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HD현대중공업이 미국 해군 7함대 소속 4만1000t급 화물보급함 ‘앨런 셰퍼드’의 유지·보수·정비(MRO) 사업을 수주하며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의미 있는 첫걸음을 내디뎠다. 이번 수주는 한국 정부의 ‘마스가(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 제안 이후 첫 성과로, 한미 조선 협력의 상징적 전환점을 알린다. HD현대중공업은 2025년 9월부터 울산 HD현대미포 인근 안벽에서 프로펠러 클리닝, 탱크 정비, 장비 검사 등을 진행해 11월 인도 예정이다.
주요 내용
- 수주 세부사항: 앨런 셰퍼드함(2007년 취역, 길이 210m, 너비 32m)은 미 해군 7함대 소속 화물보급함으로, HD현대중공업은 정기 정비(Regular Overhaul) 계약을 따냈다. 사업 규모는 약 200억~300억 원 수준으로 추정되며, 고마진(영업이익률 15% 내외) 특성을 반영.
- 마스가 프로젝트: 한국 정부가 제안한 한미 조선협력 프로젝트로, △미국 현지 조선소 건설 △선박 건조 △공급망 재구축 △MRO △인력 양성 등을 포함.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15% 인하 정책과 연계, K-조선의 미국 시장 진출을 가속화.
- HD현대중공업의 준비: 2024년 7월 미 해군보급체계사령부와 함정정비협약(MSRA) 체결로 입찰 자격 획득. 2024년 도크 부족으로 입찰 참여가 제한됐으나, 2025년 도크 4~5개 확보로 본격 참여. 헌팅턴 잉걸스(4월), ECO(6월)와 파트너십 체결, 미시건대·MIT와 전문가 포럼 개최로 네트워크 강화.
- 시장 트렌드:
- 미 해군 MRO 시장: 연간 20조 원 규모, 80% 이상 함정이 2010년 이전 건조로 정비 수요 급증. 비전투함(군수지원함, 급유함) 중심으로 아시아 지역 위탁 증가.
- 한국 조선의 경쟁력: 한국은 이지스 구축함 연간 3척 이상 건조 역량 보유(미국 1.6~1.8척). 수리 기간 단축과 기술력으로 싱가포르, 일본 대비 우위.
- 정책적 호재: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와 한미 방위 협력 강화로 MRO 및 신조 시장 확대 예상. 미 의회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 발의로 전투함 건조 가능성도 대두.
- 재무적 영향:
- HD현대중공업: 2024년 특수선 부문 매출 1조1447억 원, 영업이익 990억 원(영업이익률 8.6%). MRO 수주로 2025년 특수선 매출 10% 증가, 영업이익률 10% 목표.
- 시장 기여: MRO는 상선 대비 변동성 낮고 안정적 수익원. 1척당 200억~300억 원 매출, 추가 정비로 계약 확장 가능.
- 미래 전망:
- 단기 목표: 2025년 2~3척 추가 MRO 수주, 2026년까지 5~6척 목표. 비전투함 중심에서 전투함 MRO로 확장.
- 장기 전략: 마스가 프로젝트를 통해 미국 현지 조선소 투자 및 공급망 구축. 전투함 신조와 MRO 통합 패키지로 시장 점유율 20% 목표.
- 글로벌 확장: 필리핀 MRO(2022년~) 성공 사례 기반으로 아시아, 남미 시장 진출. 헌팅턴 잉걸스와 협력으로 북미 방산 시장 공략.
투자 아이디어
HD현대중공업의 미 해군 MRO 첫 수주는 마스가 프로젝트와 연계된 K-조선의 글로벌 방산 시장 진출 신호탄이다. 투자자는 다음 포인트를 주목해야 한다:
- MRO 시장의 성장성: 연간 20조 원 규모의 미 해군 MRO 시장은 안정적 고마진 사업. 한국 조선사의 기술력과 수리 효율성은 싱가포르, 일본 대비 경쟁 우위 제공.
- 마스가 프로젝트의 파급효과: 미국 현지 조선소 건설과 공급망 재구축은 장기적으로 신조 및 MRO 수주 확대. 한미 방위 협력 강화로 정책적 지원 기대.
- HD현대중공업의 선도적 역할: MSRA 체결, 헌팅턴 잉걸스·ECO 파트너십, 도크 확보로 수주 준비 완료. 2025년 추가 2~3척 수주로 매출 안정성 강화.
- 관련 테마: 방산, 조선, MRO, 한미 협력, 해양 기술.
- 리스크:
- 규제 장벽: 미국 자국법상 전투함 MRO는 해외 위탁 제한. 현지 투자 없이는 고부가가치 사업 진입 한계.
- 경쟁 심화: 일본(미쓰비시중공업), 인도(L&T), 싱가포르 조선소의 MRO 시장 진입으로 가격 경쟁 가속화.
- 투자비 부담: 마스가 프로젝트의 조선소 건설과 인프라 투자로 단기 비용 증가 가능.
관련된 주식 종목
종목명설명
HD현대중공업 | 미 해군 MRO 첫 수주로 방산 시장 진출 가속화. 마스가 프로젝트로 신조·MRO 통합 패키지 기대. |
HD한국조선해양 | HD현대중공업의 지주사로, MRO 및 신조 사업 수익의 간접 수혜. 북미 시장 공략 전략 주도. |
주: 마스가 프로젝트와 MRO 밸류체인은 HD현대 계열사 중심. 삼성중공업은 협력 TF 참여이나 MRO 수주 미진행으로 제외.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NHN KCP, 달러 스테이블코인 USDW 상표 등록! 글로벌 핀테크 시장 정복의 첫걸음 (3) | 2025.08.06 |
---|---|
중국 단체 관광객 무비자 입국 추진! 9월부터 관광산업 폭발적 성장 기회 잡아라 (4) | 2025.08.06 |
위고비와 마운자로, 건강보험 급여로 비만·당뇨 시장 재편! 블루엠텍 수혜 기회 잡아라 (3) | 2025.08.06 |
카카오뱅크,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선언! 디지털 자산 혁명 선도할 기회 잡아라 (3) | 2025.08.06 |
삼성전자, HBM4 샘플 생산 돌입! 엔비디아 인증으로 AI 메모리 시장 판도 뒤바꾼다 (2) | 2025.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