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방산주, 상호관세 무풍지대…내수주도 관세와 무관

Htsmas 2025. 4. 4. 14:42
반응형

한국투자증권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상호관세 시행과 관련해 업종별로 선택적인 투자 접근이 필요하다고 분석했습니다. 관세가 실적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거나, 관세율 조정 가능성이 있는 업종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번 분석은 투자자들에게 글로벌 무역 환경 변화 속에서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구성 방안을 제시합니다.

관세 영향과 업종별 투자 전략

  1. 최선호 업종: 방산 및 내수 중심 업종
    • 방산:
      • 미국으로 수출하지 않는 방산 업종은 관세 영향을 받지 않으며, 타국 매출 확대 가능성이 높습니다.
      • 원재료 국산화로 대외 가격 변동에도 안정적.
      • 관련 종목: 한화에어로스페이스, LIG넥스원, 한국항공우주.
    • 내수 중심 업종:
      • 엔터, 유통, 금융, 인터넷 등은 관세와 무관하며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유지.
      • 엔터 업종은 미국 의존도가 낮고, 수출 품목이 재화가 아닌 용역으로 관세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 관련 종목: 하이브, JYP Ent., 신세계, 카카오.
  2. 차선호 업종: 반도체 및 의약품
    • 반도체:
      • 미국 정부와의 협상 결과에 따라 관세율 조정 가능성이 높아 극단적인 관세 노출 위험이 낮습니다.
      • 관련 종목: 삼성전자, SK하이닉스.
    • 의약품:
      • 필수 재화로 간주되어 높은 관세율 적용 가능성이 낮습니다.
      • 관련 종목: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3. 주의할 업종: 관세에 직접 노출된 수출 중심 업종
    • 한국 또는 아시아에서 생산된 제품으로 25% 상호관세가 확정된 경우, 투자 매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자동차, 가전 등 주요 수출 품목은 단기적으로 관세 부담 증가 가능성이 큽니다.
    • 관련 종목: 현대차, 기아, LG전자.

투자 아이디어

  1. 방산 업종 강화:
    • 한국 방산 기업들은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트럼프발 관세 정책의 영향을 받지 않아 안정적인 투자처로 평가됩니다.
  2. 내수 업종 주목:
    • 내수 중심의 유통 및 엔터테인먼트 기업은 국내 경기 부양 정책과 맞물려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3. 반도체 및 의약품 장기 투자:
    • 미국과의 협상 결과에 따라 반도체와 의약품은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결론

트럼프발 상호관세 시행은 글로벌 무역 환경에 큰 변화를 가져오고 있지만, 이를 기회로 활용할 수 있는 업종과 기업을 선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산 및 내수 중심 업종은 안정적인 투자처로 주목받고 있으며, 반도체와 의약품은 협상 결과에 따라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을 제공합니다. 투자자들은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며 효율적인 투자를 모색해야 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