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부가 1조 8천억 원 규모의 인공지능(AI) 분야 추가경정예산(추경)을 4월 18일 국무회의에서 의결했습니다. 이번 추경은 AI 컴퓨팅 인프라 확충, 차세대 AI 모델 개발, AI 전환 가속화 등 국가 AI역량 강화 방안의 실질적 이행을 목표로 합니다.
핵심 예산 집행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클러스터링 기반 첨단 GPU 1만장 연내 확보: 1조 4,600억 원을 투입해 AI 연구·개발에 필수적인 고성능 GPU를 대량 확보합니다. 이는 국내 AI 기업과 연구소의 컴퓨팅 자원 부족 문제를 해소할 핵심 투자입니다.
- 민간 첨단 GPU 2,600장 추가 임차 지원: 시급한 AI 컴퓨팅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1,723억 원을 배정, 민간 보유 GPU의 임차·활용을 지원합니다.
- 국산 AI반도체 실증사업 확대: 국산 AI반도체(NPU) 조기 상용화를 위해 실증사업 예산을 298억 원에서 752억 원으로 대폭 확대, 대규모 AI 서비스에 최적화된 국산 NPU 인프라를 구축합니다.
- 국가AI컴퓨팅센터에 국산 AI반도체 도입: 센터 선정 즉시 국산 반도체가 본격적으로 도입될 예정입니다.
- World Best LLM 프로젝트: 1,936억 원을 투입, 글로벌 수준의 AI모델 개발을 위해 국내 AI 기업 정예팀(최대 5팀)에 3년간 GPU, 데이터, 인재 등 자원을 집중 지원합니다.
- AI 인재 양성 및 유치: 글로벌 AI챌린지(100억 원), 해외 최고급 연구자 유치(50억 원), AI+과학기술 글로벌 최상위 연구자 양성(300억 원) 등 인재 확보에 공격적으로 투자합니다.
- AI 혁신펀드 확대: AI 스타트업 지원 펀드를 기존 900억 원에서 2,000억 원으로 확대, 추경에서 550억 원을 증액합니다.
이러한 대규모 예산 투입은 미국, 중국 등 글로벌 AI 경쟁국과의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AI·반도체 산업의 글로벌 주도권 확보를 노린 전략적 행보입니다. 특히 GPU 인프라 확대, 국산 AI반도체 실증, AI 인재 육성 등은 산업 전반에 걸친 파급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투자 아이디어
이번 추경은 AI·반도체 밸류체인 전반에 강력한 성장 모멘텀을 제공합니다.
- AI 컴퓨팅 인프라 확대: GPU, 서버, 데이터센터 등 인프라 공급 기업에 직접적인 수혜가 예상됩니다.
- 국산 AI반도체/NPU 실증 확대: 국내 AI반도체 및 시스템반도체 기업의 상용화·실적 개선이 기대됩니다.
- AI 모델 및 서비스 기업: 정부 지원을 받는 AI 스타트업, 대형 IT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시장점유율 확대가 예상됩니다.
- AI 인재 양성·유치: AI 교육, 채용, 연구개발 관련 기업 및 서비스의 성장도 주목해야 합니다.
- AI 혁신펀드: 펀드 수혜 대상이 되는 초기 AI 스타트업, 유망 벤처기업에 대한 벤처캐피탈·지분투자 기회도 확대됩니다.
특히, 한국 정부가 AI와 반도체를 국가 전략산업으로 명확히 지정하고 대규모 예산을 투입하는 만큼, 관련 밸류체인 기업의 중장기 성장성에 대한 신뢰도가 높아졌습니다. 글로벌 AI 경쟁이 심화되는 현 시점에서, 정책 수혜주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편이 유효한 전략입니다367.
관련된 주식 종목
아래 표는 이번 정책과 직접적으로 연관된 AI·반도체 밸류체인 주요 종목입니다.
종목명주요 사업 및 투자포인트
| 삼성전자 | 메모리·시스템반도체, AI 반도체, 대규모 GPU 서버 생산 등 글로벌 리더. 정부의 반도체·AI 인프라 투자 수혜. |
| SK하이닉스 | HBM 등 AI용 고대역폭 메모리 시장 주도. GPU 인프라 확대와 AI 서버 수요 증가의 핵심 수혜주. |
| 한미반도체 | 반도체 후공정 장비, AI·NPU 패키징 기술력 보유. 국산 AI반도체 실증 확대의 직접 수혜. |
| 네이버 | 국내 대표 AI 서비스·플랫폼 기업. LLM 개발, AI 클라우드 등 정부 지원 프로젝트 참여 가능성. |
| 카카오 | AI 챗봇, 생성형 AI 등 서비스 확장. OpenAI 등과 협력, AI 혁신펀드 수혜 기대. |
| 알체라 | AI 영상인식, 딥러닝 솔루션. 정부 AI 실증사업, 스마트시티 등 신시장 개척 기대. |
| 솔트룩스 | AI 데이터, LLM, AI플랫폼 구축. 정부 LLM 프로젝트 및 AI 인재 양성 사업 참여 가능성. |
| 더존비즈온 | AI 기반 ERP, 클라우드 서비스. AI 전환 가속화 정책의 수혜주. |
이번 AI 추경은 단순한 예산 확대가 아니라, 한국의 AI·반도체 산업 지형을 바꿀 수 있는 게임체인저입니다. 정책 수혜가 집중되는 밸류체인 핵심주에 대한 선제적 관심과 분산투자가 유효한 시점입니다. 글로벌 AI 경쟁에서 정부와 시장의 강한 드라이브가 만나는 구간, 투자자라면 반드시 주목해야 할 기회입니다.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북미 메모리 수주 폭증, 한미반도체 실적 역대급…AI·HBM 장비 시장의 게임체인저 (0) | 2025.04.20 |
|---|---|
| 한국 증시의 ‘중복상장’ 논란, 주가 디스카운트의 덫… (0) | 2025.04.20 |
| SK하이닉스-한미반도체, TC본더 갈등 물밑 조율 (0) | 2025.04.18 |
| LG엔솔 인니 13조 프로젝트 무산…배터리 밸류체인 전쟁 본격화 (0) | 2025.04.18 |
| 알래스카 LNG 프로젝트 참여시 관세 혜택…韓 기업에 투자 기회 열린다 (0)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