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주식

엔비디아 RTX 5090D 중국 공급 중단, GPU 시장 격변

Htsmas 2025. 4. 20. 17:37
반응형

미국 정부가 중국 시장용 H20 GPU 수출을 전면 규제하면서, 그 여파가 일반 소비자용 그래픽카드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최근 엔비디아는 중국 전용으로 설계된 지포스 RTX 5090D 그래픽카드의 공급을 모든 제조사에 잠정 중단하라는 공지를 내렸습니다. RTX 5090D는 미국의 수출 규제를 충족하기 위해 기존 RTX 5090 대비 AI 연산 성능을 약 29% 낮추고, 멀티 GPU 구성을 불가능하게 설계된 제품입니다.

이전 바이든 행정부는 성능 제한 조건 하에서 중국 수출을 허용했으나,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이마저도 허용하지 않는 강경책으로 전환했습니다15. AMD 역시 중국 시장을 겨냥해 성능을 낮춘 라데온 RX 7650 GRE 등 신제품을 출시했지만, 앞으로 미국 정부의 규제 강화로 신제품 출시 지연 또는 취소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엔비디아는 이번 H20 GPU 수출 제한으로 최대 55억 달러(약 7조 8천억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이런 규제 강화가 중국 내에서는 화웨이 등 현지 GPU·AI 칩 기업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투자 아이디어

  • 글로벌 GPU 공급망 변화, 대체재·국산화 수혜주 주목
    미국의 대중 GPU 수출 규제 강화로 중국 내 GPU·AI 칩 국산화가 가속화될 전망입니다. 화웨이 등 중국 반도체 기업의 시장 점유율 확대, 관련 밸류체인 기업의 성장에 주목해야 합니다.
  • 엔비디아·AMD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 실적 변동성 확대
    중국향 매출 비중이 높은 엔비디아, AMD 등은 단기적으로 실적 타격과 재고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글로벌 AI·게이밍 GPU 시장의 구조적 성장세는 여전히 유효합니다.
  • 국내 메모리·반도체 소재 기업 영향 제한적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은 엔비디아 AI 가속기에 HBM(고대역폭메모리)을 공급하고 있어, 이번 규제의 직접적인 악영향은 제한적일 전망입니다5.
  • AI,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 국산화 테마 동반 주목
    글로벌 공급망 재편, 중국 내 AI 칩 국산화, 미국·유럽의 대체 공급망 구축 등 구조적 변화에 올라탈 수 있는 밸류체인 기업에 선제적 관심이 필요합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종목명주요 사업 및 투자포인트
엔비디아 AI·게이밍 GPU 글로벌 리더. 중국향 매출 감소, 장기 성장성은 여전.
AMD GPU, AI 가속기 글로벌 2위. 중국 규제 영향, 신제품 출시 지연 우려.
화웨이 중국 AI 칩·GPU 국산화 주도. 미국 규제의 최대 수혜주로 부상.
SK하이닉스 HBM 등 AI 메모리 글로벌 1위. 엔비디아 등 글로벌 밸류체인 핵심 공급사.
삼성전자 HBM, D램, 낸드 등 메모리·파운드리 글로벌 리더. 공급망 다변화 수혜 기대.
 

GPU 수출 규제 강화는 단기적으로 글로벌 반도체 시장에 충격을 주지만, 중장기적으로는 대체재·국산화·공급망 다변화라는 새로운 투자 기회를 만듭니다. 밸류체인 핵심주와 구조적 변화에 올라탈 수 있는 기업에 선제적 관심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