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5일(현지시간) 희토류를 포함한 가공 핵심 광물과 그 파생 제품의 수입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라고 공식 지시했습니다. 이는 무역확장법 232조에 근거한 조치로, 철강·알루미늄·자동차에 이어 핵심 광물까지 관세 부과 절차에 들어간 셈입니다.
조사 대상에는 코발트, 니켈, 17개 희토류 원소, 우라늄 등 주요 광물과 이들로 만든 금속, 금속 분말, 마스터 합금, 그리고 반도체 웨이퍼, 양극재·음극재, 영구자석, 모터, 전기차, 배터리, 스마트폰, 마이크로프로세서, 레이더 시스템, 풍력 터빈, 고급 광학 장치 등 파생 제품이 모두 포함됩니다.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90일 이내 중간 보고서, 180일 이내 최종 보고서와 권고안을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출해야 하며, 조사 결과 국가 안보 위협이 확인되면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수 있습니다. 이번 조치는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제한하고, 미국이 대중 관세를 145%까지 인상한 데 대한 맞대응 성격이 강합니다.
미국은 희토류 수입의 70%를 중국에 의존하고 있어, 관세 부과 및 공급망 차질이 현실화될 경우 전기차, 반도체, 방위산업 등 첨단산업 전반에 충격이 불가피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수입 의존과 공급망 취약성은 국가 안보, 방위 준비, 경제적 번영에 위협”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 핵심 광물·희토류 공급망 다변화 수혜주 주목
미국의 관세 부과와 중국의 수출 제한이 맞물리며, 비(非)중국계 희토류·핵심 광물 생산업체, 대체 소재 개발 기업, 리사이클링 기업 등이 중장기 수혜를 볼 수 있습니다. - 미국·유럽 내 광물 채굴·정제·가공 기업 성장성 부각
미국·호주·캐나다 등에서 희토류 및 핵심 광물의 채굴·정제·가공 역량을 갖춘 기업, 현지 생산설비 투자 확대 기업에 주목해야 합니다. - 첨단산업 밸류체인 리스크 관리
전기차, 2차전지, 반도체, 방산, 신재생에너지 등 핵심 광물 의존도가 높은 산업의 공급망 리스크가 커진 만큼, 밸류체인 내 대체 소재·공급망 다변화 전략이 중요해집니다. - 테마 확장
희토류, 핵심 광물, 2차전지, 전기차, 반도체, 방산, 신재생에너지, 리사이클링, 공급망 등 다양한 테마에서 투자 기회가 열려 있습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종목명주요 역할 및 투자 포인트
엘앤에프 | 2차전지 양극재, 핵심 광물 공급망 다변화 수혜 |
포스코퓨처엠 | 양극재·음극재, 니켈·코발트 등 핵심 광물 내재화 전략 |
에코프로비엠 | 2차전지 소재, 희토류·니켈 등 공급망 다변화 |
한국조선해양 | 방산·에너지, 희토류·핵심 광물 수요 증가 수혜 |
라이온타임즈 | 희토류·핵심 광물 리사이클링, 대체 소재 개발 |
MP머티리얼즈 | 미국 내 희토류 채굴·정제, 비중국계 공급망 확대 |
라이너스 | 호주 희토류 채굴·정제,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
728x90
'해외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테슬라, 자율주행 특허 분쟁 승소로 기술 고도화 가속 (0) | 2025.04.16 |
---|---|
미중 관세전쟁, 미국 소고기·돼지고기 수출 중단 사태 (0) | 2025.04.16 |
트럼프 관세, 美 반도체 장비업계에 연 1조4천억 원대 충격 (0) | 2025.04.16 |
엔비디아·AMD, 700조원 美 AI 인프라 투자 선언 (0) | 2025.04.16 |
애플 폴더블 아이폰, 300만원 시대 연다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