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주식

K-뷰티의 새 강자, 달바글로벌: 상장 첫날 70% 급등의 투자 기회

Htsmas 2025. 5. 22. 11:18
반응형

달바글로벌, 프리미엄 비건 뷰티 브랜드 ‘달바(d’Alba)’를 운영하는 기업이 2025년 5월 22일 코스피 상장 첫날 공모가(6만6300원) 대비 71.79% 상승한 11만3900원에 거래되며 화려한 데뷔를 했습니다. 상장 직후 주가는 12만3300원까지 치솟으며 투자자들의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습니다. 달바글로벌은 ‘승무원 미스트’로 유명한 퍼스트 스프레이 세럼, 톤업 선크림, 더블 크림 등 고기능성, 저자극 제품을 중심으로 K-뷰티 시장에서 입지를 다졌습니다. 2024년 매출 3091억 원, 영업이익 598억 원(영업이익률 19.4%)을 기록하며, 2021년(690억 원) 대비 3년간 연평균 65%의 매출 성장률을 달성했습니다. 해외 매출 비중은 46%로, 일본, 북미, 유럽 등 선진국 시장에서 73%를 차지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과시합니다.

달바글로벌의 IPO는 공모 과정부터 흥행을 예고했습니다. 4월 28일부터 5월 7일까지 진행된 기관 수요예측에서 2225개 기관이 참여해 경쟁률 1140.88:1을 기록하며 공모가를 희망 밴드 상단인 6만6300원으로 확정했습니다. 일반 청약(5월 9~12일)에서는 1112:1의 경쟁률과 7조705억 원의 증거금이 몰리며 투자 열기를 보여줬습니다. 공모 규모는 전체 주식(1206만9665주)의 5.4%(65만4000주)로 최소화해 유통 물량 부담을 줄였으며, 공모가 기준 시가총액은 8002억 원, 주가수익비율(PER)은 10배로 상장 화장품 기업 평균(15배)보다 낮아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특히, 달바글로벌은 상장 후 주주 우대 프로그램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1주 이상 보유한 주주를 대상으로 주력 제품 5종(미스트, 선크림, 캡슐 크림·세럼 등)에 대해 매달 최대 59% 할인, 연간 최대 60만 원 혜택을 제공합니다. 상장 첫 달에는 제품 구매 시 7만8000원 상당의 선크림과 미스트 세럼을 무료 증정하며,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KB증권, 하나증권의 MTS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이는 충성도 높은 개인투자자 기반을 확보하고 주가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전략으로 분석됩니다. 공모 자금(434억 원)은 신흥시장 확대(중국, 아세안, 중동, 인도), 프리미엄 신제품 개발, 건기식 및 뷰티 디바이스 사업 확장에 투입될 예정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달바글로벌의 상장 성공은 K-뷰티의 글로벌 수요 증가와 안정적인 재무 성과를 반영합니다. 그러나 K-뷰티 시장의 피크아웃 우려와 상장 후 유통 물량 증가(상장 1개월 후 51.73%, 6개월 후 78.65%)로 인한 주가 변동성은 주의가 필요합니다. 글로벌 뷰티 시장은 2027년까지 5800억 달러(약 800조 원) 규모로 연 6% 성장할 전망이며, K-뷰티는 아시아와 북미 시장에서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투자 아이디어

달바글로벌의 상장 첫날 70% 급등은 다음과 같은 투자 기회를 시사합니다:

  1. K-뷰티의 글로벌 성장: K-뷰티는 아시아(중국, 일본, 아세안)와 북미·유럽 시장에서 고급 스킨케어 수요로 연 10% 이상 성장하고 있습니다. 달바글로벌의 해외 매출 성장률(2023년 2.3배, 2024년 3.2배)은 글로벌 브랜드로의 도약 가능성을 보여줍니다.
  2. 주주 우대 프로그램의 매력: 최대 60만 원의 제품 할인과 무료 증정은 개인투자자의 충성도를 높이고 주가 안정성을 강화할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단기 매도 압력을 줄이고 장기 보유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3. 안정적인 재무 성장: 3년간 매출 연평균 65% 성장, 영업이익률 19.4%로 재무 건전성이 뛰어납니다. 공모 규모 최소화(5.4%)로 유통 물량 부담이 낮아 상장 초기 주가 상승 여력이 있습니다.
  4. 신흥시장 확대 잠재력: 공모 자금으로 중국, 아세안, 중동, 인도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며, 현지 맞춤형 마케팅과 신제품(건기식, 뷰티 디바이스)으로 매출 다각화가 기대됩니다.

투자자는 K-뷰티, 프리미엄 스킨케어, 비건 뷰티 테마에 주목해야 합니다. 단, 상장 후 1~6개월간 유통 물량 증가(51.73%~78.65%)와 K-뷰티 피크아웃 우려로 인한 주가 변동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주주 우대 프로그램의 활용도와 글로벌 시장 확장 속도를 모니터링하며, 단기 차익 실현보다는 중장기 성장 가능성에 초점을 맞춘 투자 전략이 유효합니다.

관련된 주식 종목

아래는 달바글로벌의 IPO와 관련된 밸류체인에 포함된 주요 주식 종목들입니다. 경쟁사는 제외했으며, 각 종목의 투자 매력을 간단히 정리했습니다.

종목명 (한글/영어)설명

달바글로벌 K-뷰티 대표주자로 상장 첫날 70% 급등. 해외 매출 비중 46%, 3년간 매출 성장률 65%로 글로벌 시장 확장과 주주 우대 프로그램으로 성장 전망.
코스맥스 K-뷰티 ODM/OEM 선두주자. 달바글로벌의 스킨케어 제품 생산 가능성. 2025년 1분기 매출 20% 성장, 해외 시장 수주 확대.
콜마홀딩스 화장품 제조 및 유통 전문. 달바글로벌의 글로벌 공급망 지원 가능. K-뷰티 수출 증가로 안정적인 매출 성장 기대.
에스티로더 (Estee Lauder Companies, EL) 글로벌 프리미엄 뷰티 시장 리더. K-뷰티 트렌드 수혜로 아시아 시장 매출 증가. 달바글로벌의 북미 진출 파트너 가능성.
  • 달바글로벌: 상장 첫날 11만3900원(공모가 대비 71.79% 상승), 시총 8002억 원. 해외 매출 성장과 주주 우대 프로그램으로 투자 매력 높음.
  • 코스맥스: K-뷰티 ODM/OEM 시장 점유율 1위. 2025년 1분기 매출 6000억 원, 영업이익 20% 성장. 달바글로벌의 생산 파트너로 수혜 가능.
  • 콜마홀딩스: 화장품 제조 및 유통 전문으로, 달바글로벌의 글로벌 유통망 확대 지원. K-뷰티 수출 증가로 안정적인 성장 전망.
  • 에스티로더 (Estee Lauder Companies, EL): 아시아 시장 매출 비중 30%. K-뷰티 트렌드와 달바글로벌의 북미 진출로 협력 가능성. 2024년 매출 150억 달러.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