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SK하이닉스, '슈퍼사이클' 초기 강도 예상 초월! 내년 영업이익 80조원 베팅, 목표주가 73만원 제시

Htsmas 2025. 11. 19. 08:37
반응형

키움증권은 SK하이닉스에 대한 투자의견 '매수'와 반도체 업종 '최선호주(Top Pick)'를 유지하면서, 내년 영업이익 전망치를 80조 원으로 대폭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를 기존 65만 원에서 73만 원으로 높였습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4분기 실적 서프라이즈 예상: SK하이닉스의 4분기 실적은 매출액 28조 8,000억 원, 영업이익 15조 원을 기록하며 시장 컨센서스(14조 1,000억 원)를 크게 웃돌 것으로 전망됩니다.
  • 압도적 2026년 실적 전망: 2026년 연간 영업이익 전망치를 기존 대비 상향 조정하여 80조 원, 매출액은 136조 2,000억 원을 제시했습니다. 이는 전년 대비 영업이익 46%, 매출액 86% 증가라는 파격적인 성장세입니다.
  • D램 가격 상승 폭 확대: 범용 메모리 제품의 고정가격 상승률 예상치를 기존 27%(전분기 대비)에서 **37%**로 상향 조정했습니다. 이는 4분기에도 추가적인 가격 상승이 가능할 만큼 업황 회복 사이클의 강도가 기대치를 초과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비수기에도 호실적 지속: 통상적인 비수기인 내년 1분기에도 매출액 30조 2,000억 원, 영업이익 17조 3,000억 원을 기록하며 컨센서스를 크게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업황 회복 배경: 범용 DRAM의 유통 재고 감소, DDR4 생산 증대를 위한 DDR5 공급 감소 (일부 생산능력이 HBM으로 전환되는 영향으로 해석될 수 있음), 그리고 서버 D램 수요 개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가격 상승 중심의 업황 회복을 이끌고 있습니다.
  • NAND로 온기 확산: D램의 강력한 업황 회복세가 최근 낸드(NAND) 산업까지 확산되는 조짐을 보이며 전반적인 메모리 산업의 개선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이번 SK하이닉스 목표주가 상향은 현재 진행 중인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회복 사이클이 단순히 재고 조정 수준을 넘어 **'초기 상승 사이클의 강도'**가 예상치를 훨씬 뛰어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SK하이닉스는 특히 HBM 분야의 선두 주자로서 프리미엄을 누리고 있으며, 범용 D램의 가격 급등까지 더해지면서 강력한 실적 모멘텀을 확보했습니다.

주요 투자 인사이트 및 전략:

  1. 더블 모멘텀 (HBM & 범용 D램): SK하이닉스는 HBM 시장을 주도하면서도, 이제 범용 D램 시장의 강력한 가격 상승 사이클로부터 직접적인 수혜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DDR5 공급 감소 이슈는 가격 상승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수익성 개선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2. 공급자 우위 시장의 지속: D램의 가격 결정력이 공급자(SK하이닉스 포함 D램 3사)에게 넘어온 상황은 향후 실적의 안정성과 가시성을 높여줍니다. 높은 가격 전망치는 주가 상승 모멘텀을 내년 하반기까지 지속적으로 이끌 핵심 동력이 될 것입니다.
  3. 반도체 슈퍼 사이클 재확인: SK하이닉스의 실적 전망치 상향은 메모리 반도체 산업 전체가 다시 한번 슈퍼 사이클에 진입했음을 강력하게 시사합니다. 범용 메모리와 고성능 메모리(HBM) 모두에서 동시에 발생하는 강력한 수요와 가격 상승은 구조적인 변화로 해석해야 합니다.

관련 테마:

  • 반도체 슈퍼 사이클 (Semiconductor Super Cycle)
  • HBM (고대역폭 메모리) 및 AI
  • 메모리 가격 강세

리스크 요인:

  • 가격 급등의 부작용: 범용 D램 가격의 급등은 PC, 스마트폰 등 완제품 수요의 감소(Price Elasticity of Demand)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존재합니다. 다만, 당분간은 실적 기대치 상향 모멘텀이 이를 상쇄할 것으로 보입니다.
  • 낸드(NAND) 회복 속도: 낸드 산업으로 온기가 확산되고 있으나, D램만큼의 강력한 가격 상승세가 나타나지 않을 경우 전체 실적에 대한 기대치가 조절될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이번 분석은 SK하이닉스의 독보적인 경쟁력과 실적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핵심 투자 종목은 SK하이닉스입니다. 또한, SK하이닉스의 HBM 및 D램 생산과 관련된 국내 소부장 기업들도 밸류체인상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종목명 시장 간략 설명
SK하이닉스 국내 (유가증권시장) HBM 시장 선도 기업이자, D램 및 낸드 시장의 강력한 회복 사이클에 따른 최대 수혜주. 범용 D램 가격 급등과 HBM 공급 확대의 직접적인 수혜를 받으며 사상 최대 실적 달성이 기대됨.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