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미국, 2030년 글로벌 첨단 반도체 생산 비중 20% 이상 차지 전망

Htsmas 2025. 3. 8. 23:05
반응형

미국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TSMC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의 대규모 투자를 유치하면서 세계 첨단 반도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게 늘어날 전망입니다. 2030년에는 그 비중이 20% 이상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21년 대비 2배 수준입니다.

미국의 반도체 산업 부활

  • 2020년 이후 미국 반도체 민간 투자액: 약 784조 원
  • 세계 반도체 생산능력 중 미국 비중 변화:
    • 1990년: 37%
    • 2022년: 10%
    • 2025년 이후: 상승세 전환 예상

2030년 첨단 로직 반도체 생산능력 전망

대만 조사업체 트렌드포스의 분석에 따르면:

  • 미국: 22% (2021년 대비 2배 증가)
  • 대만: 58% (2021년 71%에서 감소)
  • 한국: 7% (2021년 12%에서 감소)

이러한 변화는 주로 TSMC의 대규모 미국 투자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의 반도체 전략

미국 정부는 경제 안보 차원에서 로직 반도체의 자국 내 생산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센터, 통신, 군사용 제품에 사용되는 첨단 로직 반도체의 생산 체제 확립을 서두르고 있습니다.

현재 미국은 엔비디아 등을 중심으로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생산은 대만 등 해외에 의존해 왔습니다. 이번 투자 유치를 통해 미국은 반도체 생산 능력을 크게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