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미국발 관세 폭탄, 해운가 덮치나...컨테이너 운임 급등·선박 발 묶여

Htsmas 2025. 4. 3. 13:08
반응형

최근 컨테이너 운송 시장에서 선사들이 급격한 운임 하락을 막기 위해 주요 동서항로에서 약 10%의 운항을 취소하며 선복량 조절에 나섰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지속된 운임 하락세를 멈추고 시장 안정화를 도모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됩니다.

1. 운항 취소와 배경

▷ 주요 항로별 취소 현황

  • 3월 말부터 5월 초까지 예정된 총 713건의 운항 중 68건이 취소되었습니다.
  • 아시아-북미 서안 항로: 44건, 아시아-북미 동안 항로: 13건, 아시아-북유럽 항로: 11건.

▷ 운임 하락 요인

  • 공급 과잉: 신규 선박 투입으로 올해 컨테이너 선박 용량은 약 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수요 증가율은 **2~3%**에 그칠 전망입니다.
  • 미국 관세 정책: 중국산 품목에 대한 관세 인상이 수입 감소를 유발하며 컨테이너 운송 수요 둔화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2. 선사들의 대응 전략

▷ 운임 인상 발표

  • CMA-CGM: 5월 15일부터 아시아발 지중해행 운임을 TEU당 500달러 인상.
  • 에버그린 라인: 아시아발 미국 동·서부행 운임을 FEU당 1000달러 인상 계획.

▷ 공급 조절 노력

  • 일부 선사는 신규 선박 투입을 늦추거나 노후 선박 폐선을 검토하며 실질 공급량 조절에 나서고 있습니다.

3. 시장 전망과 변수

컨테이너 운송 시장은 여전히 불확실성이 높습니다:

  • 공급 과잉 문제 지속: 신규 선박 발주와 투입이 계속되며 공급 과잉 상황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큽니다.
  • 지정학적 긴장과 경제 둔화: 글로벌 경제 성장 둔화와 미·중 관세 전쟁 등 다양한 외부 요인이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단기적 수요 증가 가능성: 미국 관세 인상 전에 물량 확보를 위한 수입업체들의 움직임으로 일시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4. 투자 아이디어

컨테이너 운송 시장의 변화는 관련 산업에 투자 기회를 제공합니다:

  1. 선사 관련주 주목
    • CMA-CGM, 에버그린 등 주요 글로벌 선사는 운임 인상과 공급 조절을 통해 수익성 방어에 나서고 있습니다.
    • 국내에서는 HMM과 같은 해운 기업들이 유사한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유지할 가능성이 큽니다.
  2. 물류 솔루션 및 디지털화 기업 투자 고려
    • 물류 가시성을 제공하는 플랫폼(예: 트레드링스 Ocean Visibility)은 실시간 화물 추적 및 비용 효율화를 통해 시장 변동성에 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3. 친환경 선박 및 기술 관련주 주목
    • IMO의 친환경 규제 강화로 LNG 추진선과 같은 고부가가치 친환경 선박 개발 기업들이 성장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수출입 기업의 물류 전략 변화 주목
    •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따라 물류비 절감을 위한 장기 계약 및 다변화된 운송 모드 활용 기업들이 경쟁력을 확보할 것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