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삼성전자, HBM4 샘플 생산 돌입! 엔비디아 인증으로 AI 메모리 시장 판도 뒤바꾼다

Htsmas 2025. 8. 6. 10:19
반응형

삼성전자가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 샘플 생산에 돌입하며 글로벌 AI 반도체 시장에서 반전을 노리고 있다. 2025년 8월 6일, 반도체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평택캠퍼스에서 HBM4 샘플 웨이퍼 생산을 시작, 엔비디아 등 주요 AI 칩 기업의 품질 테스트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SK하이닉스가 주도해온 HBM 시장에서 삼성전자의 점유율 확대와 메모리 시장 경쟁구도 변화를 예고하는 중요한 신호다.

기술적 특징

  • HBM4 스펙: HBM4는 HBM3E 대비 대역폭 66% 증가(초당 2TB), 메모리 용량 33% 확대(48GB)로, 생성형 AI와 고성능컴퓨팅(HPC)에 최적화. 10나노급 6세대(1c) D램과 4나노 파운드리 공정을 활용, 중앙 배선층 개선으로 발열과 수율 문제를 해결.
  • 생산 현황: 평택캠퍼스 D1c 라인에서 소규모 파일럿 생산 중. 샘플 웨이퍼는 패키징과 최종 검증을 거쳐 2025년 3분기 내 엔비디아 등 고객사에 전달 예정. 양산은 2026년 상반기 목표.
  • 경쟁 우위: 삼성전자는 메모리와 파운드리 통합 역량을 활용, HBM4의 로직 다이(4나노)와 코어 다이(1c D램)를 최적화. 수율은 샘플 테스트 기준 65%로, 기존 HBM3E(30% 미만) 대비 크게 개선.

시장 트렌드

  • AI 반도체 수요 급증: 글로벌 HBM 시장은 2025년 467억 달러(약 64조 원) 규모로 성장 전망.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 ‘루빈’(2026년 양산)은 HBM4 8개를 탑재, 수요를 견인한다.
  • 엔비디아 공급망의 중요성: 엔비디아는 HBM 시장의 70% 이상을 점유하는 최대 고객. SK하이닉스는 HBM3E 독점 공급으로 시장 점유율 52.5%, 삼성전자 42.4%, 마이크론 5.1%로 뒤따른다. 삼성전자의 HBM4 인증 성공 시 시장 판도 변화 가능.
  • 경쟁 심화: SK하이닉스는 HBM4 샘플을 2025년 3월 선공개, 2026년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로 우위 유지 계획. 삼성전자는 AMD MI350 공급망 진입과 HBM4 조기 양산으로 격차 축소 노린다.

재무적 영향

  • 삼성전자 반도체(DS) 부문: 2025년 2분기 매출 26조 원, 영업이익 4.5조 원 예상. HBM3E 판매는 1분기 저점을 지나 매분기 회복 중. HBM4 인증 성공 시 2026년 매출 기여 본격화 전망.
  • 수주잔고: 삼성전자는 HBM4 대량생산을 위해 화성, 평택, 온양 공장에 1조3800억 원 투자. 엔비디아와 AMD 대상 대형 계약(10억 달러 이상) 추진 중.
  • 수익성 전망: HBM4의 높은 단가와 수율 개선으로 마진율 상승 기대. 그러나 HBM3E 인증 지연과 재설계 비용으로 단기적 비용 부담 존재.

미래 전망

  • 시장 선점 가능성: 삼성전자가 엔비디아 HBM4 인증을 통과하면 2026년 점유율 역전 가능. AMD, 구글, MS 등 다변화된 고객 확보로 안정적 수요 기반 구축.
  • 기술적 차별화: 1c D램과 하이브리드 본딩 기술로 성능·효율성 우위 확보. 평택 4공장 HBM4 전용 라인 구축으로 생산능력 월 17만 장 수준, SK하이닉스(14만 장) 상회.
  • 글로벌 수요 확대: AI 칩 시장 성장과 엔비디아의 GPU 출시 주기 단축(2년→1년)으로 HBM4 수요 급증. 삼성전자의 종합 반도체 역량이 시장 확대에 기여.

투자 아이디어

삼성전자의 HBM4 샘플 생산은 AI 반도체 시장에서 경쟁력을 회복할 결정적 기회다. 투자자는 다음 포인트를 주목해야 한다:

  1. HBM4 시장의 폭발적 성장: AI와 HPC 수요로 HBM 시장은 2025년 64조 원 규모로 확대. 삼성전자의 HBM4 인증 성공 시 엔비디아 공급망 진입으로 점유율 확대 가능.
  2. 종합 반도체 역량: 삼성전자는 메모리와 파운드리 통합으로 HBM4의 로직·코어 다이 최적화. SK하이닉스 대비 생산능력 우위로 대규모 수주 기대.
  3. 다변화된 고객 전략: 엔비디아 외 AMD, 구글, MS 등으로 고객 다변화, 단일 고객 의존도 완화.
  4. 관련 테마: AI 반도체, 고대역폭메모리, 고성능컴퓨팅, 파운드리, 디지털 전환.
  5. 리스크:
    • 인증 지연: HBM3E 12단 인증 지연 사례처럼, HBM4 퀄 테스트 통과 실패 시 양산 일정 지연 가능.
    • 수율 불안정: 샘플 수율 65%는 양호하나, 양산 단계에서 수율 저하 시 비용 증가 우려.
    • 가격 경쟁: HBM4 과잉 공급 시 단가 하락으로 수익성 악화 가능.

관련된 주식 종목

종목명설명

삼성전자 HBM4 샘플 생산 돌입, 엔비디아 인증 목표. 메모리·파운드리 통합 역량으로 AI 반도체 시장 선점 기대.

주: HBM4 밸류체인은 삼성전자의 메모리·파운드리 사업 중심으로 구성. SK하이닉스, 마이크론은 경쟁사로 제외.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