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D램 가격 2년 만에 2배 폭등 경고! 엔비디아의 '저전력 D램' 선점에 숨겨진 반도체 시장 대격변

Htsmas 2025. 11. 20. 11:12
반응형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엔비디아가 인공지능(AI) 서버에 저전력 D램(LPDDR) 사용을 확대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 내년 D램 가격 상승세가 더욱 가팔라질 전망입니다. 이는 AI 수요 증가에 따른 메모리 시장의 공급 불균형 심화에서 비롯됩니다.

D램 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

  1. AI 메모리 전환 효과 (HBM $\to$ 범용 D램 부족):
    • 메모리 공급업체들은 고수익 제품인 HBM(고대역폭 메모리) 생산을 늘리기 위해 기존의 범용 D램 생산 설비를 전환하고 있습니다.
    • 이로 인해 구형 범용 D램의 공급이 축소되며 이미 가격이 급등한 상황입니다. (올해 들어 50% 가격 상승 기록)
  2. 엔비디아의 LPDDR 채택 확대:
    • 엔비디아가 AI 서버에 기존 DDR5 대신 주로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던 LPDDR 탑재를 늘릴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 LPDDR은 저전력이 강점이지만, AI 서버 한 대당 필요한 용량과 개수가 휴대기기 대비 훨씬 커서 공급망이 갑작스러운 대량 수요를 흡수하기 어렵습니다.
    • 이 수요를 맞추기 위해 메모리 업체들이 LPDDR 생산을 늘리면, 구형 D램 생산이 더욱 축소되어 가격 상승이 가속화됩니다.

가격 상승 전망 및 영향:

  • 단기 전망: D램 가격은 2025년 4분기에 30%, 내년 초에 20% 추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장기 전망: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2025년 초 대비 2026년 말에 D램 모듈 가격이 2배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습니다.
  • 소비자 제품 타격: D램 가격 급등으로 저가형 스마트폰 및 가전 제품의 원가 부담이 커집니다. 중고가 및 고급형 스마트폰 시장에서도 원가가 25%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어, 최종적으로 소비자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엔비디아를 필두로 한 AI 서버의 메모리 수요 다변화와 LPDDR 채택 증가는 메모리 반도체 공급업체들의 실적과 수익성에 강력한 긍정적 모멘텀을 제공합니다.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은 곧 메모리 기업들의 매출액과 영업이익을 폭발적으로 증가시킬 핵심 요인입니다.

핵심 투자 인사이트:

  1. 메모리 가격 상승의 수혜 독점: D램 가격이 2026년 말까지 2배 상승한다는 예측은 메모리 제조업체들의 마진(수익성) 확대를 의미합니다. 특히 AI 수요에 맞춰 HBM과 LPDDR 등 첨단/고부가가치 D램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있는 기업들이 최대 수혜를 입게 됩니다.
  2. AI 서버 메모리 시장 확장: 엔비디아가 LPDDR을 채택하는 것은 AI 서버 시장이 요구하는 저전력, 고효율 메모리의 표준이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는 메모리 업체들에게 새로운 기술 리더십을 확보할 기회가 됩니다.
  3. 구조적인 공급자 우위 지속: HBM 생산 전환 $\to$ 범용 D램 부족 $\to$ LPDDR 수요 증가 $\to$ 다시 구형 D램 부족 심화라는 악순환(공급자 입장에서는 호순환) 구조가 지속되면서, 메모리 공급업체들은 당분간 **독점적인 가격 결정력(Pricing Power)**을 유지할 것입니다.

리스크 포인트:

  • 생산 Capa 전환의 속도: HBM과 LPDDR 등 첨단 제품으로의 생산 능력을 얼마나 신속하게 전환하고 수율을 확보하느냐가 중요합니다. 전환 지연 시 단기적인 생산 차질 리스크가 있습니다.
  • 최종 소비 위축: 메모리 가격 급등이 최종 소비자 제품(스마트폰, 가전)의 가격 인상으로 이어져, 이들 제품에 대한 수요가 위축될 경우 범용 D램 시장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이번 D램 가격 급등 및 AI 메모리 시장 변화의 밸류체인은 D램을 직접 생산하는 메모리 제조업체와 이들에게 핵심 기술 및 장비를 공급하는 반도체 장비 및 소재 기업으로 구성됩니다.

종목명 종목 코드 주요 사업 내용 및 관련성
SK하이닉스 000660 HBM 및 D램 시장의 선두 주자. AI 메모리 수요 증가와 가격 상승의 최대 직접 수혜주. LPDDR 기술력도 보유.
삼성전자 005930 글로벌 D램 시장의 최강자. HBM 및 LPDDR 등 모든 메모리 제품의 가격 상승에 따른 실적 개선 기대.
한미반도체 042700 HBM 생산의 필수 장비인 TC 본더 제조사. AI 메모리 생산 확대에 따른 직접적인 장비 수주 수혜 기대.
이수페타시스 007660 엔비디아 GPU 모듈 등에 사용되는 MLB(다층 인쇄회로 기판) 공급사. AI 서버와 메모리 생산 증가에 따른 간접 수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