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현대차, 트럼프 관세에도 가격 인상 없다…고객 가치와 경쟁력 유지 강조

Htsmas 2025. 4. 3. 11:08
반응형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사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25% 고율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판매되는 차량 가격을 올릴 계획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이는 현대차의 고객 가치 창출과 경쟁력 유지를 위한 전략으로 해석됩니다.

1. 트럼프 관세와 현대차의 대응

▷ 관세 부과 배경

  •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일(현지 시각)부터 수입산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습니다.
  • 이는 미국과 자유무역협정(FTA)을 맺은 국가 중 가장 높은 세율로, 한국산 자동차가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현대차의 대응 전략

  • 호세 무뇨스 사장은 2025 서울 모빌리티 쇼에서 “고객 가치를 창출해온 역사를 바탕으로 경쟁력을 유지할 것”이라며 가격 인상을 일축했습니다.
  • 랜디 파커 현대차 미국 판매 법인 CEO가 관세에 따른 가격 인상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무뇨스는 이를 부정하며 고객 중심의 접근을 강조했습니다.

2. 현대차의 장기적 전략

▷ 시장 변화에 신속 대응

  • 무뇨스 사장은 “현대차는 시장 변화에 적응하고 혁신하는 능력이 우리의 DNA”라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관세 문제를 해결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정의선 회장은 미국 내 생산 확대와 기술 혁신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 현지 생산 확대 계획

  • 현대차는 최근 조지아주 신공장(HMGMA)을 준공하며 연간 생산능력을 50만 대로 확대했습니다.
  • 향후 현지 생산 규모를 120만 대로 늘려 관세 영향을 최소화할 계획입니다.

3. 투자 아이디어

이번 관세 이슈는 자동차 산업 전반에 걸쳐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1. 현대차 주목
    • 현지 생산 확대와 기술 혁신으로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큽니다.
    •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전략이 수익성 방어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전망입니다.
  2. 자동차 부품 기업 투자 고려
    • 국내 부품업체들은 수출 타격이 예상되지만, 현지 생산 확대에 따른 공급망 변화로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수 있습니다(예: 만도, 한온시스템).
  3. 미국 내 투자 확대 기업 주목
    • 현대차뿐 아니라 다른 글로벌 자동차 기업들도 미국 내 생산시설 확장을 검토 중이므로 관련 인프라 기업들(예: 건설·설비업체)에 관심 필요합니다.

4. 결론: 고객 중심 전략으로 위기를 기회로

현대차는 트럼프 관세라는 도전에 직면했지만, 고객 가치 창출과 경쟁력 유지를 통해 위기를 극복하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현지 생산 확대와 기술 혁신은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며, 자동차 산업의 글로벌 경쟁 구도에도 중요한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