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AI가 찾아낸 희귀병 치료제, 시한부 환자에게 새 생명을 선사하다

Htsmas 2025. 2. 8. 18:11
반응형

희귀 면역 질환인 '특발성 다발성 캐슬만병'(iMCD) 환자가 인공지능(AI)이 발견한 치료법으로 기적적인 회복을 보여 의료계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AI가 찾아낸 새로운 희망

미국 펜실베이니아 페렐만 의대 연구팀은 최근 국제학술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AI를 활용해 iMCD 환자를 성공적으로 치료한 사례를 발표했습니다1. 이 환자는 기존에 호스피스 병동에서 증상 완화 치료만 받을 예정이었으나, AI의 도움으로 새로운 치료 가능성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기존 약물의 재발견

연구팀은 기계학습(머신 러닝)을 통해 크론병과 관절염 치료제로 승인받은 '아달리무밥'이 iMCD 치료에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아달리무밥은 종양괴사인자(TNF)를 억제하는 약물로, iMCD 환자에게서 TNF 신호 전달 수치가 과도하게 상승한 점이 확인되었습니다.

놀라운 치료 결과

'시한부' 판정을 받았던 환자는 아달리무밥 투약 후 2년이 넘은 현재 거의 완전한 관해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AI를 활용한 약물 재활용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획기적인 사례입니다.

연구자의 개인적 경험이 만든 변화

연구를 주도한 데이비드 파겐바움 박사는 자신도 10년 전 iMCD 환자였다고 밝혔습니다. 그의 경험이 이번 연구의 원동력이 되어, 더 많은 희귀병 환자들에게 희망을 줄 수 있는 AI 기반 치료법 개발로 이어졌습니다.파겐바움 박사는 "미국에서만 수백 명, 전 세계적으로 수천 명에 달하는 환자들이 치명적인 희귀병으로 고통받고 있다"며,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이들 중 상당수가 새로운 치료법의 혜택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이번 사례는 AI 기술이 의료 분야, 특히 희귀병 치료에 얼마나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지 보여주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주식:

  • Eli Lilly (NYSE: LLY)
  • Merck (NYSE: MRK)
  • ResMed (NYSE: RMD)
  • Tenet Healthcare (NYSE: THC)
  • Universal Health Services (NYSE: UHS)
  • Intuitive Surgical (NASDAQ: ISRG)
  • Novo Nordisk (NYSE: NVO)
  • Stryker (NYSE: SYK)
  • Alphabet (NASDAQ: GOOGL)
  • Medtronic (NYSE: MDT)

한국 주식:

  • 올릭스 (KOSDAQ: 226950)
  • 종근당 (KRX: 18575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