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와 주요 기업들이 1조원 규모의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하며, AI 반도체 시장의 글로벌 리더십 확보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25년 5월 20일 LG전자, 현대차, 두산로보틱스, 대동, 한국항공우주산업(KAI) 등 수요기업과 협력해 자동차, IoT·가전, 기계·로봇, 방산 4대 분야에 특화된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소프트웨어(SW), 모듈, AI 모델을 개발한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젝트는 2026년부터 정부 예산을 투입해 본격화되며,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통해 신속히 추진된다.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는 클라우드 연결 없이 기기 자체에서 AI 연산을 수행하는 칩으로, 실시간 처리, 높은 보안성, 저전력 소비, 낮은 네트워크 의존성이 특징이다. 이 프로젝트는 4대 분야별 맞춤형 솔루션을 개발해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 및 SW 기업과 협력, 설계부터 양산까지 풀스택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주요 과제는 다음과 같다:
- 자동차: 자율주행(레벨 4 이상)을 위한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로, 통신 불안정 환경에서도 실시간 학습 및 사고 대응이 가능하다.
- IoT·가전: 스마트홈용 AI 반도체로, 사용 패턴 분석과 온·습도, 소리, 화면을 자동 조정한다.
- 기계·로봇: 협동로봇 및 휴머노이드 로봇용 AI 반도체로, 정밀한 작업과 자율성을 강화한다.
- 방산: 드론 및 무인기용 AI 반도체로, 공중 플랫폼의 실시간 의사결정을 지원한다.
LG전자는 이미 가전용 온디바이스 AI 칩 DQ-C를 개발해 2025년 상반기 46개 모델에 확대 적용할 계획이며, 현대차는 자율주행, 두산은 로봇 및 방산 기술에 AI 반도체를 접목한다. 이 프로젝트는 국내 AI 반도체 공급망을 강화하며, 글로벌 기업(엔비디아, 퀄컴 등) 의존도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투자자 관점에서 중요한 점:
- 시장 트렌드: 글로벌 온디바이스 AI 시장은 2023년 150억 달러에서 2030년 1,000억 달러로 성장할 전망이다. 자율주행, 스마트홈, 로봇, 방산 분야의 AI 수요가 급증하며, 온디바이스 반도체는 저전력과 보안성으로 주목받는다.
- 재무적 영향: 프로젝트 참여 기업(LG전자, 현대차, 두산 등)은 AI 반도체 탑재로 제품 경쟁력을 높이고, 팹리스 및 SW 기업은 대규모 수주로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 LG전자는 2025년 AI 가전 매출 20% 증가를 목표로 한다.
- 미래 전망: 2026년부터 HBM4 및 차세대 AI 반도체 수요 증가와 함께, 국내 밸류체인 구축은 글로벌 시장 점유율 확대와 공급망 안정성을 제공한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전자신문
투자 아이디어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프로젝트는 한국의 AI 반도체 산업을 글로벌 선두로 이끌며, 참여 기업들에 새로운 성장 기회를 제공한다. 투자자는 아래 포인트를 주목해야 한다:
- 온디바이스 AI 시장 성장: 자율주행, 스마트홈, 로봇, 방산 분야의 AI 수요 급증으로 온디바이스 반도체와 SW 개발 기업들이 수혜를 받는다.
- 국내 밸류체인 구축: LG전자, 현대차, 두산 등의 수요기업과 팹리스의 협력은 글로벌 공급망 불확실성을 줄이며 안정적인 수주를 보장한다.
- LG전자의 선도적 역할: DQ-C 칩 확대 적용으로 스마트홈 시장을 선점하며, AI 가전의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
- 현대차의 자율주행 경쟁력: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는 자율주행(레벨 4 이상) 차량의 실시간 처리 능력을 강화해 현대차의 글로벌 입지를 높인다.
- 주의점: 프로젝트 초기 단계로, 예비타당성 조사 결과와 정부 예산 확보 일정이 중요하다. 글로벌 경쟁(엔비디아, 퀄컴)과 기술 개발 속도도 모니터링해야 한다.
관련 테마:
- AI (인공지능)
- 온디바이스 AI
- 자율주행
- 스마트홈
- 로봇
- 방산
- 반도체
관련된 주식 종목
종목명설명
LG전자 | 가전용 온디바이스 AI 칩 DQ-C를 2025년 46개 모델에 확대 적용하며, 스마트홈 시장에서 AI 경쟁력을 강화한다. |
현대차 | 자율주행(레벨 4 이상)용 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로, 글로벌 자율주행차 시장에서 기술 우위를 확보한다. |
두산로보틱스 | 협동로봇 및 휴머노이드 로봇용 AI 반도체 개발로, 로봇 산업의 첨단화와 매출 성장이 기대된다. |
한국항공우주산업 | 방산용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로 드론 및 무인기 기술을 강화하며, 글로벌 방산 시장에서 경쟁력을 높인다. |
'국내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크롱의 베트남 방문: 원자력과 인프라 투자로 열리는 동남아의 새 투자 기회 (0) | 2025.05.21 |
---|---|
닌텐도 스위치 2의 대박 조짐: 삼성전자, 2000만 대 칩 생산으로 파운드리 시장 점령 가속 (0) | 2025.05.20 |
코어라인소프트의 글로벌 도약: 옥스퍼드 대학병원 공급 계약으로 AI 의료 시장 선점 가속 (0) | 2025.05.20 |
한미반도체의 HBM 독주 재시동: SK하이닉스 하반기 TC본더 물량 대거 확보 유력 (0) | 2025.05.20 |
한화엔진의 폭발적 성장: 조선업 호황과 STX엔진 인수 검토로 주목받는 투자 기회 (0) | 2025.05.20 |