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날(064260)은 텐센트의 위챗페이와 제휴를 통해 국내 편의점, 뷰티,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외국인 관광객을 위한 QR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며, 2025년 상반기 오프라인 QR 결제 거래액이 전년 대비 52% 증가했다고 7월 15일 밝혔다. 특히 5월 거래액은 사상 최대를 기록하며 방한 중국인 관광객의 소비 증가와 맞물려 실적 호조를 이끌었다. 인천국제공항공사 통계에 따르면, 2025년 1~5월 방한 중국인은 468만 명으로 전년 대비 24.9% 증가했으며, 3월 이후 개인 관광객의 유입이 꾸준히 늘고 있다. 국내 편의점 업계의 외국인 매출도 같은 기간 40% 이상 성장하며, 고가 상품보다 생필품 중심의 소비 트렌드가 두드러졌다.
다날의 위챗페이 QR 결제는 중국 관광객이 국내 약 20만 개 가맹점에서 스마트폰으로 간편히 결제할 수 있는 서비스로, 특히 CU, GS25 등 주요 편의점에서 사용량이 급증했다. 이는 중국 내 위챗페이 사용자(10억 명 이상, 2025년 기준)의 높은 접근성과 결제 편의성이 국내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 기여한 결과다. 다날은 또한 페이팔, 유니온페이 등 글로벌 결제사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중국 외 일본, 동남아 관광객을 위한 결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으며, 3분기 내 BC카드와 공동으로 외국인 특화 선불카드를 출시해 시장 공략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다날은 유학생 학비 결제 서비스로 추가 성장 동력을 확보했다. 이 서비스는 해외 유학생이 위챗페이, 페이팔 등을 통해 환전 없이 학비를 결제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2025년 상반기 거래량이 전년 대비 62% 증가했다. 현재 100여 개 국내 대학과 제휴 중이며, 전국 단위로 협력 확대가 진행되고 있다. 정부가 2025년 3분기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을 추진 중인 점을 고려하면, 다날의 외국인 결제 서비스는 하반기 더 큰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그러나 중국 관광객 의존도 증가와 글로벌 결제 플랫폼 간 경쟁 심화, 환율 변동(원/달러 1350원대 약세)은 잠재적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투자 아이디어
다날의 위챗페이 제휴와 외국인 결제 서비스 확대는 방한 관광객 증가와 디지털 결제 트렌드에서 큰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주요 투자 포인트와 전략은 다음과 같다:
- 방한 관광객 증가 수혜: 2025년 상반기 방한 중국인 468만 명(24.9% YoY)은 다날의 QR 결제 거래액(52% YoY)과 직결된다. 하반기 중국 단체 무비자 정책(2023년 8월 시행 후 연장 검토)이 시행되면 연간 1000만 명 이상의 중국 관광객 유입이 예상되며, 다날의 편의점 및 소매 결제 매출이 급증할 가능성이 크다.
- 디지털 결제 시장 성장: 글로벌 모바일 결제 시장은 2030년까지 연평균 15.7% 성장(CAGR)하며 5조 달러 규모로 전망된다. 다날의 위챗페이, 페이팔, 유니온페이 연동은 국내 디지털 결제 시장(2024년 1.2조 원)의 외국인 세그먼트를 선점하는 강점이다.
- 유학생 결제 시장 공략: 국내 외국인 유학생(2024년 약 20만 명, 5년간 10% 증가)의 학비 결제 서비스는 안정적 수수료 수익을 창출한다. 2025년 상반기 거래량 62% 성장은 다날의 플랫폼 확장성을 입증한다.
- 리스크 요인: 중국 관광객 의존도(결제 매출의 70% 이상)가 높아 중국의 경제 상황이나 여행 정책 변화는 실적 변동성을 초래할 수 있다. 알리페이, 유니온페이 등 글로벌 결제 플랫폼과의 경쟁, 그리고 원/달러 환율 약세로 인한 수익성 압박도 주의가 필요하다.
투자 전략으로는 디지털 결제와 방한 관광 관련 밸류체인 기업에 주목하되, 다날의 선불카드 출시와 중국 무비자 정책 연장 여부를 모니터링하며 단기 변동성에 대비해야 한다. 장기적으로는 외국인 결제 서비스의 글로벌 확장과 유학생 시장 성장에 투자 포지션을 강화하는 것이 유리하다.
관련된 주식 종목
아래는 다날의 위챗페이 및 외국인 결제 서비스 밸류체인 내 주요 국내 기업들이다.
종목명티커설명
다날 | 064260 | 위챗페이 QR 결제 및 유학생 학비 결제 서비스로 외국인 결제 시장 선도. 2025년 매출 4000억 원 전망. |
BC카드 | 비상장 | 다날과 외국인 특화 선불카드 공동 출시. 글로벌 결제망으로 시장 확대. |
KG이니시스 | 035600 | 전자결제 솔루션 제공. 위챗페이 가맹점 결제 시스템 지원으로 수혜. 2025년 매출 1.2조 원 예상. |
NHN한국사이버결제 | 060250 | 위챗페이 제휴로 오프라인 결제 지원. 방한 관광객 결제 수수료 수익 증가. |
설명:
- 다날: 위챗페이 QR 결제(52% YoY)와 유학생 학비 결제(62% YoY)로 2025년 영업이익 20% 성장 예상. 중국 무비자 정책으로 추가 수혜 전망.
- BC카드: 비상장이지만 다날과의 선불카드 출시로 외국인 결제 시장 진출. 유니온페이 연동으로 안정적 수익.
- KG이니시스: 위챗페이 가맹점 결제 시스템 지원으로 방한 관광객 매출 기여. 2025년 영업이익률 8% 목표.
- NHN한국사이버결제: 위챗페이 제휴로 편의점 결제 수수료 수익 확대. 2025년 매출 8000억 원 전망.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인엠텍, 애플 폴더블 아이폰 대박 예고! 2026년 메탈 플레이트 독점 공급으로 폭발적 성장 기회 (1) | 2025.07.15 |
---|---|
한미반도체, HBM4·HBM5 시장 석권 예고! TC 본더로 AI 반도체 패키징 혁신 주도 (0) | 2025.07.15 |
나트륨 배터리, 차세대 배터리 패권을 잡는다! SK온의 선제적 대응, 지금이 투자 타이밍 (0) | 2025.07.15 |
하만의 놀라운 부활: 삼성전자 전장 사업의 알짜 효자, 가전 넘어서는 수익성 폭발! (4) | 2025.07.15 |
칩스앤미디어의 자율주행 선점: 글로벌 톱3 반도체사 2곳에 비디오 IP 공급, 폭발적 성장 기회! (0) | 2025.07.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