분기 실적 호조(매출 +36%)와 수주 잔고(데이터센터 50억 달러 이상)로 장기 성장 가능성 유지.
- 미래 전망: MI350 GPU(2025년 하반기)와 ZT시스템즈 인수로 북미·유럽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 강화. 전고체 배터리와 자동차 반도체(임베디드) 부문도 중장기 성장 동력.
투자 아이디어
AMD의 MI308X 수출 중단은 단기 충격이나, AI GPU 성장, 북미·유럽 시장 확대, 실적 회복력이라는 세 가지 테마로 장기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투자자는 다음 기회와 주의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 AI GPU 시장의 폭발적 성장
AMD의 MI300X는 마이크로소프트, IBM 등 주요 클라우드 기업에 공급되며 AI 추론 성능에서 엔비디아 H100 대비 32% 우수. MI350 GPU(2025년 하반기)는 최신 CDNA 4 아키텍처로 추론 성능을 35배 향상시켜 시장 점유율 확대가 기대됩니다. - 북미·유럽 시장 공략 가속화
중국 시장(24%) 손실은 북미(50% 이상)와 유럽 중심의 데이터센터 수요로 상쇄 가능. ZT시스템즈 인수(47억 달러, 2025년 완료)는 서버 및 AI 솔루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며 AWS, 구글 클라우드 등과의 협력을 확대할 전망. - 실적 회복과 주가 반등 잠재력
1분기 매출 74억4000만 달러와 2분기 가이던스(76억 달러, 예상 상회)는 AI와 EPYC CPU의 견고한 수요를 반영. 8억 달러 재고 비용은 일회성 요인으로, 2025년 연간 매출 목표 300억 달러 달성 가능성은 주가 상승의 촉매제.
주의점:
- 수출 규제 불확실성: 미국 정부의 추가 규제(예: 반도체 장비 수출 제한)와 라이선스 미승인 리스크는 단기 주가 변동성을 키울 수 있음.
- 경쟁 심화: 엔비디아의 블랙웰 칩과 인텔의 가우디 시리즈는 AMD의 데이터센터 점유율 확대에 도전 과제. 가격 경쟁으로 마진 축소 가능성.
- 중국 시장 리스크: 중국의 대체 GPU(화웨이 아스크드) 개발과 보복 관세는 AMD의 아시아 매출 회복을 지연시킬 수 있음.
관련 테마:
- AI 반도체: AI 인프라와 HPC 수요로 GPU 시장 성장.
- 데이터센터: 클라우드와 기업용 AI 솔루션 수요 확대.
- 글로벌 공급망: 북미 중심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
관련된 주식 종목
AMD와 MI308X 관련 AI GPU 및 데이터센터 밸류체인 내 주요 기업을 아래에 정리했습니다. 경쟁사(엔비디아, 인텔 등)는 제외하고, AMD 생태계와 연관된 기업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종목명시장관련성 설명
AMD | 미국 (NASDAQ) | MI308X 수출 중단에도 MI350 GPU와 ZT시스템즈 인수로 AI 데이터센터 시장 공략. 1분기 실적 호조로 성장 지속성 입증. |
삼성전자 | 한국 | AMD의 MI300X·MI350 GPU 제조 파트너(파운드리). HBM3 공급으로 AI 반도체 수혜. 용인 클러스터 투자로 추가 협력 기대. |
SK하이닉스 | 한국 | AMD GPU용 HBM3E 주요 공급사. AI 메모리 수요 급증으로 2025년 매출 50조 원 목표. |
- AMD: MI308X 손실(8억 달러)은 일회성 요인. MI350과 데이터센터 매출(2024년 126억 달러, +94%)로 장기 성장 전망 밝음.
- 삼성전자: AMD의 GPU 파운드리와 HBM3 공급으로 AI 반도체 밸류체인 핵심 파트너. 2025년 반도체 매출 1000억 달러 목표.
- SK하이닉스: HBM3E로 엔비디아·AMD 공급 독점. 1분기 영업이익 7조4000억 원으로 AI 메모리 시장 지배력 강화.
728x90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픈AI, MS 수익 공유 절반으로 축소! AI 독립성 강화 (0) | 2025.05.07 |
---|---|
애플, 2026년 폴더블 아이폰으로 시장 뒤흔든다! 상·하반기 출시 전략 전환의 기회 (0) | 2025.05.07 |
쿠팡의 로켓 성장 계속된다! 1분기 11.5조 매출, 340% 이익 폭발로 투자 기회 포착! (0) | 2025.05.07 |
오징어 게임3 티저 폭발적 반응! 넷플릭스의 마지막 승부로 돈 버는 법 (0) | 2025.05.07 |
엔비디아 GB300, GB200 설계 회귀! 대만 AI 공급망의 승자와 패자는?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