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삼성전자 파운드리 사업부가 생산 설비 셧다운을 해제하고 올해 6월부터 평택캠퍼스 생산라인의 가동률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계획입니다. 이는 4nm 공정 물량 수주 증가와 함께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 결과입니다.
주요 내용:
- 셧다운 해제 및 가동률 상승
- 지난해 수주 부진으로 인한 셧다운 조치 해제
- 6월부터 '풀캐파' 가동 계획
- 가동률 회복 요인
- 삼성전자 시스템 LSI 사업부의 엑시노스 물량 증가
- 중국 암호화폐 채굴기 수주 확대
- HBM4용 로직 다이 생산 물량 증가
- 생산라인 현황
- 평택캠퍼스 P2, P3 공장의 4nm, 5nm, 7nm 생산 설비 재가동
- 셧다운 당시 중단됐던 설비 대부분 가동 가능 상태로 전환
- 잠재적 위험 요소
- 미국의 대중국 규제로 인한 불확실성
- 바이두 등 중국 기업 제품 생산 일시 중단
삼성전자는 파운드리 사업 경쟁력 회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미중 갈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존재합니다. 향후 글로벌 반도체 시장 동향과 미국의 정책 변화에 따른 영향을 주목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728x90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면 툼바, 글로벌 시장 진출 본격화…호주·일본 이어 미국 월마트 입점 확정 (0) | 2025.02.13 |
---|---|
트럼프 관세, 구리까지 확대될 가능성…시장 불안감 고조 (0) | 2025.02.13 |
삼성전자, 엔비디아 HBM3E 퀄테스트 임박…HBM4 양산 준비 박차 (0) | 2025.02.13 |
트럼프, 푸틴·젤렌스키와 연쇄 통화...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협상 급물살 (0) | 2025.02.13 |
트럼프 관세 폭탄, 캐나다·멕시코에 25% 관세 부과…한국엔 오히려 기회? (0)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