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한미 MASGA 프로젝트 폭발! 국내 조선업, 미 군함 MRO로 대박 수주 물살?

Htsmas 2025. 8. 11. 09:31
반응형

한국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한미 조선업 협력을 강화하기 위해 'MASGA(Make America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를 추진 중입니다. 이는 2025년 7월 한미 무역협상에서 타결된 핵심 합의로, 총 1500억 달러(약 208조 원) 규모의 전용 펀드를 조성해 미국 내 신규 조선소 건설, 한국 기업의 미국 조선소 인수, 인력 양성 등을 포함합니다. 특히, 미 군함의 유지·보수·정비(MRO)를 국내 전용 조선소에서 맡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MRO 사업부터 시작해 장기적으로 미 군함 건조까지 확대할 수 있는 전략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이는 국내 조선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정치적·지정학적 리스크도 동반합니다.

1. 프로젝트 배경과 핵심 내용

MASGA는 쇠락한 미국 조선업 재건을 목표로 한국의 기술과 자본을 활용하는 협력입니다. 2025년 7월 한미 관세 합의(한국 제품 관세 15% 상한)에서 정부가 제안한 '조선업 카드'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수개월 전부터 준비해온 펀드 조성을 통해 중형 조선사 인수나 MRO 특화 단지 지정을 추진합니다. 법안으로는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발의한 '한미 간 조선 산업 협력 증진 및 지원법'이 있으며, 정부 출연금으로 협력 기금을 설치해 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입니다. 이는 미국의 법 개정을 통해 군함 건조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후보 조선소 분석

  • 케이조선 (경남 진해): 미 해군 부대가 인접한 입지적 장점으로 유력 후보입니다. 정부가 펀드를 활용해 인수할 가능성이 높으며, 최대 주주인 유암코(정부 지분 30%)가 매각을 추진 중입니다. 케이조선 측은 MRO 일감 보장 시 긍정적으로 검토 중으로, 수익성은 낮지만 안정적 일감으로 전환 가능합니다.
  • HJ중공업 (부산 영도): 미 해군 보급체계사령부와 MRO 협약(MRSA)을 추진 중이며, 2025년 4월 미 해군 사령관 방문으로 준비 상황을 확인했습니다. 부산·경남 기업 10곳과 클러스터를 형성했으나, 회사 매각 계획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 HD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전북 군산): 군산항을 MRO 단지로 조성하는 방안이 논의되며, 2022년 재가동된 군산조선소가 블록 제작에서 MRO로 전환될 수 있습니다. 최근 미 해군 군수지원함 MRO를 울산에서 수주했으나, 정부 요청은 아직 없다고 합니다. 지리적으로 중국 견제에 유리하지만, 중국 자극 가능성으로 현실화가 불투명합니다.

3. 시장 트렌드와 재무 영향

조선업은 글로벌 슈퍼사이클(수요 폭증) 중으로, LNG선·컨테이너선 수주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MASGA는 여기에 미 군함 MRO(연간 수백억 달러 시장)를 더해 안정적 매출원을 제공할 전망입니다. 예를 들어, MRO는 건조보다 마진이 낮지만(약 5~10%), 일감 보장으로 가동률을 높여 고정비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2025년 상반기 국내 조선 빅3(HD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한화오션)의 수주 잔고는 100조 원을 넘어섰으나, MASGA 성공 시 추가 10~20% 매출 증가 가능합니다. 그러나 펀드 조성(정부 출연금 중심)으로 재정 부담이 커질 수 있으며, 미국 법 개정 지연 시 단기 수익화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4. 미래 전망

단기(2025~2026년): MRO 사업부터 시작해 후보 조선소의 가동률 상승 기대. 장기(2027년 이후): 미 군함 건조 참여로 시장 점유율 확대. 그러나 중국의 저가 공세와 지정학적 긴장(중국 견제)이 변수입니다. 업계 TF가 2025년 8월 가동되며, 미국 측 투자 의지도 긍정적입니다.

5. 재무 데이터 요약 (2025년 1분기 기준, 증권사 컨센서스 종합)

 
회사명매출액 (억 원)영업이익 (억 원)영업이익률 (%)수주 잔고 (조 원)주가 (원, 2025.8.11 기준)
HD현대중공업 25,300 1,200 4.7 45 150,000
HJ중공업 8,500 450 5.3 12 7,500
삼성중공업 22,000 800 3.6 30 8,000
한화오션 18,000 1,000 5.6 25 25,000

투자 아이디어

MASGA 프로젝트는 국내 조선업의 새로운 블루오션으로, MRO 사업 확대가 안정적 수익원을 창출할 기회입니다. 투자자는 단기 관망 후 중장기 매수 전략을 고려하세요. 핵심은 정부 지원과 미 측 법 개정 속도입니다.

1. 단기 전략: 이벤트 모니터링 후 진입

  • 투자 타이밍: 2025년 하반기 법안 통과와 TF 결과(9~10월 예상)를 주목하세요. 후보 조선소 관련 뉴스가 나오면 주가 반등 가능성 높습니다. 주가가 10~15% 하락 시 저점 매수 추천.
  • 포트폴리오 배분: 조선株 비중 10~20%로 시작, MRO 수주 발표 시 확대.

2. 중장기 전략: 성장 테마 베팅

  • 기회 포인트: 미 군함 MRO는 연간 500억 달러 시장으로, 한국 기업 참여 시 수주 잔고 20% 증가 예상. 빅3의 미국 인수·건설 투자로 글로벌 경쟁력 강화.
  • 주의점: 수주 잔고와 가동률을 확인하세요. MRO 마진(5~10%)이 낮아 일감 보장이 핵심입니다.
  • 관련 테마: 방산(미 군함 관련), 조선 슈퍼사이클(LNG·컨테이너선 수요), 한미 동맹 강화(지정학적 안정). AI·전기차와 연계된 스마트 선박 기술도 잠재력 있습니다.

3. 리스크 요인

  • 정치·정책 리스크: 미국 법 개정 지연이나 관세 재협상으로 프로젝트 중단 가능성.
  • 지정학적 리스크: 군산조선소처럼 중국 자극 시 미 측 철회 우려.
  • 경제 리스크: 글로벌 경기 둔화로 MRO 수요 감소, 펀드 조성 실패 시 정부 재정 압박.
  • 대응: 다각화 투자(조선+방산 ETF)로 리스크 분산, 주가 변동성 대비 스톱로스 설정.

관련된 주식 종목

 
종목명설명
HD현대중공업 MASGA 후보로 군산조선소 활용 가능성 높으며, 미 해군 MRO 수주 경험으로 안정적 성장 기대.
HJ중공업 미 해군과 MRO 협약 추진 중으로, 클러스터 형성 통해 사업 확대 잠재력 큼.
삼성중공업 빅3 중 하나로 미국 인수 전략에 참여 가능, 수주 잔고 풍부로 MASGA 수혜 예상.
한화오션 방산 전문성으로 미 군함 MRO 적합, 글로벌 네트워크 활용 시 시너지 효과.
  • HD현대중공업: 미 군함 MRO 실적 보유로 프로젝트 수혜 1순위, 주가 상승 모멘텀 강함.
  • HJ중공업: MRO 준비 완료로 단기 수주 가능성 높아, 저평가 매력.
  • 삼성중공업: 대형 수주 능력으로 장기 건조 참여 기대.
  • 한화오션: 방산 밸류체인 강점으로 MRO 넘어 건조까지 확대 가능.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